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1904

후진국 소액대출(마이크로 파이낸싱) 사이트 - Kiva.org

방글라데시의 그라민 은행과 설립자 유누스 박사에 대해서는 한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자신의 용돈 27달러를 대나무 공예품을 만드는 42명의 가난한 여성에게 빌려준 것을 계기로 시작된 그라민은행은 700만 명에게 65억 달러가량을 대출해줄 만큼 성장했고, 창립자인 유누스 박사는 2006년 노벨 평화상을받기도 했습니다. (소스 : 동아일보) 이와 같이 경제활동 의지는 있지만, 자본이 없는 극빈층에게 소액 장기저리 대출을 해주는 것을 마이크로파이낸싱(Micro Financing)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도 그라민 은행의 한국 지부인 신나는조합을 비롯해 여러 기관이 활동중이라고 합니다. 제가 소개해 드릴 Kiva,org도 마이크로파이낸싱 기관입니다. 다만, 주로 온라인으로 활동한다는 점이 다른 기관들과 차이가 ..

기타/WWW 2009.03.09

구글, 지진 검색 기능 추가(Shaking up seismic searches)

3월 5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에서 "earthquake"로 검색을 하면, 최근에 발생한 지진 형황을 볼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earthquake san francisco"과 같이 지역명을 함께 입력하면 그 지역에 관한 지진 발생현황도 볼 수 있고요. 우리나라에선 지진이 많지 않아 그다지 관심이 높지 않지만, 구글 본사가 위치한 샌프란시스코 인근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산 안드레아 단층대가 있기 때문에 툭하면 지진이 발생하고, 특히 최근엔 1906년에 발생했던 대지진이 다시 발생할 주기가 돌아왔다고 해서 많은 사람들이 두려워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 때문인지, 구글 LatLong 블로그에는 지진지도, 실시간 지진/화산 정보, 실시간 지진 발생현황 지도등 여러번 지진에 관련된 내용이..

HDR(하이 다이내믹 레인지) 사진 제작 방법

HDR(High Dynamic Range) 사진이란,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의 디테일을 최대한 살린 사진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자동 노출 브라케팅(AEB : Auto Exposure Bracketing) 촬영, 즉 노출을 정상, 과도 , 부족 하게 사진을 촬영 한후 합성해서 만듭니다. 우선 제가 맨처음 본 HDR 사진을 보여드리겠습니다. Flickr의 Stuck in Customs님이 촬영한 Kolorful Korea라는 서울 사진입니다. 우측 하단의 길을 보면, 차량의 빛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해질 무렵이나 좀 어두울 때 촬영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상태에서 촬영을 할 경우, 밝은 부분이 선명하게 보이면 어두운 부분이 구분되지 않고, 어두운 부분을 잘 보이도록 ..

호주 청소의 날과 안드로이폰(Cleaning up Australia, one map at a time)

3월 4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오스트랠리아에서 있었던 청소의날(Clean Up Australian Day) 행사에 관한 내용입니다. 세계를 깨끗히 하고 환경을 보호하자는 취지의 모임인 Clean Up the World라는 모임은, 여기를 읽어보시면 벌써 설립된지 16년이나 되었고, 유엔 환경 프로그램(UNEP :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과 공동으로 추진하는데, 120여개국에서 3,500만명 이상이 참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Clean Up the World 모임의 일환으로 오스트랠리아 청소의 날(Clean Up Australia Day)이 열렸다고 합니다. 이런 모임에 참가하고자 하는 단체는 반드시 구글맵(Google Maps)의 내지도(..

구글어스 영상추가 해답-우리나라도 갱신(Where in the world is... (Answers))

3월 4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엊그제 말씀드린 구글어스 위성영상/항공사진 추가지역에 관한 내용입니다. 아래 리스트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이번엔 우리나라도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영상이 추가된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서울 동북부-의정부 군산 새만금 일대 울산 일원 제주 남부 일부 아래는 지도로 표시한 것입니다. 청록색 지역이 이번에 영상이 추가된 지역입니다. 직접 보고 싶으시면 아래에 있는 KML파일을 실행시켜 보시면 됩니다. (기존 영상추가지역까지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민, 푸른하늘 ==== http://google-latlong.blogspot.com/2009/03/where-in-world-is-answers.html Wednesday, March 4, 2009 at 11..

