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1903

오즈폰(LH2300)으로 인터넷지도 사용해보니~

엊그제 오즈폰으로 바꿨습니다라는 글을 통해 풀브라우징(Full Browsing)이 오즈폰을 구입한 유일한 이유라고 말씀드렸는데, 풀브라우징이 된다는 소식에 제일 제가 흥미를 느꼈던 것은 당연히 지도서비스는 잘 될 것인가...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여기저기 접속을 하면서 테스트를 해보기로 했습니다. 콩나물 일단 제가 제일 자주 가는 콩나물을 접속해 보았습니다. 약 40초 정도 후에 떴습니다. 터치웹폰의 해상도는 800x480 인데, 그 크기에 맞춰 뜹니다. 다만... Active X가 있어서 안된다는 메시지가 뜹니다. Active X를 완전히 없앴다고 들었는데, 도아님의 터치웹폰의 개선점에 따르면 Active X가 없는 경우에도 이런 메시지가 뜬다네요~ 뜨기만 한다면, 크기가 잘 맞아서 좌우로 이동시..

파노라마 사진의 원리와 촬영방법

예전 어디 놀러가면 사진기로 파노라마 사진을 촬영하곤 했습니다. 요즘은 게을러져서 별로 신경을 안쓰는데, 예전에 쓴 글을 발견해서 올리기로 했습니다. 사실, 스트릿뷰(Street View)도 원리를 따지자면 이런 파노라마 사진의 확장판입니다. 파노라마 사진의 원리 일단 파노라마 사진 한 장을 보여드리겠습니다. 파노라마 사진을 많이 본 분이라면 그저 그러려니 하시겠지만, , 처음으로 보신 분은 와~~ 감탄을 하실 수도 있을 겁니다. 이 사진은 사실 여러 장의 사진... 제 기억에는 10장 정도의 사진을 이어 붙여 만든 사진입니다. 촬영지는 일본 동경의 황궁외원입니다. (구글어스에서 위치를 확인해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하도 오래되어서 기억은 잘 안나는데, 6-7년 전쯤 다녀왔을 때 촬영한 사진입니다...

오즈폰으로 바꿨습니다.

얼마전 핸드폰을 바꿨습니다. 오래전부터 사용해 오던 핸드폰이 여기저기 상채기 투성이인데다 바테리가 얼마 버티지를 못해 바꿀 수 밖에 없었습니다. 많이 고민했었습니다. 제가 제일 원하던 것은 사실 애플의 아이폰(iPhone)이었습니다. 6월 초 스티브 잡스가 새로운 3G 기반의 아이폰을 발표한다는 소문, 그리고 KTF에서 아이폰을 사용할 수 있게 될지도 모른다는 소문 때문에 한껏 기대를 했었죠. 그러나, 역시 생각했던대로 우리나라는 3G 아이폰 판매대상에서 제외되었을 뿐 아니라, 들리는 풍문에 따르면 올해 말까지 KTF에서 아이폰을 발매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내년도 힘들지 모른다는 이야기도 있고요. KTF에서는 애플의 고자세 때문이라고는 하지만, KTF의 영업전략... SKT나 LGT나 마찬..

기타 2008.07.05

교육자를 위한 구글 사이트 소개(How I spent my summer vacation)

7월 3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교육자를 위한 구글(Google For Educators) 사이트를 홍보하는 내용입니다. 구글 LatLong 블로그에는 구글어스를 교육에 활용하는 내용이 가끔 있습니다. 작년 8월에 나온 교직자를 위한 지도가 대표적입니다. 구글, 지리교육용 사이트 개설, 구글어스를 과학적 연구에 활용하기, 구글어스를 활용한 문학 수업 등도 이와 비슷한 내용이구요. 특히, 이 사이트에는 아래 그림처럼 구글어스, 에 관한 내용은 물론이고, 구글맵, 구글 스카이, 스케치업 등 교육용으로 적합한 제품들을 소개하고,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여러가지 아이디어나 예제를 실어두었습니다. 저도 오래전 쌍용정보통신에서 근무를 할 때, 지리교육에 GIS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안을 생각해..

프랑스 파리에 구글 스트릿뷰(Street View) 등장!

그동안 미국에만 서비스되고 있던 스트릿뷰(Street View)가, 유럽 최초로 프랑스 파리에 출현했다는 소식입니다. 제 블로그를 구독하시는 분들은 구글에서 유럽 여러도시를 대상으로 스트릿뷰 영상을 촬영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으셨을 겁니다. 그 글들 중에는 스트릿뷰 차량으로 3차원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는 소식도 있었고요. (기타, 여기도 읽어보세요) 그런데, 드디어 프랑스 파리에 스트릿뷰가 등장했네요... 좀 잘 알려진 곳으로 몇몇 군데만 보여드리겠습니다. 우선 파리하면 떠오르는 에펠탑의 모습입니다. 직접 보시려면 여기를 눌러보세요. 다음은 개선문입니다. 직접 보고 싶으시면 여기를 눌러보세요. 다음은 콩코드 광장에 서 있는 오벨리스크입니다. 나폴레옹이 이집트에서 가져온 겁니다. 여기를 보시면 됩니다. 화질..

