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1868

스트릿뷰 지원 도시 증가(Street View: expanding our horizons)

3월 27일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제가 며칠 바쁜 탓에 늦게 소식을 전하게 된 점 죄송하게 생각하며... 구글맵에 들어있는 스트릿뷰는 매번 화제를 몰고 다니고 있는데요 (자세한 해설은 제 글을 참고하세요) 얼마전까지 총 28개의 도시를 지원하였다가 이번에 14개의 도시(1개는 공원)를 추가로 지원하게 되었고, 기존 6개의 지역에 대해 지원범위를 넓혔다는 소식입니다. 참고로, 아래에 있는 원문 번역글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릿뷰 영상은 모두 삽입된 것이므로, 직접 이리저리 돌려 보실 수 있습니다. 또, 마지막 부분에... 구글맵 API에 스트릿뷰 영상을 콘트롤 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는 내용도 있네요. 민, 푸른하늘 ==== http://google-latlong.blogspot.com/200..

사상 최대의 감마선 폭발(A fitting send-off)

3월 26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목동자리 한가운데에서 GRB 080319B라는, 사상 최대의 감사선 폭발이 관측되었다는 내용입니다. 이 사실은 다양한 천문학 관련 구글어스 KML이 올라오는 Ogle Earth를 통해서 알려졌습니다. 물론 이 블로그의 주인장 스테판 긴스(Stefan Geens)씨는 관측 자료를 KML 로 만들어서 올렸고요. 감마선 폭발이란, 태양의 질량과 맞먹는 에너지를 수십 초 사이의 짧은 시간에 우주공간에 쏟아내는 현상으로서, 현재 천체물리학의 가장 큰 수수께끼의 하나라고 합니다.감마선 폭발은 거의 하루에 하나씩 발견된다고 하네요.(참고자료 : 경향닷컴, GBR) NASA의 스위프트 위성이 감마선 폭발을 관측하는 상상도 출처 : 경향닷컴 그런데, 이번 감마선 폭발..

GPS 의무화 - 범죄방지에 도움 안된다

계속되고 있는 부녀자 납치사건에 대응하기 위하여 경찰청에서 최근 3년간 발생된 실종사건을 전면 재수사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하고, 여러가지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관련기사 : 매일경제, 서울신문) 대표적인 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린이들의 신상정보가 내장된 전자 태그를 가방에 부착 전국의 놀이터와 공원에 CCTV를 추가 설치 성폭력 범죄 등으로 실형이 확정된 수형자 등의 유전자감식정보 데이터베이스화 위성항법장치(GPS)를 모든 전화기에 장착토록 의무화하는 방안 이에 대해 한국일보에서는 "범죄자의 신속한 검거와 범죄 예방이라는 순기능보다는 공권력에 의한 부당한 사생활 감시와 인권침해 우려로 참여정부 시절 무산됐던 것들이어서 논란이 불가피"하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뭐... 모든 방안들이 나름대로 찬반이 있겠..

공간정보/측량 2008.03.27

보르네오에 위치태그된 나무를 심어보세요.

3월 24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방금 전 제가 올린 열대우림에 나무한그루 심으세요와 거의 동일한 내용입니다. 그래서... 별 달리 새로 추가할 사항은 없을 것 같네요. 다만... 아래 그림은 구글어스의 "WWF 보존 프로젝트"를 켜고 보르네오섬 인근을 본 모습입니다. WWF 마크가 나타난 곳이 많네요... (클릭하면 큰 그림이 뜹니다.) 민, 푸른하늘 ==== Plant a geotagged tree in Borneo with your name on it! http://google-latlong.blogspot.com/2008/03/plant-geotagged-tree-in-borneo-with.html Monday, March 24, 2008 at 9:40 AM Posted by ..

열대우림에 나무 한그루 심으세요

세계야생동물기금(WWF : World Wildlife Fund)에서 $5.5 (약 6천원)를 기부하여 나무 한그루만 사면, 지구의 허파인 열대우림에 대신 심어주는 행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나무 심기 운동을 하는 지역은 인도네시아의 보르네오섬 남부에 있는 세방가우(Sebangau) 국립공원 지역으로, 아래 그림에서 아이콘이 몰려 있는 지역입니다. 특히, 이 행사에서는 나무 한그루를 대신 심어주는 것 뿐만 아니라, 나무가 실제로 심어진 위치가 KML로 만들어져 이메일로 전달됩니다. 이 KML을 사용하면, 구글어스 영상이 업데이트될 때마다 자신이 심은 나무가 잘 자라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겠죠. mybabytree.org에 접속하시면, 예쁜 애니메이션이 시작되는데, 잠시 후 3가지 묘목 중에 하나를 ..

