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맵 421

구글맵 스트릿뷰(StreetView)의 모든것

스트릿뷰(Street View)는 구글맵(Google Maps)의 확장기능으로서 2007년 5월 29일 최초로 개시되었습니다. 구글의 회장 에릭 슈미츠(Eric Schmidt)가 서울 디지털포럼 2007(Seoul Digital Forum 2007)의 특별연설에서 발표해서 화제가 되었죠. 서비스가 나왔을 당시, 폭발적인 관심을 끌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의 라이브 로컬 스트리트 서비스와 비교하여 어느 것이 우수하다고 논쟁을 벌이기도 했었습니다. 하지만, 스트릿뷰는 타임즈지 선정 2007년 컴퓨터부문 최고의 발명품에도 6위로 선정될 만큼 끊임없이 화제를 몰고 다니고 있습니다. 사실 이제 많은 분들이 스트릿뷰에 대해서 알고 있고, 기능도 그다지 복잡하지 않기 때문에 따로 소개드릴 필요는 없..

우리나라도 스트릿뷰 서비스 개발중!!

제가 이 블로그에 구글맵(Google Maps)의 대표적인 서비스라고 할 수 있는 스트릿뷰(Street View)에 관한 글을 여러번 올렸고, 얼마전엔 그와 유사한 서비스에 대해서 글을 올렸더랬습니다. 글을 쓰면서 항상 우리나라에도 스트릿뷰와 비슷한 서비스가 있으면 좋겠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도 지금 이 순간 구글맵 스트릿뷰와 유사한 서비스가 개발중에 있습니다. 그것도 2가지나 개발중이죠. pixKorea의 RealStreet 첫번째는 pixKorea라는 회사에서 개발중인 RealStreet(가칭)이라는 서비스입니다. 먼저 촬영장비부터 보겠습니다. 아래 그림에서 차량위에 촬영 장비가 설치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 그림은 촬영장비 부분을 자세히 들여다 본 것입니다. 뚜껑 위에는 ..

스트릿뷰(Street View)와 유사한 서비스 모음

스트릿뷰(StreetView)는 어떤 지점에서 360도로 촬영된 파노라마 사진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2007년 5월말 최초로 서비스되었고, 현재 미국내 30개의 도시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스트릿뷰 시스템에 대해서는 따로 정리를 할 예정이니 이 정도로 넘어가겠습니다. 사실 스트릿뷰는 알고보면 그다지 기술적으로 복잡하지 않습니다. 그 때문에 이와 유사한 서비스도 여럿 존재합니다. MapJack 맨 처음은 MapJack 입니다. About MapJack이라는 글을 보면, 다른 사람들은 엄청난 예산과 스타워즈에나 나올법한 장비를 동원해서 만들었지만, 자기네들은 쥐꼬리만한 예산으로 일반 전자제품판매상(Radio Shack)에서 구할 수 있는 제품들로 자신들만의 장비를 만들었다고 강조를 하고 있습니다. 이 서비..

사라진 스트릿뷰 영상!

3월7일자 매경에 "구글, 美국방부 요구 수용…이미지 일부 삭제"라는 기사가 떴습니다. 이에 대해 구글 비공식 블로그에서도 간단히 소식을 전하고 있구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미 국방부의 진 르노 장군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구글의 스트리트 뷰 서비스에 제공되는 이미지들이 군 부대 보초의 위치, 방벽 모양 그리고 출입구를 노출한다"며 "군사시설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방부와 구글이 이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있으며 회사 측이 일부 이미지들을 제거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구글의 래리 유 대변인도 "국방부의 우려를 전달받았다"고 전하며 "국방부의 요구를 수용하고 있다"며 확인했다.이 기사를 보면서 저는 참으로 의아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우리도 길을 가다보면 여기저기서..

유럽 초현대식 건물 소개 사이트

오랜만에 재미있는 구글맵 매쉬업 하나 소개시켜 드립니다. MIMOA (mi Modern Architecture), 즉 "나만의 현대식 건축물"이라는 사이트입니다. (via GoogleMapsMania) 사이트 주소는 http://www.mimoa.eu/입니다. 대문에 들어서니 아래 그림과 같은 사진이 보였습니다. (지금은 바꼈네요.) 첫눈에 바코드처럼 생겼지만, 자세히 보시면 건물이라는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일반 Web2.0 스타일의 지도 매쉬업처럼, 누구나 멋진 건물을 올릴 수 있고, 평점도 매길 수 있으며, 코멘트도 달 수 있습니다. 현재는 약 1,000여개의 건물이 등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아래는 이 사이트를 들어가면 볼 수 있는 지도로서, 나라별로 몇개의 건물이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

