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정보/측량2008. 8. 14. 13:25
오랜만에 일반지도 이야기입니다. 사실 일반지도는 사라질 수 밖에 없는 운명에 처해 있습니다.

그래도 아직까지는 전원걱정이 필요없으며, 한꺼번에 넓은 지역을 볼 수 있는 등, 여러가지 장점이 있어 어려운 가운데에서도 명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종이지도의 장점을 살린 아주 재미있는 지도 2가지가 나와서 소개시켜드리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첫번째는 아주 작은 지도 입니다.

먼저, KeyMap이라는 지도는 15cm × 23cm 짜리니까 A4 용지보다 약간 작은 크기인데, 모두 접으면 2.7cm x 5cm 정도로 열쇠정도의 크기가 됩니다. 가방 같은데 매달고 다니면 되는데, 그냥 핸드폰에 매달아도 될 것 같습니다.

아주 선명하게 인쇄가 되어 있어서, 맨눈으로도 볼 수 있지만, 50배까지 확대해서 봐도 될 정도로 극히 세밀하게 인쇄되어 있다고 하네요. 확대해서 봐야 할 경우에는 함께 들어 있는 확대경을 이용하면 된다고 합니다.

가격은 25 홍콩달러로 약 3,200 원 정도입니다.

다음으로 신용카드 정도의 CardMap입니다. 전체 크기는 23.5cm × 35.5cm 이며, 접은 상태에서는 4.5cm x 8cm입니다. 아래는 모두 폈을 때의 모습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도의 특성은 KeyMap과 비슷하며, 이 지도에도 확대경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지도는 지갑속에 넣어다니거나, 목에 걸고 다니도록 디자인 된 것입니다.

이 지도들은 홍콩에 있는 ZoomMap.org라는 회사에서 제작되었으며, 주로 홍콩, 마카오 및 중국 지역의 지도가 있습니다. 전체 리스트는 product listing를 보시면 됩니다.


두번째는 한장의 지도에 여러가지 내용을 함께 볼 수 있는 지도입니다.

지도를 기울이면, 일반 도로지도, 지하철 노선도, 행정구역도가 번갈아가며 나타납니다. 말로 설명하기는 힘들고, 아래에 있는 플래시 파일에 마우스를 올려서 이리저리 움직여 보시기 바랍니다. PanaMap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또다른 플래시가 있습니다.


현재 뉴욕시 및 시카고 지도가 제작되어 있으며, 가격은 대략 2만원 정도입니다. 어떻게 구현되는지는 여기를 들어가 보시면 되는데요, 대충 말씀 드리면, 어릴적에 입체감이 있는 그림카드와 비슷한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인터넷 지도가 활성화되고, 내비게이션이 보편화된 지금, 일반 인쇄지도 시장은 1/4 이상 축소되었다고 보이며, 앞으로도 더 축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현재 휴대용 전자기기가 점점 발전되고 있는데, 특히 보행자용 내비게이션이 널리 사용되면 일반지도의 입지는 더욱 줄어들 수 밖에 없습니다. 또, 전자종이가 싼 값에 보급될 수 있다면 종이지도만의 장점도 사라져버릴 것입니다.

그 다음에는? 종이가 가지는 감성적인 면만 남겠죠. 그때도 종이지도가 계속 자기만의 영역을 가질 수 있을까요? 개인적으로는 그랬으면 좋겠다... 싶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쉽지 않을 것 같네요.

민, 푸른하늘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공간정보/측량2008. 5. 10. 15:36
The Map Room을 통하여, 지도를 이용해 그림을 그리는 화가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첫번째는 Suzanne Howe-Stevens이라는 분으로, 지도를 배경 혹은 프레임으로 사용하여 물과 육지간의 경계를 강조하는 그림을 그리시는 분입니다.

