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1904

중국 쓰촨성, 대지진으로 피해 입은 댐의 위치

오늘 중앙일보의 "쓰촨성 일대 댐 균열 … ‘2차 재앙’ 초비상"이라는 기사의 첫 부분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중국 쓰촨성(四川) 대지진의 여파로 주변 댐에 심각한 균열이 발생, 2차 재앙의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 쓰촨성 성도 청두(成都) 인근인 두장옌(都江堰) 상류지역 쯔핑(紫坪)댐에 14일 매우 위험한 균열이 발생해 군 병력 2000명이 긴급 투입됐다고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수자원 업무를 총괄하는 수리부는 쯔핑댐에 대형 문제가 발생할 경우 두장옌시 전체가 침수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당국은 이 같은 2차 재앙을 막기 위해 긴급 지휘센터를 설치하고 쯔핑댐에서 하류로 흘려보내는 물의 양을 평소보다 50% 늘려 수위를 낮춰 가고 있다. 이와 관련, 이날 중국 국무원 산하 거시정책 담당 부처..

구글어스 2008.05.15

구글맵 플래시 API(News flash: Maps now open to Flash developers)

5월 14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맵을 플래시에서 끌어 쓸 수 있는 API가 공식적으로 제공되었다는 내용입니다. 저는 솔직히 플래시가 나오기 전에 개발을 그만두었기 때문에 어떤 점이 좋아졌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예전에도 플래시를 기반으로 구글맵을 끌어오던 사이트들이 몇몇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 flashearth(아래 그림)가 대표적이며, 우리나라의 윙버스도 이러한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구요. 물론 편법? 내지는 불법? 이겠지만, 어쨌든 플래시로 개발하면 훨씬 좋은 점이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했을 것 같다... 싶습니다. 무엇보다, 원래 웹페이지가 플래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면, 당연히 지도부분도 플래시로 개발하는 게 유리할 테고요. ..

사진 비디오등을 통한 구글맵 위치 검색(Explore places with photos, videos, and more)

5월 14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맵에서 지역을 검색하면 사진, 비디오, 사용자가 제작한 지도가 함께 제공되어 그 지역에 대해 보다 많은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는 내용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은 구글맵에 들어가서 "서울 대한민국"이라고 입력하였을 때 왼쪽에 나오는 정보입니다. 사진 몇장이 나타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물론 아래 본문에 있는 것처럼 외국의 유명 관광지를 입력했다면 훨씬 많은 정보가 나옵니다. 윗 그림에서 "대한민국 서울"이라고 써진 부분 바로 아래를 보시면 "Explorer this area"라는 링크가 보입니다. 이것을 누르면 아래 그림처럼 더 많은 사진/비디오/사용자제작지도 가 나타납니다. 이 상태에서 화면을 확대/축소/이동시키면, 현재 화면을 기반으로 새로..

구글맵에 파노라미오와 위키백과 지원(More ways to find more than ever)

5월 14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맵에서 파노라미오(Panoramio)사진과 위키피디아(Wikipedia) 항목을 볼 수 있는 버튼이 추가되었다는 내용입니다. 예전에도 이들 항목을 볼 수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구글맵(Google Maps)에서 "My Maps(My Maps)" 탭을 누르고 들어 간 후, 맨 위에 있는 "Browse the directory"를 누르면 다른 분들이 만들어 둔 여러가지 맵플릿(Mapplets)를 찾아 추가할 수 있었죠. 물론 파노라미오(Panoramio)사진과 위키피디아(Wikipedia) 항목도 들어 있었구요. 하지만, 이런 방식으로 추가하면 아무래도 번거러울 뿐 아니라,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찾기도 힘들었는데, 이번에 새로운 버튼이 추가됨으로서, ..

구글어스 영상추가 해답(Where in the world is... (Answers))

5월 14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어제 올라온 구글어스 영상추가 관련 해답입니다. 맨 아래에 보면 이번에 추가된 지역에 대한 전체 리스트가 있습니다. 아시아 지역에선 인도, 이란, 방글라데시, 타이, 베트남,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에 새로이 고해상도 영상이 추가되었다고 하네요. (우리나라와 일본은 없습니다.) 그런데... 리스트를 쭉 보다가... 익숙한 곳을 발견했습니다. 맨 아래쪽에 "Updated Terrain", 즉 지형(DEM)데이터가 추가된 곳에 아일랜드 웨스트포트(Westport, Ireland)도 포함되어 있는데, 제가 오래 전에 "구글어스에서 가장 멋진 3차원 도시"라고 소개시켜드린 바로 그곳입니다. 그러면 당연히 뭐가 달라졌는지 가봐야겠죠? 직접 가보시려면 여기를 누르..

구글어스 영상추가(Where in the world is...)

