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Earth 472

일제에 의해 빼앗긴 땅, 간도(間島)는 어디인가?

얼마전, 구글어스에 럼지 고지도 콜렉션이 갱신되었다는 뉴스를 올리면서 우리나라 주변을 둘러보았습니다. 혹시나 해서 동해를 어떻게 표기하고 있는지를 확인해 보았더니, 동해가 표기된 4개의 지도 중에서 유감스럽게도 단 1개만 한국만(Gulf of Corea)라고 표기되어 있다는 사실도 말씀드렸습니다. 그런데, 이 지도들을 보다가... 우연히 간도지방을 쳐다보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정말 저의 상식과는 전혀 다른 경계를 보게 되었습니다. 아래가 그 지도들 입니다. 아래지도는 Asia_1787이라고 표기된 지도입니다. 노란 선은 현재의 국경이고, 빨간선으로 표시한 것은 지도상에 압록강 및 두만강으로 보이는 선을 표시한 것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우리나라 경계가 압록강-두만강이 아니고, 훨씬 더 북쪽으로 표기되어..

구글어스 2008.05.17

중국 쓰촨(Sichuan)성 위성영상(Imagery for Sichuan, China Earthquake)

5월 15일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중국 쓰촨(四川, Sichuan)성에서 발생한 대지진 이후 촬영된, 위성영상을 KML로 배포한다는 내용입니다. 아래는 이 KML과 함께, 어제 제가 올린 중국 쓰촨성, 대지진으로 피해 입은 댐의 위치 에서 말씀드린 KML을 함께 실행시켜 본 모습입니다. 중앙 윗부분에 보이는 분홍색, 그리고 그옆의 큰 사각형이 KML에 들어 있는 Formosat2 위성영상입니다. 좌측 아래쪽의 노란 색 원은 진앙지의 위치, A는 청두(成都)시, B는 쯔핑 댐이며, 다른 노란 핀은 모두 중소 규모의 댐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원문과는 달리 댐의 위치와 위성사진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네요. 그리고, 흑백영상의 해상도는 2 미터, 칼라 영상의 해상도는 8 미터 정도라고 하는데,..

미얀마 지역의 최신 지도(Myanmar maps update)

5월 14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사이클론 나르기스가 휩쓸고 간 미얀마(버마)지역에 대한 상세한 지도가 제공된다는 내용입니다. 다만, 이 지도는 맵플릿을 통해 중첩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검색이나 경로 안내가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래도 상세한 주변상황을 보는데는 전혀 문제가 없을 정도 입니다. 아래는 맵플릿을 실행시킨 모습과, 맵플릿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의 양곤 시내의 모습을 비교해 본 것입니다. 제일 간략하게 보이는 지도가 원래 미얀마 지역의 지도이고, 도로망이 많은 것이 이번 맵플릿으로 추가된 상세지도, 마지막으로는 빨간색은 범람지역, 회색은 5월5일의 구름의 위치를 표시한 지도입니다. 이 지도를 보면서 좀 의문이 생겼습니다. 저는 오버레이(중첩) 지도라고 하여 그냥 그림(래스터 ..

중국 쓰촨성, 대지진으로 피해 입은 댐의 위치

오늘 중앙일보의 "쓰촨성 일대 댐 균열 … ‘2차 재앙’ 초비상"이라는 기사의 첫 부분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중국 쓰촨성(四川) 대지진의 여파로 주변 댐에 심각한 균열이 발생, 2차 재앙의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 쓰촨성 성도 청두(成都) 인근인 두장옌(都江堰) 상류지역 쯔핑(紫坪)댐에 14일 매우 위험한 균열이 발생해 군 병력 2000명이 긴급 투입됐다고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수자원 업무를 총괄하는 수리부는 쯔핑댐에 대형 문제가 발생할 경우 두장옌시 전체가 침수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당국은 이 같은 2차 재앙을 막기 위해 긴급 지휘센터를 설치하고 쯔핑댐에서 하류로 흘려보내는 물의 양을 평소보다 50% 늘려 수위를 낮춰 가고 있다. 이와 관련, 이날 중국 국무원 산하 거시정책 담당 부처..

구글어스 2008.05.15

구글어스 영상추가 해답(Where in the world is... (Answers))

5월 14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어제 올라온 구글어스 영상추가 관련 해답입니다. 맨 아래에 보면 이번에 추가된 지역에 대한 전체 리스트가 있습니다. 아시아 지역에선 인도, 이란, 방글라데시, 타이, 베트남,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에 새로이 고해상도 영상이 추가되었다고 하네요. (우리나라와 일본은 없습니다.) 그런데... 리스트를 쭉 보다가... 익숙한 곳을 발견했습니다. 맨 아래쪽에 "Updated Terrain", 즉 지형(DEM)데이터가 추가된 곳에 아일랜드 웨스트포트(Westport, Ireland)도 포함되어 있는데, 제가 오래 전에 "구글어스에서 가장 멋진 3차원 도시"라고 소개시켜드린 바로 그곳입니다. 그러면 당연히 뭐가 달라졌는지 가봐야겠죠? 직접 가보시려면 여기를 누르..

