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1904

다음과 야후의 주유소 가격비교, 이런 기능이 추가되어야~~

지난 3월 말, 야후에서 주유소 가격비교 서비스를 오픈한데 이어, 엊그제 다음에서도 주유가격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저처럼 자가운전자로서 주유가격 비교는 아주 유용한 서비스입니다만, 약간 더 개선할 부분이 보입니다. 우선 본론으로 들어가기전에 2008년 4월, 한국석유공사에서 Opinet 사이트가 오픈할 때 제가 적어둔 글에서 지적했던 문제점이 해결되었는지를 짚어보겠습니다. 첫번째는 주유소 가격정보를 Opinet에만 보관하지 말고 널리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야후와 다음에서 서비스하고 있으니, 어느정도 해결되었다고 봐야겠죠. 하지만 아직도 이 자료가 전면적으로 공개된 것은 아닌 것 같고, 좀 더 과감히 오픈해야할 것 같습니다. 여러가지 정보를 동시에 서비스해야 하는 포털보다는 전문 사이트가 생긴다..

"아이폰 3G S"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얼마전 WWDC에서 "아이폰 3G S" 가 발표되었습니다. 전반적으로 바테리 용량이 커지고 속도가 빨라졌으며, 비디오 촬영기능과 디지털컴파스 기능, 블루투스 기능 등이 추가되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도 발매될 것이라고 기대를 잔뜩했던 많은 분들은 실망을 금치 못했죠. 저도 그중의 한사람입니다만... 이번 iPhone 3GS 에서 제가 가장 주목하는 부분은 디지털 컴파스 기능입니다. 디지털 컴파스, 즉 전자 나침반이 추가됨으로써 사용자가 아이폰을 가르키는 방향을 알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죠. 예전에도 GPS와 기울기 센서는 있었지만, 동쪽을 가르키는지 서쪽을 가르키는 지 알수는 없었습니다. 디지털컴파스가 등장함으로써 바로 가능하게 된 것이 구글폰의 별자리지도(Sky Map)입니다. Sky Map은 안드..

미국 캘리포니아 면적은 우리나라의 몇배?

간단하면서도 재미있는 구글맵 매쉬업 하나를 소개시켜드리겠습니다. 흔히들 어떤 지역의 면적을 알릴 때, 여의도의 몇 배 혹은 우리나라 면적의 몇 배, 이런식으로 말하곤 하는데, 이것을 직접 지도위에서 비교해 볼 수 있는 매쉬업(Mashup)입니다. (via Google Maps Mania) 우선 아래 그림은 우리나라의 외곽선을 미국 캘리포니아 주 위에 겹쳐 그린 것입니다. 캘리포니아주가 우리나라 보다 크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저 정도로 큰지는 몰랐네요. 한 3배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직접 해 보시려면 http://mapfrappe.com/으로 들어가 보시면 됩니다. 접속하셔서 아래쪽으로 내려가시면 아래 그림처럼 Reference Map 부분이 있는데, 여기에서 비교하고 싶은 지역의 외곽선을 그리면, ..

로드뷰 뮤비 - 한강에서 광화문까지

다음(Daum)에서 서비스중인 로드뷰 영상을 캡처해서 동영상으로 제작해 보았습니다. 한강대교 남단에서 광화문까지 가는 길입니다. 일단 제가 제작한 동영상을 먼저 한 번 보시기 바랍니다. 동영상에 사용된 음악은 The Ting Tings의 "Shut up and let me go"입니다. 우리 딸래니가 추천해 준 겁니다.^^ 동영상을 보시면 처음엔 정방향으로 주행하다가 나중엔 역방향으로 주행을 합니다. 그리고... 처음 촬영된 부분은 가을인데, 좀 지나면 여름으로 바뀌는 것도 보실 수 있습니다. 아... 서울역, 남대문, 서울시청앞, 세종로 사거리에선 좀 더 구경하시라고 주변을 한바퀴 돌렸습니다. ==== 위 동영상은 총 751매의 사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캡처하는데만 거의 한시간 반정도 된 것 같습니..

제가 촬영한 입체사진 베스트

저는 예전부터 입체사진을 찍기 좋아했습니다. 전공이 측량이다보니, 항공사진측량을 배우게 되면서 자연히 입체사진을 촬영했죠. 며칠전, 출판사에서 근무한다는 어떤 분이 연락을 해왔습니다. 제 블로그의 글을 보고 책에 싣고 싶다는 것이었습니다. 초등학생용 과학실험 책이라고 해서 흔쾌히 허락을 했습니다. 덕분에 지금까지 제가 촬영했던 입체사진을 한번 더 정리를 했습니다. 좋은 입체사진을 촬영하려면 2대로 동시에 촬영해야 하지만, 저는 한대만 사용해서 촬영하기 때문에 좋은 것들이 별로 없지만, 그럭저럭 쓸만한 것들도 조금 있더군요. 아래는 한 10년전에 북경 자금성에서 촬영한 사진입니다. 정확한 위치는 모르겠는데, 어떤 궁에 있던 옥좌의 모습입니다. 디카가 나오고 난 후, 거의 처음 촬영한 입체사진인데, 지금도 ..

