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1868

구글 대중교통정보, 지구의날 도전 최종성과

4월 22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어제 4월 22일은 지구의 날이었습니다. 지구의 날이라는 뜻깊은 날을 맞이하여, 구글에서 추진중이던 구글대중교통정보 확충 운동의 성과를 발표한 내용입니다. 구글에서 지구의 날을 향한 도전을 발표한 것은 3월 11일이었습니다. 이제까지 그 성과로 발표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3월 28일 : 오스트랠리아 퍼쓰(Perth), 폴란드 비알리스톡(Białystok), 및 뉴저어지4월 8일 : 시카고시4월 16일 : 미국 5개도시 및 일본 그러고보니 꽤 많은 도시가 추가되었네요. 9개도시 + 일본 전역.... 그리고 이번에 추가된 9개의 대중교통 관련기관까지 합치면 최소 18개의 도시가 추가된 것입니다. 구글 대중교통정보에 대한 제 생각은 위에 적은 포스트들..

지오웹 2008((GeoWeb 2008)

7월 21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7월 21일부터 5일간, 캐나다 뱅쿠버에서 지오웹 컨퍼펀스 2008이 열린다는 내용입니다. 컨퍼런스와 함께 지오웹관련 학생 소프트웨어 경연대회가 열린다는 소식도 전하고 있습니다. 키노트 발표에 MS, 구글, ESRI 등 쟁쟁한 회사가 모두 나오네요. Dr. John Curlander, General Manager, Microsoft Virtual Earth Business UnitMichael T. Jones, Chief Technology Advocate, GoogleAlex Miller, founder and President, ESRI Canada Ltd. 초청 강연하는 분들은 맨 위에 있는 Goodchild 박사외에는 생소하구요. Dr. Mic..

구글어스에서 실시간 자료 활용하기(Dynamic data in Google Earth)

4월 18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어스에 들어 있는 실시간 자료에 대한 소개글입니다. 저도 새로운 기능이 발표될 때마다 소개시켜드리긴 했는데, 구글어스에서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자료를 모두 정리하니 좀 있네요... 먼저 날씨 레이어는 작년 11월 초에 처음 등장하였습니다. 구름 사진은 캘리포니아주 몬터레이시에 있는 해군 연구 실험실(Naval Research Laboratory)에서 한시간마다 제작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공되지 않지만, 레이더 영상은 매 15분마다 갱신된다고 하네요. 아래 그림은 서울 부근에서 하늘이 보이도록 설정한 화면인데요, 여기에서 보이는 구름이 그냥 그래픽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라, 실제의 구름레이어를 사용하여 표시한 것입니다. 다음으로 실시간 교통정보..

구글어스에서 무한확대되는 사진보기

흠... 재미있네요. 사진을 확대하면 새로운 사진이 나오고, 좀 더 확대하면 또 새로운 사진이 나오고... 이런 종류의 영상은 많이 보셨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런 사진을 구글어스 KML로 만드신 분이 있습니다. Google Earth Blog를 통해서 알게 되었는데요, Steven Ho라는 타이완 국립대학교 학생(?)입니다. 이분은 예전에도 타이뻬이에 관한 여러가지 KML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우선 아래의 뮤직 비디오부터 감상해 보시죠. 구글어스에서 직접 해보시려면 아래에 있는 KML파일을 실행시키시면 됩니다. 구글어스가 없으신 분은 먼저 다운로드 받으셔야 하고요. 실행을 시키시면 좌측에 있는 "위치" 패널속에 있는 "임시장소"에 ZoomPhoto.kml이라는 폴더가 하나더 생깁니다. 직접 어..

구글어스 2008.04.22

구글어스 4.3, 스카이 기능 업그레이드(It's all connected)

4월 18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이번에 업그레이드 된 구글어스에, 구글 스카이 기능도 덩달아 기능 향상이 이루어졌다는 내용입니다. 먼저, 지구모드에서 스카이모드로, 또 반대로 전환할 때 속도가 빨라졌습니다. 실제로 해보시면 차이가 분명히 느껴질 것입니다. 두번째로, Celestron, Hubblecast, StarDate, 및 Virtual Tourism 등 4가지 레이어가 추가되었습니다. 이 중에서 Celestron와 Virtual Tourism 은 교육센터 폴더에 추가되었으며, Hubblecast와 StarDate는 현재 스카이이벤트 폴더를 열어보시면 나옵니다. 이중에서 Virtual Tourism은 정말 구경해보실 만 하다고 생각하여 따로 설명드려보겠습니다. http://www..

구글어스 4.3의 태양효과(Rise and Shine!)

