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아직 사용해 보지는 않았지만, 제가 전에 쓴 글에 들어 있는 비디오 3개를 보면 대략적으로 작업량이 1/10 정도로 줄어들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포토스케치(PhotoSketch)는 Brainstome 사의 홈페이지에 들어가만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가격은 여기를 보시면 되는데, 1 라이센스에 350 달러... 현재 환률로 40만원이 훌쩍 넘어가니 상당히 부담될 것 같습니다. 그런데 현재 30일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trial verion도 함께 제공되고 있으므로 성능을 시험해 보고 싶은 분들은 다운로드 받아보시길...
저요? 저는 아직 스케치업에 익숙하지 않은지라, 약간 더 공부하고 나서 다운로드 받을 생각입니다. 성공적으로 테스트를 마치게 되면 나중에 다시 포스팅하겠습니다.
제 블로그에 들르시는 분들이라면 마이크로소프트의 PhotoSynth하면 익숙한 이름일 겁니다. 또, 구글의 Sketchup도 익숙하실테고요. PhotoSketch는 바로 이 두 가지 멋진 프로그램의 기능을 합친 소프트웨어입니다.
이 PhtoSketch는 2007년 8월에 발표되었고, 그때 제가 일부 내용을 정리했었는데, 이번에 새로운 소식이 들어왔습니다. PhotoSketch가 정식 릴리즈를 앞두고 있는 것 같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예전 글을 가져와서 내용을 좀 보완하고, 새로운 소식을 추가하여 글을 다시 작성하기로 했습니다.
====
먼저 마이크로소프트의 포토신스(PhotoSynth)는 사용자가 일반 카메라로 아무렇게나 찍은 여러사진을 조합해서 3차원 점군(Point Cloud)을 계산하고,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를 계산한 후, 이를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참고로 사진측량의 경우엔 기준점을 정밀한 측량기기를 통해 별도로 측정해야 합니다.) 이러한 기능이 PhotoSketch에 내장이 되어 있습니다.
<하얀 공처럼 생긴 부분이 카메라 촬영 위치>
다음으로 이러한 3차원 점군(Point Cloud)과 사진을 사용하여 3D 모델을 만드는 것은 사용자가 해야 합니다. 하지만, PhotoSketch을 사용하면 대략적인 3D 모델은 쉽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점들의 위치가 나타나 있으므로 사진 한장만 가지고 제작하는 것보다는 훨씬 쉽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 (3D 모델이 별도로 있을 경우에는 이 과정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이렇게 3D 모델을 만들면서 사진에 찍혀져 있는 건물의 모습을 텍스춰로 입혀주는 작업도 PhotoSynth가 해결해 줍니다.
아래는 PhotoSketch를 소개하는 Presentation 동영상입니다. 길이가 너무 길기는 하지만, 3D 모델 제작에 관심있는 분들이라면 천천히 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아래에 있는 내용은 동영상에 나온 내용중, 제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만 정리한 건데, 너무 기술적이라서 숨겨두었습니다.
Automated Texture Mapping - 여러장의 사진을 사용하여 3D 모델제작
GPS 필요없음. 캘리브레이션이 되어 있지 않은 일반 카메라를 사용
기존 방법 -
Active Sensing(Laser Scanning, Flash Laser), - 정확도 5mm
Passive Sensing - 정확도 5cm
Passive Sensing 에서 3장 이상 멀티뷰 스테레오
둘다 Heavyweight Model - 260MB (포인트의 수 1000만개)
웹에서는 lightweight model로 충분 -> 800kb
멀티뷰 Geometry 알고리듬
- 사진으로부터 SIFT(Scale Invariant Feature ??)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특징있는 형상을 추출
- 연속된 사진에서 공통된 특징있는 형상(Feature)을 추출
- 이 두가지 영상으로부터 사진 촬영지점의 위치 및 자세에 대한 초기값 계산
- 나머지 영상도 동일한 방법으로 사진 촬영지점 및 촬영방향을 계산
- 번들조정(Bundle Adjustment) 방법을 사용하여, 전체적인 에러를 최소화함
PhotoSketch는 lightweight 텍스춰 3D모델 제작툴
- MicroSoft PhotoSynth의 자동 카메라 캘리브레이션과 구글 스케치업의 간편함을 통합한 툴
-3D 모델이 있을 경우 자동으로 텍스춰링
- 없을 경우에는 캘리브레이션 자동 - 사용자가 3D 모델 구축 - 자동 텍스춰링 : 반자동
비디오 영상이나, 스트리트뷰(Street View) 영상을 사용해도 3차원 모델 제작 가능
항공사진측량과의 비교
- 항공사진측량에는 수작업 과정이 많이 필요함
- 사진이 많을 때 작업하기 힘듦
- 대부분 기본 3차원 도형을 직접 입력하는 방법으로 매우 복잡함
- 실루엣기반이 작은 객체에는 적용하기 힘듦
- 경험이 많은 사람 필요
PhotoSchetch
- 캘리브래이션이 자동임
- 2D 스케치를 기반으로 함 사출방식 - 사진을 기반으로
그런데 이번에 이 포토스케치를 개발한 Brainstorm Technology LLC에서, 포토스케치 투토리얼을 공개했습니다. 유투브 비디오로 총 3가지가 공개되었습니다.
