전체보기 1901

구글어스에 보이는 이상한 현상~

구글어스를 뒤적거리다보면, 현실에서는 절대 볼 수 없는 정말 이상한 형태가 발견되곤 합니다. 위에 있는 그림은 "빠른 이동"에 부산이라고 입력했을 때 안내되는 지점을 확대해보면 좌측 윗부분인데, 마치 공동묘지에 출몰한다는 도깨비 불처럼 생겼습니다. (직접 보시려면 ghostimage.kmz를 누르세요.) 이런 형태는 태양의 반사때문에 발생합니다. 즉, 지붕이나 간판 등의 금속판에 태양의 입사각과 반사각이 정확하게 일치함으로써, 주변에 비해 빛이 너무 밝아지기 때문에 CCD가 과다한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거울로 태양을 반사시키면 눈이 부셔서 아무것도 안보이게 되는 것과 같은 원리라고 생각하면 되겠네요. 아래 영상은 네이버 구글어스 카페에서 발견한 그림입니다. (직접 보시려면 ove..

구글어스 2008.02.19

MS, 구글 SKY와 유사한 서비스 예정

TechCrunch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2월 27일 "WorldWide Telescope"라는 구글 SKY와 비슷한 PC용 소프트웨어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아래는 그 글중 일부를 번역한 내용입니다. 이 서비스는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는 방식이 될 것이며, 당분간은 윈도에서만 돌아갈 것입니다. 사용자들은 밤하늘을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구경할 수 있고, 데이터가 존재하는 한 무한정 확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허블 망원경 뿐 만 아니라, 지상에 있는 천체망원경의 자료도 10대 정도 탑재될 것이며, 광학영상/자외선/적외선, 기타 다른 종류의 영상을 바꾸어 가면서 보는 기능이 들어 있을 것입니다. 이상의 내용을 보았을 때, 구글 스카이(Sky)와 비슷할 것이라는 건 틀림없는 것 같습니다. 또한, ..

구글어스 2008.02.19

버추얼어스, 뉴욕 전철 안내에 채택

세계 최대의 대중교통망을 가진 뉴욕시 Transit에서, 온라인 전철 안내시스템인 Trip Planner에 버추얼어스 플랫폼을 사용하기로 했다는 소식입니다. 자세한 내용는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맨처음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출발지/목적지 뿐만 아니라, 출발/도착 예정시간, 기타 어떤 교통편을 이용할 것인지, 얼마나 걷기를 원하는지, 등등의 옵션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적당히 입력을 하고 "Go"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형태의 안내가 나옵니다. 아래는 3개의 옵션중 맨 처음것만 보인 것으로서, 0.44 마일을 걸어서 지하철을 탄후, 42nd St에서 내리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 출발지와 목적지 주변의 지도를 볼 수 있는 옵션(빨간 화살표)이 있습니다. 이 버튼을..

구글맵으로 사랑의 메시지 보내기

저도 오래전에 한번쯤 본 기억이 있기는 한데... 그래도 소개시켜드립니다. 다른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 것이 아니라, 그냥 메시지만 보여주고 끝이기 때문에 구글맵 매쉬업이라고 볼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자신이 원하는 메시지를 입력하면 지구상에 있는 건물 모양을 조합하여 보여주는 서비스입니다. 사이트는 http://www.geogreeting.com/이고요, 아래와 같은 형태를 만들 수 있습니다. 물론 한글은 안되지만, 어떠한 문자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위의 그림은 위에 있는 "I ♥ You!!"를 입력했을 때 나오는 형태입니다. 약간의 애니메이션도 있기 때문에 여기를 누르고 직접 들어가 보시는 게 좋습니다. 원하는 메시지를 입력하고 싶으시면 여기를 누르고 들어가시면 됩니다. 다만, 문자의 형태..

결혼 지도 매쉬업

말그대로 결혼에 관한 지도 매쉬업입니다. 결혼하는 분들이 결혼식장이나 피로연, 신랑/신부 집, 신혼여행 가는 곳 등을 한꺼번에 정리할 수 있고, 이것들을 친구들에게 알려줄 수 있습니다. 사이트는 Wedding Mapper입니다. 들어가 보시면 왼쪽에 "Explore local wedding areas"라고 결혼식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부분과, 아래와 같이 자신만의 지도를 만들 수 있는 메뉴가 있습니다. 지도를 만들고 공유하는 부분만 알아보겠습니다. 지도를 만들러 들어가면 아래처럼, 기본적인 정보를 먼저 입력해야 합니다. 결혼식장, 피로연장, 호텔, 레스토랑 등을 입력하고 친지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지도를 입력하는 것은 대충 다른 사이트와 비슷합니다. 그래서 설명은 생략하고, 제가 만들어 ..