5월 13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또다시 구글어스에 영상이 추가되었다는 내용입니다. 예전과 마찬가지로 퀴즈 형태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어, 따로 번역은 하지 않았습니다. DIgital Earth Blog 및 Google Earth Blog에 일부 답이 올라와 있는데, 주로 미국, 포르투칼, 이탈리아, 오스트랠리아 등이 갱신된 것 같습니다. 대충 살펴보니 우리나라 지역엔 영상 업데이트가 없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혹시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제가 예전에 올린 "구글어스 영상추가지역 확인방법"이라는 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아래는 올해 4월 1일날 우리나라 지역에 추가된 지역을 보인 그림입니다.노란색은 고해상도 영상이 추가된 곳이고, 초록색은 2.5미터 영상이 추가된 곳입니다. 민..

뉴욕 스트릿뷰 영상 갱신/얼굴 흐리기 기술 적용(Street View revisits Manhattan)

5월 12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작년 5월 맨처음 스트릿뷰(Street View)서비스가 등장했을 때, 샌프랜시스코, 뉴욕, 라스 베이거스, 마이애미, 덴버 등 5개 도시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중 뉴욕 지역의 스트릿뷰 영상을 새로 갱신하였다는 내용입니다. 또한, 그 당시에는 수평 방향으로만 360도를 돌려볼 수 있고, 하늘 방향은 볼 수 없었는데, 이번에 새로 촬영하면서 상공도 볼 수 있는 영상으로 대체 하였습니다. 참고로 상공을 볼 수 있는 영상은 작년 10월 9일 최초로 등장한 바 있습니다. 또... Google Earth Blog에 따르면, 타임즈 스퀘어(Times Square)의 일부 지역은 야간에 촬영된 영상이 있다고 합니다. 아래가 그 지역입니다. 잘 모르긴 하지만.....

구글어스에 럼지 고지도 추가

5월 12일자 구글 LatLong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어스에서 럼지 고지도 레이어(Rumsey Historical Maps)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우선 이 레이어에서 볼 수 있는 지도가 16개에서 120개로 증가되었습니다. 이렇게 되다 보니, 예전에는 럼지고지도 레이어를 열면 지도 리스트가 떴는데, 이제는 너무 갯수가 많아서 아래 그림처럼 아이콘으로 대체가 되었습니다. 참고로, 예전의 레이어에 대한 내용은 "데이빗 럼지 고지도를 세컨드라이프에서 보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지도가 많이 추가되면서 예전에 럼지 고지도 콜렉션 중에서 우리나라가 나오는 지도는 World Globe(1790)와 Asia(1710) 등 2가지만 있었는데, 다음 그림과 같이 총 7개의 지도를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중에서..

사이클론 나르기스 관련 자료 종합(Master collection of Cyclone Nargis layers)

5월 11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몇 번에 걸쳐 나왔던 사이클론 나르기스 관련 자료를 종합한 KML을 작성하였다는 내용입니다. 이번 KML은 4번에 걸쳐 나왔던, 다음과 같은 나르기스 관련 자료가 모두 들어 있습니다. 사이클론의 이동 경로 및 풍속(관련 기사 : 여기) 나르기스의 이동 경로 추적 (관련 기사 : 여기) MODIS 위성 영상 홍수 분석 (관련 기사 : 여기) 신규 : ZKI/DLR의 위성 홍수 지도 미얀마 보건부 의료시설 (관련 기사 : 여기) 여러 기관에서 제공한 위성영상 (관련 기사 : 여기) 다음은 이 KML을 실행시킨 후, 일부 레이어만 활성화시키고 양곤(Yangon)지역을 확대해 본 것입니다. "H" 및 핀들은 병원의 위치이며, 지도는 ZKI/DLR의 위성 홍수..

월드와이드 텔레스코프 드디어 오픈!!

올 봄에 오픈하리라던 마이크로소프트의 월드와이드 텔레스코프(WWT : World Wide Telescope)가 드디어 오픈을 했네요. 제가 최초로 소개시켜 드린 게 2월 19일이니 만 3개월만입니다. 며칠 전 빌 게이츠가 2008 서울 디지털 포럼에서 월드와이드 텔레스코프를 시연했다고 알려드리면서, 금방 오픈할지도 모른다고 했는데 사실이 되었네요. Show Finder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뜹니다. 이걸 이리저리 움직이면 십자선 위치에 있는 천체가 어떤 것인지 알 수 있습니다. 현재는 안드로메다 은하라고 쓰여져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고도(Alt)와 방위각(Az)는 계속 값이 변경됩니다. === 그런데... 어떻게 생각하면 당연하겠지만, 한글은 전혀 지원되지 않습니다. 구글 스카이는 처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