아래 그림은 홈페이지에서 가져온 것으로, 그림 크기가 작아 잘 안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 보면, 바깥쪽 프레임 같은 부분이 지도임을 알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 http://www.migrationgallery.com/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 http://www.migrationgallery.com/


다음은 Brenda Schwartz-Yeager이란 화가분으로, 주로 해도(nautical charts)위에 수채화로  그림을 그리는 분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 http://www.marineartist.com/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 http://www.marineartist.com/


저는 예술과는 좀 거리가 먼 사람입니다만, 이런 그림이라면 하나쯤 소장하고 싶네요. 참고로, 지도를 예술적으로 활용하는 사례는 지도로 만든 옷(Worldwide wardrobe)도 읽어보시길...

민, 푸른하늘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공간정보/측량2008. 4. 27. 16:38
모든 인터넷 주소(URL)은 .com, .net과 같은 3자리수의 일반 최상위도메인(gTLD : general top-level domain) 또는 .kr, .jp, .cn과 같은 국가별 최상위도메인 (ccTLD : country code top-level domains)으로 끝납니다.

이중에 국가별 최상위도메인을 표시한 지도를 2가지 소개시켜드립니다. 참고로 국가도메인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여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먼저 일반적인 세계지도에 ccTLD를 함께 표기한 지도입니다. 아래는 우리나라지도 인근만 표시한 것인데, 세계지도를 보시려면 여기(4080x2040)를 눌러보시면 됩니다. 참고로, 이 지도 좌우측 여백에는 전체 ccTLD 전체 리스트가 들어 있습니다.

원본 크기는 48인치 x 24인치 (122cm x 61cm)로 가격은 $40이고, 여기 들어가 보시면 자세한 내용을 읽으실 수 있고, 구매도 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은 ccTLD만 표시한 지도입니다. 문자의 크기는 인구 비례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다만, 중국과 인디아는 너무 인구가 많아서 30%로 제한을 했다고 하고, 너무 인구가 작은 나라의 경우 표시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1000만명이하는 동일하게 표시하였다고 합니다.


이 지도의 원본 크기는 36' x 24'(약  90cm x 60cm) 이고, 가격은 $30 이라고 합니다. 여기 들어가 보시면 자세한 내용을 읽으실 수 있고, 구매도 하실 수 있습니다.

====
이 두가지 지도중에 어떤 지도가 마음에 드십니까? 저는 아래 지도가 훨씬 맘에 듭니다. 위에 있는 지도는 너무 전통적인 지도랑 비슷해서 그다지....

다만, 아래에 있는 지도도 단순히 인구비례로 만들지 말고, 인터넷 사용인구 기준으로 만들었다면 어땠을까... 싶네요. 그랬다면 우리나라가 훨씬 크게 나타났을텐데 말입니다~ ㅎㅎ

민, 푸른하늘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구글어스/구글맵2008. 4. 14. 08:49
4월 10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이번 소식은 전혀 구글과는 관계없는 내용이네요...

엘리자베스 르쿠르트(Elisabeth Lecourt)라는 예술가 한분이 종이지도로 옷을 만들었다는 내용입니다. 물론 입는 건 아니고 걸어두는 용도랍니다.

직접 보시려면 웹사이트에 들어가보시면 됩니다. 아래는 그중에서 하나만 캡처한 것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추가) 이 분이 만든 옷이 더 있네요. (via geobloggers.com) 아래 옷은 Fairfax라는 도시를 대상으로 한 것인데, 여기로 들어가 보시면 3-4가지 디자인을 더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사만 올리려니 좀 썰렁해서... 예전에 보았던, 지도를 사용한 여러가지 작품을 소개시켜 드리겠습니다. 주로 인쇄 지도를 다루는 블로그인 The Map Room을 통해 알게 된 내용인데요, 뉴욕주 West Nyack에 있는 Rockland Center for the Arts에서 4월 8일까지 열렸던 The Map Show 관련 내용입니다.

