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1904

포털 지도 전쟁, 다음 단계는? (2)

작년부터 시작된 포털들의 지도 전쟁이 이제 본격적인 국면에 접어들었습니다. 다음지도, 네이버 지도, 야후 거기지도, 파란지도 등 여러 포털들에서 자기만의 강점이 있다고 주장을 하고 있죠. 현재로서는 스카이뷰와 로드뷰로 승부수를 띄운 다음지도가 명백한 승리로 보입니다. 하지만, 포털의 지도전쟁은 이제 시작일 뿐입니다. 저번 글에서는 주로 왜 포털들이 지도콘텐츠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는지에 대한 이유,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콘텐츠가 어떻게 강화될 것인지에 대해 썼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서비스되지 않고 있지만, 가까운 시일내로 나갈 수 밖에 없는 방향에 대해 써보고자 합니다. 즉, 포털의 지도전쟁이 계속된다면, 벌써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서비스하고 있는 여러가지 기능이 우선적으로 도..

구글 지도제작도구, 경로안내 지원(The maps you made just got directions)

3월 10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의 지도제작도구(MapMaker)에 경로 안내 및 경로 편집 기능이 추가되었다는 내용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구글 지도제작도구를 사용할 수 없지만, 사용가능한 160여개국에서는 아주 기쁜 소식일 것 같습니다. 특히, 경로안내를 실행시켜보면 도로가 잘못 입력된다던지 눈으로 봤을 때는 연결된 것 같지만, 실제로는 떨어져 있는 등의 오류를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얼마전 구글제작도구로 만들어진 16개국의 지도가 정식으로 서비스되기 시작되었다는 내용도 있었는데, 날이 갈 수록 쓸만해 지는 것 같네요. 아래는 원문에 예제로 나와 있는 호지민(Ho Chi Minh) 시로부터 티엔하우 파고다(Thien Haw Pagoda)까지 경로안내를 실행시켜 본 모..

과학분야 KML 콘테스트 당선작 발표(And the award goes to...)

3월 9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작년 11월에 공지되었다가, 12월에 마감이 연장되었던 과학분야 KML 콘테스트의 최종 결과 소식입니다. 아래 원문을 보시면 학생부문과 전문가 부문 각각 당선자가 나와 있습니다. 당선작은 구글 갤러리 페이지와 구글어스 교육 웹사이트에 전시될 예정이라는데, 아직까지는 올라오지 않은 것 같네요. 당선자 이름만 있고, 제목은 없어서 혹시 올라와 있다고 해도 검색할 방법이 없습니다. 아래는 구글 갤러리 페이지에 들어 있는 International Flight Simulation을 실행시켜 본 모습입니다. 이렇게 보면, 왜 미국행 비행기가 알래스카 쪽으로 올라(?)갔다가 내려가는 지 쉽게 알아 볼 수 있네요. 민, 푸른하늘 ==== http://google-la..

우리나라의 새로운 지도 매쉬업 정리

제가 오래전에 우리나라의 지도 매쉬업 정리라는 글을 올렸습니다. 이 글에서는 여행지도 3개, 사진공유 1개, 단순지도 서비스 3개 정도를 정리했지만, 여행지도 외에는 실질적인 매쉬업은 없어, 우리나라 전체로 보면 거의 매쉬업이란 없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런데, 작년 11월 말, 구글 코리아에서 우리나라 지도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글로벌 구글맵과 다른 서버를 사용하고, 위성영상 확대범위가 제한되며, 길찾기/내지도 기능이 빠져 있어 반쪽짜리 서비스에 불과하지만요. 우리나라 지도 서비스가 오픈되면서 구글맵 API도 제공되기 시작했습니다. 제가 발표를 했던 구글지도 파트너데이도 사실, 구글맵 API의 이용을 활성화가 주제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이제 3달쯤 지난 지금, 여러가지 구글맵 매시..

블로거로서 산다는 것 - GIS Review 인터뷰 기사

얼마전 공간정보통신에서 발행하는 GIS Riview라는 잡지로부터 인터뷰를 받았습니다. 사실 널리 알려진 잡지가 아닌 관계자 분들께 무료로 배포되는 잡지인지라, 기사가 났다는 게 별거는 아닙니다. 다만, 그동안 제가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경험한 점에 대한 인터뷰 기사이고, 제가 꼭 한번 써 보고 싶은 글이었기 때문에 글을 올리려고 합니다. 아래에 있는 그림은 pdf파일을 jpeg으로 전환한 것입니다.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인터뷰 내용입니다. 위의 그림에 나와 있는 글과는 약간 차이가 있지만, 내용상으로는 완전히 동일합니다. ==== 1. Web2.0과 인터넷 지도란 블로그를 시작하게 되신 계기는 어떻게 되십니까? 블로그란 걸 알게된 건 벌써 몇년전이었는데, 작년초에 웹 2.0에 대해서..

기타 2009.03.12

구글맵 코리아, 대중교통 길찾기 정식 서비스!