아래는 첫번째 투토리얼입니다. 먼저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건물을 촬영한 사진을 찾아 등록한 후, 사진 촬영지점 및 방향을 계산합니다. 그다음 사진간의 연결관계를 계산해서 3차원 점군(Point Cloud)와 사진을 스케치업으로 불러들이게 됩니다.
두번째 투토리얼는 이렇게 불러들인 사진과 점군을 이용해 3D 건물 모델을 제작하는 방법이 들어있습니다. 사진상에 보이는 건물 모서리로부터 직사각형만 입력하면 바로 3차원 위치가 지정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원래 스케치업에서는 이 방향에서 한번 입력한 후, 다른 방향으로 돌려서 편집하고... 등등의 작업을 반복해야 합니다. 건물의 높이를 한개만 지정하면 나머지도 동일한 높이로 자동 지정되는 모습도 흥미롭고, 텍스처를 자동으로 입혀주는 모습도 재미있네요.
아래는 마지막 투토리얼입니다. 여기에서는 위에서 대충 만든 모델을 자세하게 튜닝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 투토리얼에서 나오는 기능들은 대부분 스케치업에 원래 있는 기능들입니다.
제가 보기에 일단 사진을 좀 더 다양한 위치에서 촬영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들고... 건물 옆면에 나무의 모습이 텍스처로 입히는 건 별도로 처리하는 기능이 있을 것 같기도한데, 잘 모르겠네요.
==== 구글어스와 버추얼어스는
현재 3D모델을 구축에 다른 접근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구글어스는 주로 기존 기업에서 제작한 3D 모델을 구입하거나,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모델로 구글어스를 채워가고 있고, 버추얼어스는 자체적으로 항측회사를 구입하여 3D 모델을 제작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제가 써둔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의 3D 도시 비교를 보시면 되는데, 현재 상황으로 보면 3D 모델 제작기술은 버추얼어스가 앞서있다고 할 수 있죠.
어쨌든 3D 모델을 만드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아무리 구글에서 Sketchup같은 훌륭한 프로그램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더라도, 3D모델, 특히 건물의 벽면 사진(텍스처, Texture)까지 입힌 모델을 만들기는 만만치 않은 작업이죠.
하지만, PhotoSketch를 이용하면 이 작업이 상당히 간단하게 해결될 수 있을 듯 합니다.
이 포토스케치가 발매되면, 구글의 3D 모델 제작에도 가속도가 붙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여전히 스케치업을 알고 있어야 한다는 장벽은 남아있지만요.
제 관심사는 계속 바뀝니다. 이 블로그를 유지하는 동안에도 벌써 여러번 주제가 빠뀐 것 같습니다. 돌고 돌아 이제 고향으로 돌아왔습니다. 공간정보입니다. 세계를 측정하고, 그 기준을 세우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공유하는 것이 공간정보에서 다루는 내용입니다. 4차산업혁명이 데이터 기반이라고들 합니다. 데이터는 그냥 모아둔다고 정보가 되지 않습니다. 표준에 따른 공통 스키마를 기반으로 만들어져야 합니다. 누구나 언제든지, 쉽고 투명하게 데이터를 가져다 쓸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