여기를 누르고 들어가면 여러가지 지도를 이용하거나, 관련된 작품을 보실 수 있는데요, 저는 아래에 있는 세계지도를 구겨서 지구본처럼 만든 작품이 정말 재미있더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 외에도 찾아보면 지도를 응용한 예술작품이 여러가지 있는 것으로 아는데, 못찾겠네요. 다음에 찾아내면 또다시 포스팅하겠습니다.

민, 푸른하늘
====
http://google-latlong.blogspot.com/2008/04/worldwide-wardrobe.html
Thursday, April 10, 2008 at 6:35 AM

우리는 어디서나 지도를 보고 싶어합니다. (특히 우리 API구글맵 삽입기능을 사이트에 이용한 경우) 그러나, 예술가인 엘리자베스 르쿠르트(Elisabeth Lecourt)는 지도에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엘리자베스는 종이지도를 사용하여 입는다기보다는 걸어두는 모조 옷을 만들었습니다. 영국 지도로 만든 멋진 "Four Hours"란 작품을 보시죠. 엘리자베스의 웹사이트에 들어가시면 전세계 지도로 만든 옷을 구경하실수 있습니다. 저런 옷을 입고 일하러 온다면 우리 팀들이 뭐라고 생각할지 궁금하네요...

====
구글 LatLong 블로그 목록 : http://heomin61.tistory.com/6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공간정보/전자지도2008. 1. 10. 17:16
AllPoints Blog를 통해 싱가포르의 국가지도제작기관인 싱가포르 토지국 (SLA : Singapore Land Authority)에서 지도를 불법적으로 사용하였다는 혐의로 Virtual Map을 고소하였고, 1차심리에서 SLA가 승리하였으며, 이에 Virtual Map에서는 변호사를 통하여 불법적으로 사용하지 않았다고 주장하였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원래의 기사를 보시려면 Channel News Asia를 보시면 됩니다.

Virtal Map에서는 자신들은 지도를 제작할 때 SLA의 종이지도를 참고하였지만, 자체적으로 GPS를 사용하여 제작하였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이에 대해 SLA변호사는 SLA의 지도가 없었다면 애초에 지도제작이 불가능하였을 것이라는 점, 그리고 Virtual Map에서 보유한 지도에 유령지형지물(Phantom Feature)가 나와 있다는 점을 들어 불법적으로 사용한 것이 틀림없다는 입장입니다.

여기서 유령 지형지물이란, 지도를 최초에 제작하는 기관에서 실세계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건물이나 도로 등을 무작위로 삽입시켜 둔 것을 말합니다. 불법으로 사용하는 업체는 실재 존재하는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이런 지형지물도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게 되고, 이를 근거로 불법 사용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입니다.

아직까지 우리나라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이러한 유령 지형지물을 국가 기본도에 입력하는 예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쇄지도를 제작하는 업체 혹은 전자지도를 제작하는 업체중에서 지도 갱신에 많은 투자를 해야 하는 선도기업로서는, 후발업체들이 자신들의 지도를 베낄 가능성이 상존하기 때문에, 이런 유령 지형지물을 삽입해 두는 것으로 들었습니다.

그럼 Virtual Map에서 이런 유령 지형지물이 입력되어 있는 것에 대해 변호사는 무엇때문이라고 대답했을 것 같습니까? 사람의 실수(Human Error)라고 했답니다. 실수로 똑 같은 걸 입력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아무리 심리를 거듭해 봤자 Virtual Map측의 패소가 눈에 선하네요.

참고로, 90년대 말에 우리나라에서 이와 비슷한 일로 고소고발이 이루어졌으나, 원고가 패소한 일이 있습니다. 그때 근거가 저작권법이었는데, 그 당시에는 "데이터 그 자체는 저작권법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패소할 수 밖에 없었죠. 하지만, 2002년 이후 저작권법이 개정되어 "데이터베이스 제작자의 권리"가 인정되기 때문에 동일한 소송이 이루어진다면 원고가 승소할 가능성이 훨씬 높습니다.