어제 아침에 구글맵 우리나라 대중교통 길찾기를 지원한다???라는 글을 올렸는데, 대중교통 길찾기 기능이 정식으로 오픈되었습니다. 다만, 일반 길찾기, 즉 자동차용 길찾기 기능은 여전히 없습니다. 지금 우리나라 구글맵에 접속하셔서, 왼쪽 위를 보시면 길찾기 링크가 활성화되신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는 길찾기 링크를 클릭해 본 모습니다. 대중교통 길찾기로 직접 들어가시려면 여기를 누르시면 됩니다. 이곳에 들어가면 몇가지 예제도 나와 있습니다. 아래는 우리집에서 전주시 덕진공원으로 길찾기를 해본 모습입니다. 서울 부근을 확대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정말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끔 잘 나옵니다. 다만, 저는 일반적으로 버스를 탄후, 지하철로 갈아타서 가는데, 지하철을 이용하는 방법은 나오지 않습니다. 여러가..

풍선으로 비디오를 날리는 프로젝트(Balloon Project)

풍선 프로젝트(Balloon Project)는 캠코더를 풍선에 매달아 지상의 모습을 촬영하는, 아주 간단한 아이디어 입니다. (via Digital Urban) 헬륨개스를 채운 풍선 30개 정도면 캠코더를 날릴 수 있고, 적당히 바람이 부는 날이면 바람에 실려 날라가면서 지상의 모습을 촬영할 겁니다. 이것을 자전거를 타고 쫒아가 회수하면 되고요. 이런 간단하지만, 재미있는 아이디어를 처음 낸 분은 이라 모웬(Ira Mowen)과 루카 안토눅(Luca Antonucc)이란 분으로, 2005년에 샌프란시스코의 모습을 담아보고 싶다는 생각에서 출발했다고 합니다. 현재까지 아래 지도에서 보는 것처럼, 미국 및 유럽 여러 도시에서 이 분들을 초청해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이렇게 촬영된 영상을 유튜브에 올리자, 50..

공간정보/측량 2009.03.11

구글어스에 새로운 사용자제작 3차원 도시 등장(New 3D cities in Google Earth)

3월 6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며칠 전 매디슨시, 자원봉사자에 의한 3D 모델 제작이라는 글을 올렸는데, 두개의 도시가 추가되었다는 내용입니다. 하나는 스위스의 루체른이고, 다른 하나는 캘리포니아의 산타로사입니다. 엔싸이버에 따르면 스위스 루체른은 "중세 스위스 도시의 모습 중 가장 아름다운 풍경을 지닌 구 시가지를 중심으로 역사적인 유산들이 많이 남아있다"고 합니다. 아래는 구글어스에서 루체른(Lucerne)을 들러본 모습입니다. 생각보다 3D건물이 많지 않네요. 아래는 Encyber의 루체른 모습인데, 구글어스에서 똑같은 모습을 찾아보려고 했지만... 비슷한 곳은 있지만, 같은 곳으로 보이는 곳은 못찾았습니다. 산타로사쪽도 마찬가지 입니다. 제 생각에는 적어도 한 1,000개 정..

구글맵, 우리나라 대중교통 길찾기를 지원한다???

정말 이상하지만... 구글맵(Google Maps)에서 우리나라 대중교통을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우선 경위부터... 조금 전, 구글 대중교통 500%성장 이라는 글을 포스팅한 뒤 여기저기 만져보는 도중에, 구글 대중교통 사이트에 들어갔다가 갑자기 우리나라에서 전국의 대중교통정보를 지원한다는 내용을 발견했습니다. 아래가 인증샷입니다. 우리나라 전국에 대해 버스(도시지역), 지하철, 고속버스 정보를 제공한다고 쓰여져 있습니다. 여기에서 전국이라는 링크를 눌러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좀 이상하죠? 많이 이상한가요? 그렇죠... 우측 지도부분에 도로가 하나도 표시되어 있지 않은데, 좌측을 보면 검색예가 나와 있으니까요. 아래는 좌측에 있는 검색 예 중에서 충북 대청댐에서 부산 해운대(으)로 라는 링..

구글대중교통정보, 500% 성장(Google Transit at TransITech: A year later and 500% greener)

3월 5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맵 대중교통정보의 지난 1년간의 성과를 요약한 글입니다. 현재 구글맵에서 대중교통을 확인할 수 있는 도시는 총 250개 도시로서 작년에 빟 500% 성장한 것이라고 합니다. 특히 저로서는 일본 전역과 중국 80여개의 도시에서 대중교통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게 정말 부럽다 싶습니다. 이렇게 구글맵 대중교통정보가 활성화 된 것은 무엇보다 구글에서 오픈 포맷으로 공개한 구글 대중교통정보 피드사양(GTFS : Google Transit Feed Specification) 덕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가 대충 읽어본 정도로도, 어떠한 대중교통 정보라도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포맷이라고 판단됩니다. 이와 같은 오픈 포맷으로 대중교통정보를 공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