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이미지 44

스테이블 디퓨전 QR Code 이미지 - ComfyUI

얼마 전 AUTOMATIC1111 웹UI에서 QR 코드를 만들고 로고 이미지를 넣는 방법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간단히 요약하면 QR코드용으로 학습된 ControlNet 모델을 사용해서 QR코드 혹은 기타 이미지를 넣는 방법이었습니다. 오늘은 ComfyUI 웹 UI에서  이와 유사한 작업을 하는 방법을 소개시켜 드립니다. 이 글에서 다루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ComfyQR 커스톰 노드 설치QR 코드용 ControlNet 모델 설치QR 코드 ControlNet 노드 추가QR Code 확인용 노드 추가여러가지 QR Code 워크플로자세한 원리는 별로 관심이 없고 그냥 사용하고만 싶다면 맨아래에 있는 QR Code 워크플로만 따라하시면 됩니다.ComfyQR 커스톰 노드 설치ComfyUI Manager가 설치..

로고가 새겨진 이미지 만들기 - AUTOMATIC1111

먼저 아래 이미지를 보시죠. 큰 그림일 때는 잘 모르실 수도 있는데, 축소해서 보시면 잘 보이실 겁니다(Control 키를 누른 상태로 마우스 휠을 굴리면 화면을 축소/확대시킬 수 있습니다). 맞습니다. 맥도널드 로고가 새겨져 있습니다. 하나 더 보여드리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이 글의 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설치 QR Code 만들기 Logo가 들어간 이미지 만들기 다른 예제 설치 이 글에서 설명하는 내용을 실습해 보시려면 먼저 AUTOMATIC1111 을 설치해야 합니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윈도 환경에서 설치하는 방법은 여기를 보시면 됩니다. AUTOMATIC1111을 설치한 후에는 ControlNet 확장을 설치해야 합니다. ControlNe..

SDXL - ControlNet 사용하기(AUTOMATIC1111)

SDXL은 SD1.5에 비해 훨씬 뛰어난 이미지를 생성하는 모델입니다. 많은 경우 LoRA 등을 사용하지 않고 base 모델만으로도 충분히 괜찮은 이미지를 생성해주죠. 다만, 아직도 여러가지 확장은 안정적이지 않고 아직도 지원되지 않는 것들도 많습니다. 그 중 하나가 ControlNet이었습니다. ControlNet을 사용하면 피사체의 구도, 특히 인물의 자세를 원래의 이미지와 동일하게 복사할 수 있어서 무척 유용한 확장입니다. 거의 모든 확장 중에서 거의 최고의 확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ControlNet에 대한 좀더 자세한 사항은 이 글(1)과 이 글(2)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사실 ControlNet에 관한 사항은 위의 글 두개에 모두 담았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반복할 필요가 없으니, 반복되는..

SDXL 4093가지 예술가 스타일

SDXL base 모델을 사용해서 여러 예술가들의 스타일을 테스트해보신 분이 있어 소개시켜 드립니다. 여기에 들어가보시면 직접 보실 수 있는데, 총 4387명의 스타일을 정리했다고 합니다. 아래가 대문입니다. 여기에서 예술가 이름을 입력해서 검색할 수도 있고, 아래쪽에 나열된 스타일을 클릭해서 예술가를 찾아갈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Gogh"로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고흐 스타일의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또 naturalism 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4분의 예술가 스타일이 나열됩니다. 이처럼 미리 분류된 tag를 사용해 예술가 스타일을 찾을 수 있습니다. 아래로 내리면 아래와 같이 여러가지 여기에서 아티스트 스타일과 이름을 볼 수 있습니다. 특정한 스타일이 없을 경우, 쭉 훝어보면서 원하는 스타..

ComfyUI 초보자 가이드

제가 요즘 제일 많이 사용하는 stable diffusion용 웹 UI는 ComfyUI입니다. 처음 사용하기는 까다롭지만, 일단 원하는 대로 설정하면 사용하기가 편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글을 몇개 쓰기는 했는데, 그다지 마음에 들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던 차에 제가 구독하는 stable-diffusion-art.com에서 ComfyUI 소개글이 나와서 정리해 보기로 했습니다. (이 글도 그다지 마음에 드는 건 아니네요. ㅠㅠ) 참고로 이 글은 ComfyUI 설치방법은 다루지 않습니다. 이 글 앞부분을 보면 설치방법이 있으며, ComfyUI 사용법도 상당부분 중복되는 내용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ComfyUI는 stable diffusion을 위한, 노드 기반의 GUI입니다. 이 글에서 다루는 내용은 아래와..

