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1865

Crysis 게임맵을 구글어스로 제작

Crysis라는 게임 아세요? 저는 게임 끊은지 오래라 잘 모릅니다. :-) 2007년 11월에 발매되었고, 우리나라엔 데모버전만 공개되었는데, 엄청난 인기를 끄는 모양입니다. 게임 종류는 1인칭 슈팅 게임(FPS : First Person Shooter), 즉, 아주 1990년대 저도 조금 해본 둠 스타일로 주인공이 되어 무기를 써서 수비군을 죽이고 목표를 탈취하는 게임이랍니다. 이 게임은 특히, 사용하는 지도가 엄청 넓고 사실적이라고 합니다. 몇몇 분이 데모영상을 캡쳐해서 올렸는데, 정말 사실감이 넘칩니다. 아래는 축소한 영상입니다. 직접 눌러보시면 디테일이 정말 뛰어나다는 것을 아실 겁니다. 아래는 1280x1024로 높이고 모든 옵션을 high로 선택했을 때의 모습입니다. 이것도 꼭 눌러보고 확인..

구글어스 2007.11.30

남극 15미터급 위성영상지도 완성

중앙일보 및 KBS 뉴스에서도 발표된 뉴스입니다. "미국, 영국 과학자들이 8년동안의 위성 측정 작업 끝에 남극대륙을 고해상도로 보여주는 인터랙티브 지도를 발표" 했습니다. 미항공우주국(NASA)과 미지질탐사단(USGS), 미국립과학재단(NSF), 영국 남극연구단(BAS) 등이 참여한 이 프로젝트는 "지난 2000년부터 랜샛 7위성이 15m 구간별로 촬영한 폭 3천500㎞의 남극 대륙 사진 천백 장을 조합"해서 제작하였다고 합니다. 이 프로젝트의 이름은 남극 랜샛(LandSat) 영상 모자이크(LIMA : Landsat Image Mosaic of Antarctica)로서, 총 제작기간이 1년이상 소요되었다고합니다. 영상을 직접 보시고 싶으시면 http://lima.usgs.gov/에 들어가 보시면 됩니..

공간정보/측량 2007.11.30

Time지 선정 2007년 컴퓨터부문 최고의 발명품

매년 말이 되면 이런 제목의 글을 많이 봐서, 타임지가 매년 이런 행사를 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스트릿뷰 기능 개선에 관한 포스트를 쓰다가 올해의 최고의 발명품이란 글이 있다는 것을 우연히 알게되었습니다. 아래의 글은 Time지 기사를 참고로 작성했으며, 모든 그림도 Time지에 실린 그대로입니다. 2007년 최고의 발명품 전체 리스트는 여기에 있습니다. 전분야에 걸쳐 최고의 발명품으로 꼽힌 것은 애플의 iPhone입니다. iPhone이 발매될 때 전세계가 들썩 거렸던 것 많은 분들이 기억하시리라 생각합니다. 심지어는 iPhone을 사용할 수 없는 우리나라에도 iPhone을 들여와서 사용하는 분들도 계실 정도니까요.(참고 : 서명덕기자님의 아이폰해킹기) 전체리스트를 보시면 여러가지 분야로 나누어져 ..

기타 2007.11.30

모바일 구글맵 위치확인서비스 개시 (Location, location, location)

11월 28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GPS가 없는 핸드폰에서 모바일 구글맵(Google Maps for Mobile)을 사용할 때 자신의 위치를 찾을 수 있는 내위치(My Location)기능을 베타서비스한다는 내용입니다. 모바일 구글맵은 아주 유용한 기능입니다. 특별한 기계를 들고 다니거나 지도책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전세계 어디를 가도 지도를 볼 수 있으니까요. 그러나, 모바일 구글맵을 사용하려면 가장 먼저 자신의 위치를 알아야 합니다. GPS가 달린 휴대폰의 경우엔 처음 위치확인 시간이 늦기는 해도 정확한 위치를 찾아주니 문제가 없지만, 그렇지 않은 휴대폰에서는 직접 키패드로 입력해야 합니다. 매우 짜증나는 일이죠. 28일 발표된 내위치(My Location)은 이를 획기적으로..

개인지도에 KML 불러들이기(Import your KML, KMZ, and GeoRSS files)

11월 27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맵에 들어있는 개인지도(My Maps)에 구글어스용으로 만들어진 KML파일을 불러들일 수 있게 되었다는 내용입니다. 지금까지 개인지도에서는 다른 공개된 개인지도와 합칠 수도 없었습니다. 즉, 개인지도는 완전히 개인지도였던 셈이죠. 바로 전에 포스트한 공동으로 사용하는 지도(My Our Maps)의 경우에도 여러사람이 편집할 수 있다는 것 뿐이지, 여러개의 지도를 합칠 수 있는 방법은 없었습니다. 어쨌든 구글맵이 점점 좋아지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정말 이상하네요... 아래 본문에 설명한 내용을 이렇게 저렇게 여러번 실행시켜봤는데, 잘 안됩니다. 제 컴퓨터에 여러개의 KML이 있는데, 심지어는 한개만 임시로 만들어 저장을 해도 구글맵에 읽혀들어오..