구글어스로 새로운 종의 생물 발견(Uncovering discoveries)

6월 12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영국의 과학자들이 구글어스를 이용해 고립되어 있는 열대우림을 찾아내었고, 이곳에서 여러가지 새로운 종의 생명체들을 발견했다는 내용입니다. 이 내용은 작년 말에 우리나라에서도 기사화되었고, 저도 잠깐 구글어스/버추얼어스 소식 모음에서 언급하였던 내용입니다. 다만, 이번에는 어떠한 계기로 연구가 이루어졌는지, 위치는 어디인지 좀 더 자세한 내용이 나왔습니다. 관련 내용과 새로 발견된 종의 사진은 BBC 뉴스 기사를 보시면 됩니다. 이번에 새로운 종이 발견된 열대우림은 모잠비크의 마부(Mabu) 산 인근에 있는 물란제 산(Mount Mulanje)이라고 합니다. 아래는 구글맵에서 확인한 모습입니다. 직접 보시려면 여기를 눌러보시면 됩니다. 정말 신기하게도,..

구글 대중교통정보로 확인한 세계적인 도시(Discovering cities with the Transit Layer)

6월 12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상하이/동경/모스크바의 지하철 노선도를 보면서 어떤 도시인지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구글맵에서 오른쪽 위에 있는 더보기...(More)를 누르고, 대중교통 레이어(Tansit Layer)를 선택하면 지하철 노선도를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일본 동경의 지하철 노선도를 본 모습입니다. 현재 노선수는 13개, 연간 이용객 수는 29억명으로, 전세계 최대의 지하철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아직 우리나라는 이 기능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구글 코리아는 지난 3월초부터 우리나라 지역에 대해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위의 그림처럼 지하철 노선도를 겹쳐보는 기능은 없습니다. 물론 대중교통 길찾기는 지원되면서, 대중교통 노선은 볼 수 없는 나라가 우리나라..

Deep Photo - 3D 모델 기반의 사진보정

아주 신기한 사진 보정 프로그램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via Digital Urban) Deep Photo는 2차원인 사진에 3D 모델을 연결하면, 이를 기반으로 뿌연 안개(haze)를 제거하고, 조명상태를 바꿀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심지어 사진에 촬영된 사물이 어떤 것인지 표시해 줄 수도 있습니다. 먼저 뿌연 안개를 제거한 결과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원본과 다른 예는 여기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뿌연 사진이 원본, 깨끗한 사진은 Deep Photo로 보정한 사진입니다. 아래는 뉴욕시를 촬영한 사진입니다. 기본적인 원리는 사진에 나타나 있는 점을 3D 모델과 연결시키면, 사진에 나타난 모든 점들의 거리를 알 수 있고, 이 거리를 기준으로 뿌연 안개(haze)의 양을 추정하여 제거하는 것입니다. 포토..

구글어스 3D 모델 추가 - 우리나라도 쪼끔~~

구글어스(Google Earth)에 우리나라 지역을 포함하여 3D 모델이 많이 추가되었다는 소식입니다. 사용자가 제작한 모델은 전세계적으로 약 4,000개 정도가 추가되었고, 일본의 도쿄/오오사카/코베/교토 전체가 3D로 바뀌었으며, 올랜도의 디즈니월드 3D 모델도 추가되었다고 합니다. (via Google Earth Blog) 원래 일본 동경 등에는 3D 모델이 조금 있었습니다. 아래는 구글어스 4.3이 발매되면서 동경에 처음으로 텍스처가 입혀진 3D 모델의 모습입니다. 단, 아래 그림에는 없지만, 회색 박스형 3D 건물은 많이 있었습니다. 아래는 현재 구글어스에서 동경타워를 중심으로 캡처해본 모습입니다. 아직도 회색 박스 모양의 건물도 많이 있지만, 예전과는 비교가 안되게 사진 텍스처를 입힌 3D 모..

구글어스 2009.06.12

마이크로소프트 빙맵(Bing Map) - 우리나라 고해상도 영상 추가

얼마전, 마이크로소프트웨어의 버추얼어스(Virtual Earth)가 빙맵(Bing Map)으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Virtual Earth Blog 참조) 사실 처음은 아닙니다. 원래 버추얼어스였다가 라이브맵으로 바뀌었다가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Bing 검색엔진이 나오면서 이름이 다시 바뀐 겁니다.주소도 http://maps.live.com에서 http://www.bing.com/maps/으로 바뀌었습니다. 단순히 이름만 바뀐 건 아니고, Bing 검색엔진과 좀더 통합되었다고 하는데, 기능적으로는 그다지 변한 것은 없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 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Bing 사이트에서 San Diego로 검색한 후, 좌측탭에서 지도(Map)을 선택한 모습입니다. 얼마전 빙맵에서 위성영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