스테이블 디퓨전 - ComfyUI와 SDXL 사용법(5) - img2img

이 글에서는 이전 글까지 만들어온 워크플로에 img2img 기법을 적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이 시리즈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스테이블 디퓨전 - ComfyUI 사용법(1) - 기초 - 아주 간단한 기본 SDXL 워크플로를 생성합니다. 스테이블 디퓨전 - ComfyUI 사용법(2) - 조건부여 - SDXL 에만 적용되는 조건부터를 추가하고, 조건부여 파라미터 변경에 따른 이미지 영향을 시험합니다. 스테이블 디퓨전 - ComfyUI 사용법(3) - Refiner - 완전한 SDXL 프로세스를 위해 refiner 모델을 추가합니다. 스테이블 디퓨전 - ComfyUI 사용법(4) - LoRA - 커스텀 노드를 설치하고 LoRA를 사용하는 워크플로를 생성합니다. 스테이블 디퓨전 - ComfyUI 사..

ComfyUI용 SDXL Prompt Styler

엊그제 쓴 SDXL 모델 스타일 106가지라는 글에서는, AUTOMATIC1111 확장인 StyleSelectorSDXL 1.0을 소개했습니다. 사실상, 이 106가지 스타일이란, StyleSelectorSDXL 확장에서 제공하는 스타일을 하나씩 나열한 것에 불과했습니다. 즉, "woman" 또는 "city"와 같이 간단한 프롬프트만 입력한 상태에서 StyleSelector가 제공하는 스타일을 선택하면 다른 스타일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이미지가 만들어졌습니다. 이 StyleSelector를 ComfyUI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커스톰 노드인 SDXL Prompt Styler를 설치하면 됩니다(사실 Style Selector for SDXL 1.0 도 이 SDXL Prompt Styler를 따라한 것..

Stable Diffusion - 유용한 AUTOMATIC1111 확장

스테이블 디퓨전은 매우 강력한 AI 이미지 생성기입니다. 그런데, 스테이블 디퓨전은 사용자들이 개발하는 확장이 있어 더 많은 기능이 추가되고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스테이블 디퓨전의 대표 UI인 AUTOMATIC1111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확장(extension)) 몇가지를 소개합니다. 아래는 목차입니다. 소프트웨어 확장(extension) 설치 방법 콘트롤넷(ControlNet) Infinite Image Browser Aspect Ratio selector(종횡비 선택) CLIP Interrogator Ultimate SD Upscale Civitai Helper After Detailer Regional Prompter(구역 분할 프롬프트) OpenPose Editior St..

Stable Diffusion으로 비슷한 얼굴 만드는 방법

인공지능을 이용해 아기들 동화책을 만들고 싶거나, 만화책을 만들고 싶다면, 비슷한 모습이 유지되는 것이 중요할 겁니다. 매 페이지마다 혹은 한칸 한칸 얼굴이나 복장이 달라진다면 집중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겠죠. 하지만, 기본적인 방법만으로는 Stable Diffusion을 사용하면 모든 얼굴이 달라질 수 밖에 없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시켜드립니다. 이 글의 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소프트웨어 유명인 이름을 사용하는 방법 ReActor 확장을 사용하는 방법 DreamBooth로 학습시키는 방법 LoRA를 사용하는 방법 콘트롤넷 IP-adapter를 사용하는 방법 소프트웨어 이 글의 내용을 따라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테이블 디퓨전용 AUTOMATIC1111 웹UI를 설치해야 합..

스테이블 디퓨전 - ComfyUI와 SDXL 사용법(2) - 조건부여

스테이블 디퓨전을 사용하는 분들중 대부분은 AUTOMATIC1111 웹UI를 사용합니다. 그만큼 대중적이기도 하고 사용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 정해져 있다보니 어떤 절차를 거쳐 이미지가 생성하는지 알기도 힘들고, 이 절차를 마음대로 수정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ComfyUI는 이러한 AUTOMATIC1111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웹UI입니다. Stable Diffusion 모델의 워크플로를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고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대신 사용하기가 쉽지는 않죠. 이 글에서는 이전 글에 이어 빈 ComfyUI 캔버스로부터 시작해서 SDXL 모델을 사용해서 이미지를 생성하기 까지 한 단계씩 워크플로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이 글은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