구글어스, 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광레이어 추가(Sightseeing in South Africa Tuesday)

7월 1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어스에 2010 FIFA 월드컵이 개최될 예정인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관한 관광레이어가 추가되었다는 내용입니다. 직접 보시려면, 구글어스(Google Earth)를 켜시고, 좌측하단에 있는 단계별항목(Layers)에서 "갤러리(Gallery) -> 여행 및 관광(Travel and Tourism) -> 남아프리카 관광(South Africa Tourism) 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아래는 이 폴더의 구성형태입니다. 아래는 예를 들어, 제일 위에 있는 Hightlights 를 클릭했을 때의 모습입니다. 좌측 하단에 별이 모여있는 곳이 아름다운 도시 케이프타운(Cape Town)이 있는 곳으로, 만델라가 구금되었던 곳으로 현재는 기념관이 들어선 로븐섬(Ro..

구글맵 API 공개 3주년 기념 매쉬업의 역사 사이트(Golly Gee, look who's 3...)

6월 30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며칠 전, 구글 아웃리치(Outreach) 프로그램이 1주년이 되었다는 소식을 알려드렸는데, 이번엔 구글맵 API가 3번째 생일을 맞았다는 소식입니다. 이를 기념하여, Google Maps Mania를 운영하다가, 얼마전 구글에 특채? 되어 마케팅 담당으로 입사한 Mike Pegg씨가 그간의 구글맵 API의 역사를 담은 매쉬업을 소개하는 내용입니다. 이번에 공개된 매시업 역사(timeline mashup)는 Google Maps API Blog에 소개된 기술 개발 역사 및 Google Maps Mania 에서 소개한 세계 각국의 다양한 매시업을 연대순, 지역별로 확인할 수 있는 매쉬업입니다. 이 매쉬업을 실행시키면, 아래 그림처럼 윗부분엔 구글맵 AP..

지도는 왜 필요한가? - 지역검색 분석

"사람들이 인터넷에서 지도를 검색하는 이유가 무엇일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여러가지 목적이 있겠지만, 대략적으로 1. 업소/시설물의 명칭이나 주소, 전화번호만 알고 위치는 잘 모를 때 2. 잘 모르는 지역을 방문하거나 여행갈 때 그 주변의 시설, 업소 등을 알아보고 싶을 때가 아닐까 싶습니다. 일단 검색이 된 후에는 3. 내가 있는 지역에서 그 곳까지 어떻게 찾아가야 하는지를 알고 싶을테고, 여럿이 함께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4. 자신만의 지도를 제작하여 이를 공유하는 기능도 꼭 필요할 것입니다. 첫번째, 이름, 주소, 전화번호만 알고 위치는 잘 모를 때 검색하는 것은 사실 아주 간단합니다. 리스트만 완벽하게 갖추어져 있다면 모두 열거해주고, 필요하다면 좀더 상세한 조건을 넣어 검색범위를..

새로 개편된 네이버 지도...

네이버 지도가 개편되었습니다. 사실, 이 소식을 접한 것은 지난달 초였습니다. 아이뉴스24의 기사를 보면, 새로운 지도 서비스(http://map.naver.com)를 6월 4일부터 선보인다고 되어있죠. 주요 내용은 세계표준좌표계인 'GRS80'을 채택했다는 것, 가독성을 강화했다는 것, 1/2,500까지 확대된다는 것, 지도 정보를 쉽게 공유할 수 있다는 것 등입니다. 그러나, 서비스가 오픈한 뒤 바로 예전에 사용되던 지도로 돌아 갔습니다. g-life story의 글을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오류도 많고 캐싱도 많이 늦"는 등의 문제가 있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엊그제 "다음의 온라인 내비게이션 분석"에 대해 글을 쓰면서 allieus 님의 댓글을 통해 새로운 네이버지도가 나왔다는 것을 알..

캘리포니아 북부 산불지도(Mapping the Northern California wildfires)

6월 26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북부에서 발생한 산불의 위치를 표시한 개인지도(My Map)가 나왔다는 내용입니다. 다행히 이번 산불은 작년 10월 캘리포니아 남부 샌디에고 일대를 휩쓸었던 대형산불과는 달리 규모가 크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신문에는 아무런 소식도 없어서요. 그런데, Google Earth Blog에 따르면, 그렇지도 않은 모양입니다. 부시 대통령이 캘리포니아 지역을 재난구역으로 선포했다는 내용이 있네요. 또한, 이 산불과 관련하여 여러가지 지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확인해 보세요. new map : 캘리포니아 산림화재방지국이 제작한 최신지도fire map : 미국 전역의 화재 현황을 담은 KML 참고로, 원문을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