구글어스 영상추가(Where in the world is...)

5월 13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또다시 구글어스에 영상이 추가되었다는 내용입니다. 예전과 마찬가지로 퀴즈 형태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어, 따로 번역은 하지 않았습니다. DIgital Earth Blog 및 Google Earth Blog에 일부 답이 올라와 있는데, 주로 미국, 포르투칼, 이탈리아, 오스트랠리아 등이 갱신된 것 같습니다. 대충 살펴보니 우리나라 지역엔 영상 업데이트가 없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혹시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제가 예전에 올린 "구글어스 영상추가지역 확인방법"이라는 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아래는 올해 4월 1일날 우리나라 지역에 추가된 지역을 보인 그림입니다.노란색은 고해상도 영상이 추가된 곳이고, 초록색은 2.5미터 영상이 추가된 곳입니다. 민..

구글어스에 럼지 고지도 추가

5월 12일자 구글 LatLong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어스에서 럼지 고지도 레이어(Rumsey Historical Maps)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우선 이 레이어에서 볼 수 있는 지도가 16개에서 120개로 증가되었습니다. 이렇게 되다 보니, 예전에는 럼지고지도 레이어를 열면 지도 리스트가 떴는데, 이제는 너무 갯수가 많아서 아래 그림처럼 아이콘으로 대체가 되었습니다. 참고로, 예전의 레이어에 대한 내용은 "데이빗 럼지 고지도를 세컨드라이프에서 보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지도가 많이 추가되면서 예전에 럼지 고지도 콜렉션 중에서 우리나라가 나오는 지도는 World Globe(1790)와 Asia(1710) 등 2가지만 있었는데, 다음 그림과 같이 총 7개의 지도를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중에서..

사이클론 나르기스 관련 자료 종합(Master collection of Cyclone Nargis layers)

5월 11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몇 번에 걸쳐 나왔던 사이클론 나르기스 관련 자료를 종합한 KML을 작성하였다는 내용입니다. 이번 KML은 4번에 걸쳐 나왔던, 다음과 같은 나르기스 관련 자료가 모두 들어 있습니다. 사이클론의 이동 경로 및 풍속(관련 기사 : 여기) 나르기스의 이동 경로 추적 (관련 기사 : 여기) MODIS 위성 영상 홍수 분석 (관련 기사 : 여기) 신규 : ZKI/DLR의 위성 홍수 지도 미얀마 보건부 의료시설 (관련 기사 : 여기) 여러 기관에서 제공한 위성영상 (관련 기사 : 여기) 다음은 이 KML을 실행시킨 후, 일부 레이어만 활성화시키고 양곤(Yangon)지역을 확대해 본 것입니다. "H" 및 핀들은 병원의 위치이며, 지도는 ZKI/DLR의 위성 홍수..

멀티터치 스크린 개발한 제프 한, 타임 선정 영향력 인물 100인에 선정

오늘 동아일보에 "재미교포 컴퓨터 공학자 제프 한, 타임 선정 ‘영향력 인물 100인’에 라는 기사가 떴습니다. "재미교포 2세 컴퓨터 공학자인 제프 한(Jeff Han) 씨가 미국 시사주간 타임이 선정한 ‘2008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 중 과학자·사상가 부문에 한국계로는 유일하게 선정됐다"는 것입니다. 제프 한은 현재 뉴욕대 연구원으로, 2006년 캘리포니아 주에서 열린 기술·연예·디자인(TED) 회의에서 혁신적인 멀티 터치 스크린 기술을 선보여 유명해진 분으로, 벤처기업 ‘퍼셉티브 픽셀’을 설립해 미 중앙정보국(CIA)과 CNN방송에 멀티 터치 스크린을 공급하고 있다고 합니다.추가 : 5월 11일 SBS 8시뉴스에 제프한의 모습과, 멀티터치 시연장면이 방송되었습니다. SBS 뉴..

구글어스 2008.05.11

미얀마 사이클론 피해 복구에 구글어스 활용

5월 9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미얀마(Myanmar)에서 발생한 사이클론 피해 복구를 위한 노력에 구글어스가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며칠전부터 구글 LatLong 블로그에 피해지역을 나타낸 KML, 사이클론 나르기스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KML, 피해지역 위성영상을 볼 수 있는 KML 등 나르기스의 상황을 알려주는 내용이 많았습니다만, 이번엔 구글어스를 이용해 피해복구 지원에 활용하는 내용입니다. 먼저 아래 원문에서 언급된 미얀마 보건부 의료시설의 위치를 표시한 KML을 실행시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에서 빨간 십자가로 표시된 것은 1~2급 의료시설, 빨간 핀은 3-4급, 파란 핀은 5-8급 의료시설로, 클릭을 해보면 병원명, 고유번호, 병상수 등의 정보가 들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