우리나라에 있는 하트모양의 섬 - 이건희 소유

어제 구글어스에 들어있는 하트 모양이라는 글을 올렸는데, mepay님께서 우리나라에도 있다는 댓글을 달아주셔서 바로 확인에 들어 갔습니다. 시사IN에는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습니다.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 사곡리 앞바다에 떠 있는 모개도는 아름다운 풍경으로도 여행객들을 사로잡지만, 진짜 가치는 딴 곳에 있다. 이 섬을 하늘에서 본 모습이 영락없이 ‘하트(♡)’ 모양인 것이다. 그것도 남북 방향으로 바로 선 형태다. 마치 영화 속에 나올 법한 낭만을 간직한 섬으로, 아마 한반도 전체를 뒤져도 이런 희한한 섬을 찾기는 힘들 것 같다. 아래 그림이 구글어스에서 확인한 모습입니다. 직접 보시려면 이 KML 파일을 눌러보시면 됩니다. 우리나라에서 하트 모양의 섬을 발견하니 기분은 좋은데... 하필이면, 2012년..

구글어스 2008.02.16

5,000장의 사진으로 만든 구글어스 이미지

Digital Urban 블로그에서 나온 사진입니다. 원본 사진은 Flickr에서 나온 것 같은데... 태그가 "Maps", "Space" 또는 "Aerial"인 사진만 모았다고 합니다. 이렇게 수집된 총 5,000장의 사진을 10,000 x 6000 pixel 짜리의 사진으로 모자이크를 만들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모자이크를 만드는 프로그램은 여러가지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 EasyMosaic) 모양은 보시면 아시겠지만, 구글어스가 처음 뜰때의 화면입니다. 사진 원본은 Flickr에 들어가면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이 그림을 Digital Urban에서 만든 Image Cutter software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삽입한 그림입니다. 좌측 위에 있는 콘트롤을 사용해서 확대/축소해 ..

구글어스 2008.02.16

구글어스에서 MMO 게임을~~~

MMO란, 다중접속 온라인(Massively Multi-player Online)게임을 말하는데요, 리니지 같은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그러니까... 구글어스에 접속해서, 어떤 퀘스트를 수행하거나, 공동으로 적을 공격한다던가... 그런 식으로 운영되는 게임입니다. 대충 World of WarCraft의 아주 간단한 버전이라는데, 종족(전사, 엘프, 마법사)를 선택한 후 세계를 돌아다니며 적들과 싸우고, 경험치를 모아서 레벨을 올리며, 무기, 스펠, 포션 등을 구입하는 기능 등이 있다네요. Google Earth Hacks에서 현재 개발중이고, 베타 테스터를 모집한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들어가보시면 되고요, 베타테스터가 되고 싶으시면 여기로 들어가셔서 글을 남기면 됩니다. 게임은 대략 다음 그림..

구글어스 2008.02.16

구글 스카이, 아이디어 도용혐의로 피소

구글이 스카이(Sky)의 아이디어를 도용당했다는 혐의로 피소당했습니다. 기사 원문은 CNET을 보시면 되는데요, 아래에 주요한 내용을 요약했습니다. 구글 하청업체 하나가 구글에서 구글 스카이 아이디어를 훔쳐갔다는 혐의로 구글을 고소했다고 합니다. 배상액으로 2천5백만 불, 우리나라 돈으로 약 230억을 요구했다고 하고요. 2006년 구글의 하청업체로 일하고 있을 때 내부 e-mail 토론 그룹에 구글 스카이 아이디어를 공개했었는데, 2007년 구글어스에 등장한 Sky 레이어가 자신이 구상했던 아이디어나 기능과 유사하다는 것입니다. 현재 구글에서는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산타클라라 대학교 법학과 조교수인 Eric Goldman에 따르면, 이러한 종류의 주장은 누구라도 할 수 있지만 입증..

구글어스 2008.02.16

WeatherBug - 기상정보 제공사이트(Ready for the weather)

2월 15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날씨관련 사이트에서 구글맵을 이용하고 있다는... 구글 매쉬업에 관한 내용입니다. weatherbug.com라는 날씨 사이트입니다. 그런데, 정말 이상하네요... 구글 애드센스가 여기저기 붙어있습니다. 그러니깐... 기상청같은 국가기관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아니라는 뜻입니다. 어쨌든 이 사이트에 들어가서 어떤 지점을 선택하면(예 : San Francisco) 다음과 같은 예보 화면이 나옵니다. 화살표 있는 곳을 보시면 Change Tracking Station, 즉, 관측소를 바꿀 수 있다는 링크가 있구요, 그걸 누르면 다음과 같이, 관측소가 위치한 지점을 찾을 수 있는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맨 아래에 있는 주석을 보시면, 빨간것은 NWS St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