4월 18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4월 16일 발표된 구글어스 4.3에 새로이 포함된 태양효과(밤낮효과)를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이번에 개선된 기능은 크게, 3D 빌딩 개선, 스트릿뷰의 추가, 영상촬영일자의 확인 등 새로운 콘텐츠가 보강되었다는 점과 내비게이션 콘트롤 개선, 12개의 언어를 추가지원, 태양 효과 추가 등 구글어스의 기능의 개선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태양효과(밤낮효과)는 구글어스의 시각효과 면에서 가장 큰 변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세인트헬레나 산이라는 유명한 화산의 일몰 모습을 GIF로 구성한 것입니다. 아래는 이번에 3D 빌딩이 대폭 보강된 미국 콜로라도 주의 덴버시에서 일출 모습을 GIF로 만든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스트릿뷰와 유사한 서비스를 준비중..

구글맵에서 교통상황 예측정보 제공

4월 17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맵에서 오래전부터 제공해 오던 실시간 교통정보에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다는 내용입니다. 먼저, 아래에 있는 그림처럼 구글맵(Google Maps) 우측 위에 있는 Traffic 버튼을 클릭하면, 예전에는 현재의 교통상황을 색깔로만 표시해 주었는데, 이제는 교통사고, 공사 등의 특별한 상황이 있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도록 아이콘이 제공됩니다. 아래 그림에서는 교통사고가 2건 발생했다고 알려주고 있네요. 다음으로, 지금 이 시각의 교통정보가 아닌, 과거의 교통 상황을 기반으로 특정한 날짜 및 시간에 교통상황이 어떨지를 예측하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Traffic 버튼 밑을 보면, Live Traffic이라고 있고, 그 옆에 change..

구글어스 스트릿뷰 사용법

4월 17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4월 16일 발표된 구글어스 4.3에 새로이 포함된, 스트릿뷰의 사용법에 관한 내용입니다. 원래 스트릿뷰(Street View)는 2007년 5월 말에 처음 서비스가 개시되었습니다. 서비스 시작당시에는 5개의 도시만 지원했지만, 계속 지원되는 도시가 늘어서, 3월 말까지 총 42개의 도시에서 스트릿뷰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미국에만 해당되는 내용이구요. 스트릿뷰(Street View)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제가 얼마전 정리해 둔 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이번에 구글어스에 스트릿뷰가 삽입된 것은 구글어스를 좋아하는 분들의 오랜 바램이 이루어진 것이었습니다. 저도 예전에 구글어스 5.0에는 어떠한 기능이 추가될까? 라는 글에서 스트릿뷰가 삽입될 ..

북한이 건설중이라는 지하활주로 살펴봤더니...

오늘 인터넷 데일리안 등 여러 신문에서 "북한 지하활주로 건설 - 구글어스에 딱 걸렸네"라는 기사가 떳습니다. 미국의 소리(VOA) 방송발 뉴스로 "북한 원산 남서쪽에 거대한 지하 활주로가 건설 중인 것으로 미국 민간 인공위성 사진 제공 업체인 ‘구글어스’에 의해 확인"되었다는 것입니다. 아래가 데일리안에 실린 영상입니다. 네모 박스가 쳐진 부분은 지하에 숨어있는 지역입니다. 그 속에 들어있는 작은 네모 박스는 흙더미가 쌓여 있는 곳이구요. 물론 이 뉴스를 보자마자 구글어스를 통해 직접 검색해 봤습니다. 직접 보시고 싶으시면 아래에 있는 KML 파일을 실행시켜보시면 됩니다. 그 아래에 있는 그림을 보시면 흙더미가 아주 잘 구분 됩니다. ==== 그런데... 문제가 있습니다. 이건 최근 사진이 아니고 20..

구글어스 2008.04.18

구글어스 4.3의 3D 빌딩 잔치(3D buildings galore)

4월 17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4월 15일 공개된 구글어스 4.3의 3D 데이터에 대한 자세한 소개내용입니다. 구글어스 4.3 소개라는 글에서도 말씀드린 것처럼, 이번에 여러가지 기능 개선과 더불어, 세계 각국의 여러 도시들에 새로운 3D 데이터가 추가 또는 변경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는 구글어스 4.3으로 본 샌프랜시스코 지역의 모습입니다. 가운데에서 약간 오른쪽에 있는 피라미드 모양의 건물이 TransAmerica라는 건물이고요. 아주 많은 건물이 모델링 되어있고, 대부분의 건물에 텍스처가 입혀져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하늘 등 뒷배경도 훨씬 이뼈졌구요. 아래는 구글어스 4.2에서 보았던 샌프란시크코의 모습입니다. 차이가 많이 나죠? 어떠한 도시들이 이렇게 갱신 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