민, 푸른하늘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공간정보/전자지도2008. 1. 7. 00:00
이제 우리 주변에서 아주 쉽게 전자지도를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컴퓨터만 있다면 언제든 인터넷으로 지도를 볼 수 있고, 구글어스나 버추얼어스를 사용하면 전세계의 위성영상과 3차원 건물까지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재작년 내비게이션 판매대수가 120만대에 이르는 등, 내비게이션이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어, 대략적으로 자가용 5대당 1대 이상 내비게이션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기타 조금만 수고를 한다면 휴대폰이나, PMP 등으로도 쉽게 지도를 볼 수 있고, 자신의 현재 위치까지도 알 수 있습니다.

이정도가 되면 종이에 인쇄된 지도는 필요없겠다 싶지만, 아직까지도 여러 회사에서 인쇄지도를 제작, 판매하고 있습니다. 물론 과거보다는 많이 줄어들었지만요. 그 이유는 무엇때문일까요?

성지문화사
우리나라 전국의 도로를 모두 담은 인쇄지도의 경우 대부분 축척이 1:100,000입니다. 실제 거리가 1km를 1cm로 표시한다는 뜻입니다. 대략 이정도로 표시해야 한권으로 담을 수 있습니다. 성지문화사에서 발매한 1:100,000 도로지도 지도대사전이라는 책의 경우, 344쪽으로 구성되어 있죠.

그럼 인터넷지도나 내비게이션에 사용되는 전자지도는 어떨까요? 본질적으로 전자지도는 저장장치만 충분하면 얼마든지 많은 지도를 담을 수 있지만, 현재 대부분의 전자지도는 복잡한 대도시의 경우 1/5,000지도를 사용하고, 그 외의 지역에서는 1/25,000지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를 인쇄지도로 만든다면 최소 1,500쪽이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전자지도의 가격은 인쇄지도의 가격보다 훨씬 쌉니다. 인터넷지도가 무료로 서비스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내비게이션에 들어가는 지도는 아무리 높게 잡아도 1-2만원정도 뿐이 안됩니다. 물론 관련기기도 함께 사야하기 때문에 전체 구입비는 비쌀 수는 있죠.

이렇게 가격도 싸고, 정보도 훨씬 많은 전자지도가 도처에 널려 있는데, 아직까지도 종이지도가 꽤 많이 제작, 판매되는 이유는, 한마디로 인쇄지도가 편한 점이 많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럼 어떤 점이 편리할까요? 휴대성? 물론 아닙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성지문화사 지도는 1.2kg입니다. 왠만한 노트북컴퓨터 무게정도되죠.

물론, 전기가 없는 곳에서도 볼 수 있다는 장점은 있네요. 아무리 큰 건전지를 사용해도 24시간 이상 버티는 건 힘들거든요.

인쇄지도의 장점은 제한된 공간에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고, 편하게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컴퓨터화면은 오래 쳐다보면 눈이 피로하지만, 인쇄지도는 그럴 염려가 없습니다. 게다가 대부분의 경우 디자인이 잘 되어 있어 이해하기도 쉽습니다. 또 지면이 커서 한눈에 넓은 범위를 한꺼번에 파악할 수 있다는 것도 무시할 수 없는 장점일 겁니다.

=====
인쇄지도의 장점은 결국 전자지도의 단점입니다. 전원이 없으면 오랫동안 버티지 못하고, 눈이 피곤하며, 한꺼번에 넓은 범위를 보기 힘들다는 거죠.

하지만, 이것을 극복할 수 있는 기기가 개발되었습니다. 바로 전자종이(e잉크)입니다. 전자종이는 LCD에 비해 전력소비가 1/100에 불과하고, 전원이 꺼져도 화면이 그대로 보존되며, 태양광 아래에서도 볼 수 있고, 해상도도 높고, 백라이트(back light)가 필요없어 눈의 피로감이 거의 없습니다.

