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1868

스웨덴 스톡홀름의 3차원 지도

스웨덴의 검색 및 인터넷지도 사이트인 hitta.se에서 3D map of Stockholm 서비스를 시작하였다고 합니다.(via Ogle Earth) 별도의 플러그인 등을 설치할 필요는 없고, 자바(Java) 만 설치되면 작동이 되므로, 윈도, 맥, 리눅스 등 모든 O.S.에서 이상없이 돌아간다고 합니다. 문제는 글이 스웨덴어라서 전혀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는 것. 그러다보니 실행시키기가 너무 힘들더군요. 일단 여기에 접속하시면 다음과 같은, 아마도 사용법인듯한 그림이 뜹니다. 여기에서 아래쪽에 있는 체크박스를 누르고 빨간 단추를 누르면 접속이 됩니다. 그런데, 아직도 제 컴에서는 Applet 이 잘못되었다면서 실행이 안되네요. 아래는 Ogle Earth에 실려있는 실행 화면의 예입니다. 아래는 유튜브에..

구글맵, 유럽축구선수권대회(유로 2008) 지도 제작

5월 29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현지 시각 6월 7일에 시작되는 유럽축구선수권대회와 관련된 지도 등이 만들어 졌다는 소식입니다. 먼저 구글 유로 2008 팬 지도를 클릭하고 들어가보시면, 아래 그림처럼 여러 국기와 경기장 그리고 축구공 하나가 표시된 지도가 뜹니다. 국기는 참가국을 의미하며, 대표팀 선수 명단, 경기 일정 등에 관한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장 아이콘을 누르면 그 경기장에 관한 정보, 축구공을 누르면 조편성표 등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지도 좌측편을 보면, 팀(국기)나 경기장 정보를 끄거나 켤 수 있도록 되어있는데, 그 옆에 "Bar/Club" 즉, 술집이나 클럽 정보를 켤 수 있는 체크박스가 있습니다. 이 박스를 누르면 아래 그림처럼 유럽 전역이 술집으로 뒤덮..

구글어스가 웹 브라우저 속으로!(Google Earth, meet the browser)

5월 28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어스(Google Earth)를 웹 브라우저 속에 삽입할 수 있게 되었다는 내용입니다. 정말 근간의 소식중 가장 놀라운 소식 같습니다. (참고 : ZDNet Korea 뉴스) 구글이 제공하는 지오 브라우저(Geo Browser), 즉, 전세계의 위성영상, 3차원 모델, 기타 관련 정보를 볼 수 있는 브라우저는 크게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제일 널리 잘 알려진 것이 구글어스(Google Earth)이고, 다른 하나는 구글맵(Goolge Maps)입니다. 구글맵(Google Maps)은 AJAX로 구현되어 인터넷 익스플로러(Explorer), 파이어폭스(Fire Fox)등 일반 웹 브라우저에서 돌아가는 어플리케이션이며, 구글어스(Google Eart..

아이폰(iPhone)용 구글어스 - 우리나라는??

Google Earth Blog를 운영하는 프랭크 테일러(Frank Taylor)씨가 2 주전에 열렸던 Where 2.0에 참석했다가, 가장 감명깊게 봤다는 한 회사의 제품을 소개하는 글을 올렸습니다. 미국 콜로라도주 보울더(Boulder)시에 소재한 earthscape 라는 회사가 만든 제품입니다. 테일러씨는 이 회사의 전시장에서 여러가지 재미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많이 보았는데(아래를 읽어보세요), 그 중에서도 가장 재미있었던 것은, Earthscape사의 사장인 Tom Churchill 씨가 직접 시연해 준 아이폰(iPhone)용 3차원 지구 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 아래는 테일러씨가 직접 촬영해서 올린 비디오입니다. 비디오를 보시면, 먼저 지구 전체모습을 볼 수 있고, 멀티터치 방식, 그러니까 두 손가..

구글어스 2008.05.27

항공사진+스트릿뷰+버드아이뷰를 한꺼번에 보기

구글맵(Google Maps)의 위성영상과 스트릿뷰(Street View)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작한 버추얼어스(Virtual Earth)의 버드아이뷰(Bird's Eye View)를 한꺼번에 비교해가며 볼 수 있는 사이트를 소개시켜 드리겠습니다. DualMaps라는 곳입니다. 접속을 하면 영어가 잔뜩 쓰여있지만, 다 무시하고 아래 쪽으로 내려가셔서 Create라는 버튼만 눌러주면 이 세가지 지도/사진을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물론 이왕이면 자신이 보고싶은 곳이나 아는 곳을 설정한 뒤에 보는 게 낫겠죠. 지역을 설정하는 방법은 A:좌표입력, B:지도에서 직접선택, C:구글맵의 위치검색 등 3가지가 있습니다. 세가지 모두 연동되므로 아무 거나 한가지만 사용하면 됩니다. 아래는 구글에서 구글의 본사인..

