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108

krpano 제작 예제

360*180 파노라마를 제작한 결과는 대부분 2:1 비율의 대형 jpg 영상입니다. 예를들어 저는 대부분 8000*4000 픽셀짜리 jpg 영상으로 만듭니다. 이 사진을 그냥 보는 것도 흥미롭기는 하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는 영상과는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위아래 부분은 엄청나게 왜곡이 되어 있어 불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360*180 파노라마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려면 특별한 view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면 저는 DevalViewer 라는 뷰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온라인으로 공유하려면 다른 방식이 필요합니다. 저는 이제까지 360cities.net 에 파노라마를 올려서 공유해왔습니다. 원래 이 사이트는 아마존의 서버를 이용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다중서버를 이용하는 방식(CD..

krpano의 개요

제가 360*180 파노라마를 제작한지도 이제 꽤 된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동안 저는 파노라마 사진 그자체에만 관심을 두었을 뿐, 이를 예쁘게 보여주는 것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저 360cites 에 올리고, 여기에서 제공되는 embed 코드를 넣어주는 정도에 만족했었죠. 아래는 제가 360cites에 올린 파노라마중 가장 인기있는 영상입니다. 현재 14만번 이상 보았다고 나오네요. 작은 습지 다리에서 바라본 요세미티 폭포 in California 아무튼... 최근에 다시 열심히 파노라마 사진을 촬영하러 다니고 있는데, 이제 왠만큼 (거의 기계적으로) 파노라마를 제작할 수 있게되다보니 좀 더 새로운 걸 배우고 싶었던 참에, 아는 분이 krpano를 배워보라고 불을 지피시네요. 그래서 일단..

무시차 점(無視差 點, Non parallax point) 찾는 방법 - 360*180 파노라마

수평 파노라마든, 360*180 파노라마든, 파노라마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촬영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사물이 겹친다든지 하는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풍경 촬영과 같이 피사체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그냥 손으로 들고 촬영해도 무방하고, 삼각대에 카메라를 고정시킨뒤 회전시켜가며 촬영하면 거의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내촬영과 같이 피사체와의 거리가 가까운 상태로 파노라마 사진을 촬영할 경우, 오류가 훨씬 심하게 발생하게 되므로, 시차(Parallax)가 발생하지 않는 지점, 즉 무시차점(노달포인트는 잘못된 용어임)을 중심으로 카메라를 회전시켜가며 사진을 촬영해야 합니다. 이를 위한 장비가 바로 로테이터(Rotator) 혹은 파노라마 헤드(Panor..

라이카 카메라(Leica Camera)

독일 광학회사인 라이카 카메라(Leica Camera AG)는 라이카(Leica) 카메라를 생산하는 회사이다. 이 회사의 전신인 에른스트 라이츠(Ernst Leitz GmbH)는 현재 라이카 카메라(Leica Camera AG), 라이카 지오시스템즈(Leica Geosystems AG), 라이카 마이크로시스템즈( Leica Microsystems AG) 등 3개사로 분사되었는데, 각각 카메라, 측량기기, 현미경을 생산한다. 이중 라이카 마이크로시스템즈가 모회사로서, 라이카 카메라 및 라이카 지오시스템즈에 저작권을 제공하고 있다. 라이카 카메라의 역사(History) 이차세계대전 이전(Before WWII) 1913년, 독일 베츨라(Wetzlar)에 위치한 에른스트 라이츠 광학(Ernst Leitz Opt..

사진/카메라 2011.11.24

카메라 렌즈(Camera lens)의 모든 것 - 마지막

이 문서의 첫부분과 두번째 부분을 먼저 보시기 바랍니다. 보조렌즈(The supplementary lens) 보조렌즈는 메인 렌즈 앞에 덧붙여서 렌즈의 유효 초점거리를 바꾸어주는 악세서리 렌즈이다. 볼록렌즈로만 구성된 경우, 초점거리를 줄이게 되어, 메인렌즈의 초점을 무한대로 둘 때 그 초점거리가 보조렌즈의 초점거리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소위 접사(close-up) 렌즈는 보정되지 않은 1매짜리 메니스커스(Meniscus)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초점을 잡을 수 있는 범위가 한정된 렌즈를 접사가 가능하도록 바꿀 수 있는 저렴한 방법이다. 무한초점(afocal) 보조렌즈는 좀더 복잡하다. 갈릴레오식 망원경 악세서리(Galilean telescope accessory)라고도 하는데, 렌즈앞에 설치하여 ..