아래그림은 전자종이의 원리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아래기판에 양극이 되면 까만색 입자가 아래로 내려와서 흰색으로 표시되고, 아래 기판이 음극이 되면 검은 색으로 표시되는 원리입니다.

전자종이의 원리

심지어 LG필립스 LCD의 경우 2006년 5월 종이처럼 휘거나 구부린 상태에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까지 개발하였으며, 2007년 5월에는 세계 최초로 A4용지 크기의 컬러 플렉시블 전자종이(E-Paper)를 개발했습니다.

LG필립스의 컬러 플렉시블 전자종이

아래 그림은 필립스에서 2006년에시제품으로 개발한 두루말이 방식(Rollable Display) 디스플레이입니다. 2006년엔 전자종이 'e잉크'가 뜬다를 읽어보시면, 이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전자종이 관련 기기를 보실 수 있습니다.

두루말이 방식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이런 방식의 전자종이가 상용화되고, 이 기기안에 GPS 수신기와 전자지도만 넣는다면 아마도 현재의 여러가지 전자지도 관련기기나 인쇄지도가 통합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주머니속에 넣고 다니다가 쑥 꺼내서 지도를 보고, 차안에 들어가면 펼쳐보고...

어떻게 생각하세요? 전자종이는 2-3년 내에 상용화될 것이라고 전망되고 있는데, 몇 년 후면 이런 전자종이 지도책을 보실 수 있을 것 같으신가요? 저요? 당연히 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민, 푸른하늘
====
추가 :

전자종이가 마음대로 접을 수 있다는 특성을 이용한 컨셉트 폰이 있네요. 아래 그림과 같은 핸드폰이 나온다면, 핸드폰으로 내비게이션을 하는 게 전혀 무리가 없을 것 같습니다. 평상시에는 접고 다니다가, 차에 타면 화면을 열어둔 상태에서 거치대에 걸어두면 될테니까요.

언젠가는 볼 수 있겠죠? 빨리 나오길 기대해 보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자종이를 사용한 핸드폰 컨셉트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구글어스2007. 12. 31. 22:23
Gavin Broke라는 분이 재미있는... 그러나 명백히 저작권 위반일 것 같은 KML를 배포하였습니다.

첫번째는 영국 국가지도제작기관인 Ordnance Survey에서 제작한 사이트에서 OS Map 타일의 주소를 알아낸 후, 이를 KML로 만들었습니다. 아래 그림이 구글어스에 OS Map을 중첩시킨 모습입니다. 아마도 1/50,000 정도의 지도가 아닌가 싶습니다.

직접 보시려면 osmaps.kml을 실행시키시면 됩니다. 처음 실행시킬 땐 아무것도 안보이지만, 확대해 들어가면 그 지역의 지도가 자동으로 뜨게 되어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두번째는 일본의 국가지도제작기관인 국토지리원(GSI)에서 제작한 http://cyberjapan.jp/이라는 사이트에 들어 있는 여러가지 라스터 지도를 사용하여, 위와 비슷한 방식으로 구글어스에 중첩을 시켰습니다. 이곳은 1/25,000뿐만 아니라, 확대해 들어가면 더 자세한 지도도 볼 수 있습니다.

직접 보시려면 gsimaps.kml을 실행시키시면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제가 보기에 사실 이 두 예는 그다지 실용적은 아닙니다. 제가 예전에 구글어스와 인터넷지도의 결합!!!!이라는 글에서 소개시켜 드린 네이버/콩나물/사이월드 지도를 구글어스에 중첩시킨 것은 아주 쓸모가 많지만, 어차피 일본이나 영국의 경우 도로지도가 완비되어 있으므로 구지 라스터 지도를 구글어스에 띄울 필요는 없으니까요.

다만, 이런 가능성은 언제든지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인쇄지도를 배포할 경우, 이런 형태의 해킹이 항상 가능할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하여 상업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을 테니 그다지 노심초사할 필요는 없을 것 같고요.

민, 푸른하늘
====
via Ogle Earth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