초대형 홀로그램 지구본

홀로그램 지구본... 사실 제목이 마음에 안듭니다. 홀로그램이 아닌 걸 홀로그램이라고 부르다니... 제가 참고한 Ogle Earth 글에서는 Spherical display, 즉 "공모양의 디스플레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만, 마음에 안들어서 고민하다가 홀로그램 지구본이라고 제목을 붙였습니다. 더 좋은 이름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쨌든... 제가 홀로그램 지구본이라고 부르는 것은, 지구나 천체와 같이 둥근 물체가 움직이는 모습을 공모양의 스크린에 투사하여 보여주는 장치를 말합니다. 먼저, 예전에 "지도박물관에 꼭 있었으면 하는 홀로그램 지구본"에서 크기가 작은 홀로그램 지구본을 소개시켜드린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Ogle Earth의 글을 통해 대형 홀로그램 지구본도 많이 있다는 ..

샌프란시스코 남부 산불지도(Map of Santa Cruz Mountains wildfire)

5월 22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샌프란시스코 인근에 산불이 난 모양입니다. 산호세 머큐리 뉴스(San Jose Mercury News)에서는 이 산불에 관한 여러가지 정보를 담은 개인지도를 제작하였습니다. 뉴스 기사외에도 사진이나 비디오 등이 들어 있고, 이 지도를 통해 사용자들이 직접 사진이나 비디오를 올릴 수도 있습니다. 아래는 산불이 난 지역만 확대해 본 모습입니다. 대략 가장 긴 쪽으로 10km 정도이니 작년 10월 남부 캘리포니아를 휩쓸었던 산불에 비해서는 규모가 크지 않은 것 같습니다. 참고로 그때 제작되었던 산불지도에 대해서는 여기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아래 원문에 있는 지도는 삽입(Embed)된 것이므로, 직접 클릭해 보면 여러가지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

인디아나 존스에게 구글어스가 있었다면?

인디아나 존스처럼 정글을 누비며 고대의 보물을 찾던 시대는 이제 과거의 일이 되었습니다. 현대의 고고학자들은 미항공우주국(NASA)의 위성이나 구글어스와 같은 첨단기술을 이용하여 과거의 영광을 찾아내고 있습니다. 고대의 건물들이 설령 파괴되지 않았더라도, 오래전에 흙이나 물, 모래, 화산재 혹은 무성한 식물에 묻혀 버렸을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따라서, 이런 건물들을 맨눈으로 찾아내기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고고학자들은 이런 곳을 찾아내는 방법을 터득해가고 있습니다. 세계1차대전이래, 저고도에서 촬영하는 항공사진은 다방면으로 이용되어 왔습니다. 고고학적으로도 항공사진을 이용하면 이상하게 생긴 언덕이나, 경치가 주변과 조화되지 않는 지역을 확인할 수 있어, 유적을 찾아내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공간정보/측량 2008.05.25

구글맵 매쉬업 적용사례 홍보 사이트 오픈(In their own words)

5월 22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맵 API 등을 응용해서 멋진 매쉬업을 만든 기업을 소개해 주는 비디오 사이트를 개설했다는 소식입니다. 비영리기관의 경우에는 구글어스 아웃리치 사이트가 별도로 있어서, 신규로 참여하고자 하는 기관들에게 많은 정보도 제공하고, 멋진 작품을 별도로 감상할 수 있는 쇼케이스도 있는데, 기업의 매쉬업사이트는 처음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 비디오 사이트에는 현재 3가지 사이트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Trulia : http://www.trulia.com/ : 부동산 소개 (제 블로그의 글을 참고하세요) Kayak : http://www.kayak.com/ : 여행 안내, 예약 서비스 KPBS : http://www.kpbs.org/ : 개인지도(My Maps)..

구글어스를 과학적 연구에 활용하기(Getting scientific with Google Earth)

5월 21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콜로라도 대학교에서 과학자 및 연구원을 위한 이벤트가 열렸다고 합니다. 주요 내용은 "KML과 구글어스를 사용하여, 과학적 연구 성과를 쉽게 보여주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서로 토론하는 자리였다고 합니다. 구글어스 아웃리치 전시장(Showcase)에 들어가 보시면 지구 환경보호, 교육, 문화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KML이 올려져 있습니다. 엊그제 소개시켜 드린 지구온난화에 관한 KML가 좋은 예가 되겠죠. 하지만, 아직도 과학자나 연구자들이 구글어스나 KML을 활용하여 자신들의 성과를 알리는 것은 제한이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구글어스에서 관심장소 공유하는 방법"에는 KML을 쉽게 사용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지만, 보다 복잡하게,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