미니 슈퍼화요일 선거결과 지도(Off to the races)

3월 4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3월 4일은 미니 슈퍼화요일이라고 부르는, 미국 대통령선거 경선에서 매우 중요한 날입니다. 미니 슈퍼화요일에서는 텍사스, 오하이오, 로드아일랜드 및 버몬트 등 4개 주에서 프라이머리가 이루어지는데, 특히 민주당의 경우 현재 12연승을 통해 근소하게 앞서고 있는 오바마와 힐러리 간의 거의 마지막 결론이 날 수도 있는 시점이라서 매우 관심이 높습니다. 구글은 어제 벌어진 슈퍼화요일 선거 결과 및 예전의 선거 결과를 모두 한꺼번에 열람할 수 있는 지도를 만들었습니다. 지금 (3월5일 10시 47분) 현재, 가장 관심의 촛점이 되고 있는 텍사스주에서 오바마 상원의원이 48만:36만으로 한참 앞서고 있네요. 이 지도는 웹페이지나 블로그에 삽입할 수도 있습니다. ..

구글맵 실시간 주차장 정보 제공(Finding that free space)

3월 3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에서 캘리포니아주 산타모니카시와 협력하여 시영주차장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한다는 소식입니다. 여기를 누르시면 아래와 같이 맵플릿 추가 여부를 묻는 화면이 나옵니다. 그냥 "Maps에 추가" 단추만 누르면 여러분이 만들어둔 개인지도 아래에 추가가 됩니다. 물론 구글계정에 로그인을 해야 하죠. 맵플릿을 추가하면 자동적으로 산타모니카 지역으로 이동되고,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현재 미국은 한밤중이니 대부분의 시영주차장이 비어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맵플릿은 다른 사람이 만든 지도를 여러개 겹쳐볼 때 매우 유용합니다. 즉, 주택가격에 대한 맵플릿, 공원에 관한 맵플릿, 범죄발생율 맵플릿이 있다면 모두 함께 비교를 할 수 있죠. 자세한 내용은 여..

美 버지니아에 ‘코리아 마을’

오늘자 중앙일보와 동아일보에 기사가 났습니다. 미국 버지니아에 "Korea RD."가 있다는 내용입니다. 이 기사를 보자마자 저는, 제가 1월 14일에 쓴 "미국에도 영국에도 Korea가 있네요~"라는 글이 생각났습니다. 구글맵에서 "Korea, US"라고 검색을 하면 2군데가 검색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캐나다와 영국에도 이와 비슷하게 "Korea"란 지명이 존재한다고도 말씀드렸고요. 아래는 구글맵에서 찾아낸 Korea라는 지명입니다. 직접 눌러보시면 구글맵으로 연결됩니다. Korea, Uninc Culpeper County, Culpeper, VA Korea, Unnic Menifee County, KY 동아일보 기사에 따르면 버지니아주 컬페퍼 카운티에 Korea Rd가 존재하게 된 유래는, "1899..

구글맵으로 나만의 지도 만들기

구글맵에는 스트릿뷰(StreetView)를 비롯해 정말 많은 기능이 있지만, 저는 무엇보다 내지도(My Maps)가 가장 훌륭한 기능이라고 생각합니다. 구글 계정만 있다면, 누구나 "내지도"를 활용하여 우리집 약도든, 스키장 지도든 아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다른 사람과 공유하거나 심지어는 지도를 공동으로 관리할 수도 있으니까요. 물론, 우리나라 인터넷지도에도 지도를 만들고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고 말하실 분도 계실 겁니다. 하지만, 제가 보기에 우리나라 인터넷지도에서 제공하는 지도만들기/공유하기 기능은 구글의 내지도에 비하면 기능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시간을 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내지도를 맨처음 만드는 방법으로부터, 위치표지/선/면 등을 입력..

뉴욕현대미술관에 전시된 구글맵 매쉬업 14선

며칠전 구글문 과 구글 화성이 뉴욕 현대 예술 박물관에서 2월 24일 부터 시작되는 디자인과 유연한 정신(Design and the Elastic Mind) 전시회에 전시되었다는 소식을 전해드렸습니다. 그런데, 오늘 Google Maps Mania를 통해 이 두 가지 제품외에도 총 14개의 구글맵 매쉬업이 뉴욕현대미술관에 전시중이라는 소식을 접했습니다. 디자인과 유연한 정신 전시회에 대한 온라인 전시회는 여기를 누르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전시회는 플래시로 만들어져 있습니다.(최신 버전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선정된 14개의 구글맵 매쉬업은 Visualization -> Harvesting the internet 으로 분류가 되어 있네요. 검색창에 Google이라고 입력하시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