360*180도 VR 파노라마 촬영방법

얼마 전부터 제가 360도*180도를 모두 돌아볼 수 있는 VR 파노라마 사진에 푹빠져 있습니다. 발단은 작년 11월 말 구글어스에 360*180 파노라마 레이어가 추가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이에 삘을 받아 장비를 구했고, 지난 설날에 고향에 다녀오면서 몇 장을 촬영하고, 내친 김에 구글어스로 360*180 파노라마도 제작도 하고, 지난 토요일엔 두번째 지오캐싱(Geocaching)을 다녀오면서 몇장 촬영을 했었습니다. 아래는 얼마전 워크샵때문에 다녀온 대명 비발디 파크의 야경입니다. view Panoramic photography of Korea 그러나, 아직까지 제가 어떤 방법으로 VR 파노라마를 촬영하고, 어떻게 편집을 하는지는 아직 글을 쓰지 않았는데, 이제는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정리를 ..

준비안된 서비스 : 네이버 "내지도"

네이버에서 "내지도(MyMap)"을 오픈했습니다. (참고 : ZDNet 기사) 제가 여러번 밝힌 것처럼, 구글맵(Google Maps)에서 제가 제일 좋아하는 기능이 내지도 기능이기 때문에 기사를 본 즉시 테스트해봤습니다. 결론적으로... 아직은 상당히 미흡한 수준입니다. 일단 아래는 제가 만든 우리집 약도입니다. 직접 보시려면 여기를 누른 후, 좌측에서 "우리집 약도" 아래에 있는 박스를 체크하시면 됩니다.

메디슨시, 자원봉사자에 의한 3D 모델 제작 (Community modeling in Madison, NJ)

3월 2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뉴저지주에 있는 작은 도시인 메디스(Madison)시가 자원봉사자들의 협력으로 3차원 가상도시로 거듭나는 과정을 담은 글입니다. 대략, 뉴저지주에 있는 메디슨 시의 시장이 구글어스 가상도시에 관심을 갖고, 보이스카우트 단원에게 가상도시 구축 프로젝트를 제안하고, 이 단원이 구글에 협력을 요청하는 한편, 자원봉사자들을 모아 현재 3D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혹시나 해서 구글어스에서 찾아봤는데, 아래 그림처럼 지금까지는 3D 건물이 하나도 없네요. 구글어스에 올라가 있는 3D 건물은 주로 2가지 방식으로 만들어집니다. 한가지는 사용자들이 Sketchup을 이용해 3D 모델을 만들어 3D 이미지갤러리(Warehouse)에 올리면, 구글에서 선택하..

구글어스 영상추가(Where in the world is...)

3월 2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어스(Google Earth)에 새로운 고해상도 항공사진 및 위성영상이 추가되었다는 내용입니다. 제가 이 블로그를 운영하기 시작한지로부터 지금까지, 2007/12/20, 2008/02/21, 2008/04/07, 2008/05/15, 2008/07/18, 2008/09/10, 2008/10/16, 2008/12/26등의 영상추가가 있었습니다. 대략 2개월만에 한번씩 업데이트하는 셈이네요. 저는 이 소식을 엊그제 Google Earth Blog를 통해 미리 접해서, 우리나라에도 일부 위성영상이 추가되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만, 어차피 내일 모래 리스트가 공개될 예정이므로, 저도 여러분께 직접 찾아보시라고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구글어스에서 어떠한 영상..

입체사진 제작 방법

제 전공이 측량이다 보니, 원래부터 입체사진을 좋아했습니다. 한동안은 여행갈 때마다 입체사진을 찍기도 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오래전, 제 개인 홈페이지를 가지고 있을 때 입체사진을 촬영하고 편집하는 방법을 기록해둔 글이 있었는데, 글을 하나 쓰려다보니, 입체사진과 관계있는 글이어서, 급히 예전 글을 찾아내어 편집해 올리게 되었습니다. 사진을 입체로 볼 수 있는 원리 사람이 사물을 입체로 볼 수 있는 것은, 즉 거리감을 알 수 있는 것은 눈이 2개이기 때문입니다. 앞에 있는 물건은 두 개의 눈이 바라보는 시야각이 커지고, 뒤에 있는 물건을 불 때에는 시야각이 작아지는 것을 두뇌의 활동으로 거리감으로 환산한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물론, 시야각만으로 거리감을 알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한쪽 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