사진/카메라 2011.11.07

카메라 렌즈(Camera lens)의 모든 것 - 두번째

이 문서의 앞부분을 먼저 보시기 바랍니다. 카메라 렌즈의 역사 및 기술 개발(History and technical development of photographic camera lenses) 완벽한 렌즈라면 한점을 한점으로 (상대적 공간에서 절대적 정확도 이내로) 상을 맺어야 한다. 그러나, 크기나 무게, 비용 등 실질적인 문제 뿐만 아니라, 물리학 법칙, 우리 지식의 한계, 공법의 한계 등으로 인하여, 완벽한 렌즈는 불가능하다. 카메라 렌즈 역사중 최초의 100년은 렌즈의 여러가지 렌즈 수차(optical aberration)를 무난한 정도 까지 떨어뜨리면서, 광학 지식이 천천이 축적되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그 다음 100년은 그 지식을 기술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렌즈가 다양해지면서도 다재다능해지는..

사진/카메라 2011.10.26

카메라 렌즈(Camera lens)의 모든 것 - 첫번째

카메라렌즈(camera lens)는 사진렌즈(photographic lens) 혹은 대물렌즈(objective lens)라고도 하는데, 카메라 몸체와 기계 장치와 함께 사용하여, 화학적/전자적으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필름 또는 센서에, 피사체의 상을 맺는 광학렌즈 혹은 렌즈뭉치(assembly of lens)를 말한다. 원리적으로는 간단한 볼록렌즈로 충분하지만, 가능한한 여러가지 광학수차(optical aberrations)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여러개의 광학렌즈 요소로 구성된 복합렌즈(compound lens)가 필요하다. 렌즈 설계자의 역할은 가능한한 수차를 상쇄시키고 사진에 적합하면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한 렌즈를 만드는 것이다. 이론적으로는 카메라, 비디오, 망원경, 현미경, 기타 광학 장비에 ..

사진/카메라 2011.10.21

이안 반사식 카메라(TLR, Twin Lens Reflex Camera)

이안 반사식 카메라(TLR: twin-lens reflex camera)는 초점거리가 동일한 렌즈가 두개 달린 카메라이다. 그중 하나는 대물렌즈 혹은 촬영용 렌즈이며, 다른 하나는 뷰파인더에 사용되는 렌즈로, 대부분 허리높이에두고 내려보는 형태이다. 뷰파인더용 렌즈 뒤에는 45도로 설치된 거울이 있고, 이 거울에 반사된 빛이 카메라 상단 무광택 초점스크린(matte focusing screen)에 상을 맺게 되며, 튀어나오는 덮개(pop-up hood )가 이를 둘러 싼다. 두개의 렌즈는 연결되어 있어 초점면에 초점이 잘 맞으면 필름면도 초점이 맞게 된다. 하지만 저렴한 TLR 은 대부분 고정초점렌즈를 사용한다. 대부분의 이안반사식 카메라(TLR)는 1/500초 이하 및 B 셔터를 지원하는 리프셔터(le..

사진/카메라 2011.10.17

일안반사식 카메라(SLR, Single Lens Reflex) - 두번째

참고 : 이글의 앞부분을 먼저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일안반사식 카메라의 역사(History) 대형 SLR은 아마도 C.R. Smith의 Monocular Duplex (미국, 1884)가 효시일 것으로 생각된다. 1920년대에는 여러 회사에서 중형 카메라용 SLR을 선보였다. 최초의 35mm용 SLR은, 라이카 35mm 거리계연동 카메라 바디에 장착할 수 있는 200mm f4.5 렌즈에 붙어있는 플루트 반사식 케이스(PLOOT reflex housing)로 1935년 처음 등장했다. 구소련의 Спорт (“Sport”)도 24mm x 36mm 사이즈로, 1934년 시제품이 출시되었고 1937년 양산되었다. K. Nüchterlein에서 제작한 Ihagee Kine-Exakta (독일, 1936)가 최초..

사진/카메라 2011.10.15

일안반사식 카메라(SLR, Single Lens Reflex) - 첫번째

일안반사식(SLR)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반자동으로 움직이는 거울시스템을 사용하여, 필름 또는 디지털영상센서에 포착되는 상을 사진사가 똑같이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를 말한다. SLR 이전의 카메라는 주로 뷰파인더를 통해 보므로, 필름에 촬영되는 영상이 많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SLR이 개발되기 전, 뷰파인더가 달린 모든 카메라에는 광학 경로가 두 개 있었다. 하나는 렌즈로 들어오는 경로이며, 다른 하나는 그 위쪽(이안반사식(TLR)) 또는 옆쪽(거리계연동(rangefinder))이다. 뷰파인더와 필름렌즈의 광 경로가 다르므로, 뷰파인더용 렌즈의 광경로를 카메라 앞쪽 어디쯤에선가 필름렌즈와 마주치도록 설계된다. 어느 정도 먼 거리에 있는 물체을 촬영할 때는 별문제가 없지만, 가까운 물체를 촬영할..

사진/카메라 2011.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