구글어스 2008.03.25

링크 모음 (2008.3.24)

Market Share : 올해초 제가 미국 온라인 지도 순위라는 글에서 쓴 내용(MapQuest가 약 50%로 1위, 2등은 구글맵, 3등은 야후지도)과 함께, 2월의 ChangeWave 조사에 따르면, 일반인용 GPS 마켓에서 Garmin이 56%를 점유하고 있으며, 2등인 마젤란으로 12%를 점유하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1939년대의 항공사진측량 : 대중과학(Popular Science)지 1939년 5월호에 실렸던 “Flying Cameras Map America for War”라는 글을 다시 볼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그 당시 항공사진측량용 카메라라고 합니다. Quantum GIS : 뚜와띠엔님께서 Open Source GIS의 하나인 QGIS를 써보고 간략히 정리한 글입니다. 꽤 기능이 괜..

기타 2008.03.24

MS, 버추얼어스 비행 시뮬레이터?

내년이나 내후년쯤, 버추얼어스를 기반으로 한 비행시뮬레이터가 등장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올해로 발매 26주년을 맞는 Flight Simulator 프로그램을 개발 플랫폼으로 제공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이 플랫폼은 "Microsoft ESP simulation platform"이라고 합니다. 사실 오래전부터 이 Flight Simulator를 이용해서 자신의 목적에 맞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하는 사람들로부터 오래전부터 요구를 받아왔지만,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3rd Party에서 게임 목적으로만 사용하도록 라이센스 받은 상태라서 불가능했었는데, 이번에 라이센스 문제가 풀렸다고 하네요. (관련 기사 : GCN) 출처 : GameSpot 이 개발 플랫폼에는 지리정보, 문화, 환..

지도와 소설의 결합(How do you read a map?)

3월 21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지도를 기반으로 한 소설을 소개하는 내용입니다. 먼저 본문에 언급된 21 Steps 에 들어가 보시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좌측은 장별로 구분이 되어 있어 직접 이동이 가능하고, 어떤 장이든 들어가면 위치표지과 소설이 나타납니다. 내용을 다 읽으면 next를 누르면 됩니다. 다음 장소로 이동할 경우에는 화면에 선이 나타나서 자동으로 다음 장소로 이동됩니다. 아주 오래전, 구글맵을 문학교육 수업용으로 활용한 사례를 소개시켜드린 적이 있었습니다. 그 글에서 박경리 선생님의 토지 같은 소설에 나오는 여러 장소를 위치로 표시하면 좋겠다고 말씀 드렸고요. 그런데, 이 사이트는 처음부터 지도를 기반으로 해서 소설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성격이 완전..

구글맵을 사랑하는 정치인(A match made in Washington)

3월 21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미국 상원의원 한분이 구글맵을 활용하여 여러가지 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소개하는 내용입니다. 아래 본문의 내용은 아주 간단하지만, 여러가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먼저 구글맵으로 여러가지 지도를 만들었다는 네브라스카의 벤 넬슨 상원의원은 쇠고기에서 뼈조각이 발견되어 우리나라에서 미국산 쇠고기 수입금지조치를 내렸을 때, 이를 맹 비난한 사람입니다. 작년엔 저도 뭐 이런 놈이 있나... 했었습니다. 그런데, 지도는 여러가지로 활용하는 모양입니다. 이라크 방문 여정을 담은 개인지도는 지금은 연결이 안되는 것 같지만, 네브라스카주의 명소를 소개하는 지도는 꽤 쓸만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언급되어 있는 대학생들의 봄방학 자원봉사활동 지도는 아래에..

구글어스, 세계 실시간 레이더 정보 제공(International radar updates in Google Earth)

3월 20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어스에서 유럽, 미주 등을 대상으로 준실시간 기상레이더 정보가 제공되기 시작했다는 내용입니다. 작년 11월 8일 구글어스에 최초로 기상관련 정보가 등장했습니다. 그때, 구름 영상과 일기 예보 자료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세계를 대상으로 서비스하기 시작했지만, 기상레이더는 미국에 한해서만 제공되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유럽, 캐나다, 알라스카, 하와이, 푸에토리코(Pueto Rico)를 대상으로 기상레이더 영상 지원범위를 넓혔다는 내용입니다. 아래는 알라스카 지역의 기상레이더와 구름을 한꺼번에 보인 모습입니다. 현재 알라스카 만 일대에 비구름이 있네요. 구름은 없애고, 알라스카만 지역을 좀더 확대해서 기울여 본 화면입니다. 마지막으로 아래는 완전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