공동으로 사용하는 지도(My Our Maps)

11월 27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이 블로그에 유독 개인지도(My Maps)를 활용한 사례에 대해 많이 소개되고 있는데, 이번엔 개인지도를 공동지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내용입니다. 예전에 만들어둔 개인지도를 선택하고 "Collaborate"라는 링크를 누르면 공동지도로 전환시킬 수 있습니다. 아는 분들만 초대할 수도 있고, 이 세상 누구나 함께 편집할 수 있도록 만들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예전에 만들어둔 관악산 등산로 지도를 클릭해서, 아래그림 오른쪽 위에 "Allow anyone to edit this map"을 클릭했으므로, 이 지도를 보시는 분은 누구나 편집하실 수 있습니다. (관악산 등산로를 잘 아시는 분은 편집에 동참해 주세요!) 구글맵에서 개인지도를 검색..

스트릿뷰를 더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Another way to take in the view)

11월 27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이제까지 스트릿뷰(Street View)와 구글맵 검색은 서로 분리가 되어 있었는데, 검색결과에서 클릭을 하면 나타나는 팝업 풍선에 스트릿뷰 프리뷰가 포함될 수 있도록 기능이 개선되었다는 소식입니다. 사실 업소정보에 모두 사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스트릿뷰 프리뷰가 포함된 것은 많은 도움이 될 수 있겠다 싶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풍선에서 스트릿뷰를 눌러보면, 어느 곳에 그 업소가 있는지 확인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우리나라는 간판이 무질서하다고 할만큼 많이 있어서 사진만 있다면 얼마든지 찾을 수 있겠지만, 미국엔 간판이 붙어있는 업소가 그다지 많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실, 스트릿뷰가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되려면, 스트릿뷰 영상에 위치표지..

구글맵에 지형지도 등장(Explore new terrain)

11월 27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맵에서 산이나 골짜기 등을 보다 사실적으로 볼 수 있는 음영지도 형식의 "지형지도(Terrain Maps)"가 추가되었다는 소식입니다. 이 기능은 우리나라 지역에 대해서도 적용은 됩니다만, 우리나라의 지형데이터가 너무 해상도가 낮아서(90미터 정도) 상세한 지형은 볼 수 없습니다.머... 그래도 축소를 하면 아래 그림처럼 꽤 이쁘게 보입니다. 아래 그림 우측을 보시면 Terrain이라는 버튼이 새로 생겼는데, 이것만 누르면 됩니다. 예전에 있던 Hybrid 버튼은 사라졌지만 "Satellite" 버튼을 누르고 체크박스를 누르면 하이브리드 맵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는 본문에서 언급된 그랜드캐년에 대한 지형지도 입니다. 사실적이죠? 참고로, 여기..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제가 본격적으로 블로그를 시작한지가 이제 한 4-5개월 정도 된 것 같은데, 오늘 드디어 RSS 구독자 수가 100명을 돌파했습니다. 물론 feedburner에 잡힌 숫자만이니, 더 많은 분들이 구독하고 계실 수도 있지만.... 어쨌든 정말 기쁩니다. 최근 들어 구독자 수가 80-90정도를 왔다갔다 했었는데, 100분을 돌파한 정도가 아니라 115분으로 훌쩍 뛰어 오른 것은 아마도 다음 블로그뉴스 베스트를 도둑맞았습니다, 차라리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려라~ 등 최근 두개의 글이 올블로그에 추천되면서 방문객이 많이 늘어 구독하신 분들도 늘어났지 싶습니다. 어쨌든... 너무 기분좋아서... 무슨 이벤트라도 해야 하는데... 생각나는게 없네요. 예전에 만약 이벤트를 한다면, 3D Connexion사의 Space..

기타 2007.11.28

EPA의 대기 오염원 지도(A breath of fresh air)

11월 26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미국 환경보호위원회(EPA: Enviromental Protection Agency)에서 대기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공장의 위치 및 오염 물질의 종류 등을 KML 파일로 작성해서 배포했다는 내용입니다. 오래전 구글어스로 오염지역 검색도 가능해라는 기사에서도 "위험한 폐기물 저장고, 처리장, 대기오염과 유독성 화학물질 방출 등 다양한 규제 프로그램을 통해 최소 10만 사이트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할 예정이라는 기사가 있었는데, 이번엔 한발짝 더 나간 모양입니다. 아래가 실행시켜본 예입니다.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색이 다르며, 높이가 높은 것은 오염물질을 많이 배출하는 공장을 나타냅니다. 우리나라는 아직 이런 자료를 공개하고 있지는 않지만, 앞으로 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