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Maps 409

결혼 지도 매쉬업

말그대로 결혼에 관한 지도 매쉬업입니다. 결혼하는 분들이 결혼식장이나 피로연, 신랑/신부 집, 신혼여행 가는 곳 등을 한꺼번에 정리할 수 있고, 이것들을 친구들에게 알려줄 수 있습니다. 사이트는 Wedding Mapper입니다. 들어가 보시면 왼쪽에 "Explore local wedding areas"라고 결혼식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부분과, 아래와 같이 자신만의 지도를 만들 수 있는 메뉴가 있습니다. 지도를 만들고 공유하는 부분만 알아보겠습니다. 지도를 만들러 들어가면 아래처럼, 기본적인 정보를 먼저 입력해야 합니다. 결혼식장, 피로연장, 호텔, 레스토랑 등을 입력하고 친지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지도를 입력하는 것은 대충 다른 사이트와 비슷합니다. 그래서 설명은 생략하고, 제가 만들어 ..

5,000장의 사진으로 만든 구글어스 이미지

Digital Urban 블로그에서 나온 사진입니다. 원본 사진은 Flickr에서 나온 것 같은데... 태그가 "Maps", "Space" 또는 "Aerial"인 사진만 모았다고 합니다. 이렇게 수집된 총 5,000장의 사진을 10,000 x 6000 pixel 짜리의 사진으로 모자이크를 만들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모자이크를 만드는 프로그램은 여러가지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 EasyMosaic) 모양은 보시면 아시겠지만, 구글어스가 처음 뜰때의 화면입니다. 사진 원본은 Flickr에 들어가면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이 그림을 Digital Urban에서 만든 Image Cutter software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삽입한 그림입니다. 좌측 위에 있는 콘트롤을 사용해서 확대/축소해 ..

구글어스 2008.02.16

WeatherBug - 기상정보 제공사이트(Ready for the weather)

2월 15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날씨관련 사이트에서 구글맵을 이용하고 있다는... 구글 매쉬업에 관한 내용입니다. weatherbug.com라는 날씨 사이트입니다. 그런데, 정말 이상하네요... 구글 애드센스가 여기저기 붙어있습니다. 그러니깐... 기상청같은 국가기관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아니라는 뜻입니다. 어쨌든 이 사이트에 들어가서 어떤 지점을 선택하면(예 : San Francisco) 다음과 같은 예보 화면이 나옵니다. 화살표 있는 곳을 보시면 Change Tracking Station, 즉, 관측소를 바꿀 수 있다는 링크가 있구요, 그걸 누르면 다음과 같이, 관측소가 위치한 지점을 찾을 수 있는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맨 아래에 있는 주석을 보시면, 빨간것은 NWS Stat..

스프레드쉬트로 지도 만들기(Mapping with Google Spreadsheets)

2월 13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어제 올라온 구글어스 아웃리치 사이트 개편에서 잠깐 언급되었던 스프레드쉬트 매퍼(Spreadsheet Mapper) 2.0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 도구는 말그대로 구글 스프레드쉬트에 적당한 내용만 채우면, 복잡한 위치표지(placemarks)를 쉽게 KML로 제작해 주는 도구입니다. 즉, 아래 그림과 같이, 로고, 제목, 사진, 내용 등이 복잡하게 배치되어 있는 위치마크를 만들 때, 템플릿에 적당한 내용을 입력하면 구글어스용 KML 및 구글맵용 KML을 만들 수 있습니다. (템플릿은 총 6가지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아래는 이 도구의 사용법을 알려주는 비디오입니다. 물론 영어입니다만, 그다지 어렵지 않다는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사실... 템플릿으로..

개인지도 둘러보기 기능 추가(Your content on Google Maps)

2월 13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맵(Google Maps)에서 가장 유용한 기능중의 하나라고 생각되는 개인지도(My Maps)에 관한 내용입니다. 작년 4월 처음으로 등장한 개인지도가 지금 현재 4백만개나 제작될 만큼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물론 우리나라에선 그다지 활성화되지 않고 있습니다만) 이러한 개인지도 중에서 최근에 생성되었거나 편집된 지도를 구경해 볼 수 있는 사이트가 열렸습니다. 여기를 누르고 들어가시면 2-3초마다 새로운 지도를 구경하실 수 있습니다. ==== 아래 원문을 읽어보면 캘리포니아만 기름유출사고에 관한 내용이 나옵니다. 작년 11월 중순경이었는데, 샌프랜시스코 유류유출사고를 보시면 그 당시 상황을 아실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그 유출사건의 여파를 ..

스트릿뷰, 12개 도시를 추가로 지원(A dozen more cities in Street View)

2월 12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또다시 스트릿뷰를 지원하는 도시가 늘었다는 소식입니다. 10월 9일에 총 15개의 도시를 지원하게 되었다는 소식에 이어, 이번엔 12개의 도시가 추가되었답니다. 합이 27개나 되네요. 확인해 보시려면 구글맵에 들어가셔서 오른쪽 위에 있는 "StreetView"단추를 누르시면 되는데요, 그나마 귀찮아 하실 분들이 많을 것 같아서(우리나라 소식이 아니니까...ㅠㅠ) 아래에 지원되는 도시를 캡쳐했습니다. 미국지리를 잘 모르기는 해도... 이제 왠만한 도시는 다 지원되는 것 같네요. 제가 처음 들어본 도시도 등장하는 걸로 봐서요. 우리나라에서 스트릿뷰를 서비스하겠다면 20억원이면 제작할 수 있다고 말씀드렸는데, 아직도 나서는 분이 없으시다니... 왕섭섭하네요..

Star Viewer - 구글맵 API를 이용한 별의 탄생 비디오

제가 따로 글을 올리지 않았지만, 구글맵 API에 구글 SKY 영상을 사용할 수 있게 된지가 꽤 되었습니다. 관련 내용은 Offical Google Maps API 블로그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이 구글 Sky 영상을 활용하여 Star Viewer라는 매쉬업이 탄생했습니다. 좌측에는 널리 알려진 성운이나 운하 등의 이름이 배치되어 있고, 이를 클릭하면 해당 천체의 위치로 이동하고, 이와 관련된 유튜브 비디오를 볼 수 있는 매쉬업입니다. 아래는 안드로메다 은하를 클릭했을 때의 모습입니다. 여기에 들어 있는 비디오들은 단순한 확대사진이 아니라, 어떠한 천체(예 : 고양이눈 성운(Cat's Eye Nebular))가 어떠한 원인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게되었는지를 분석해 주는 내용이라서 상당히 볼만 합니다. 이와 ..

발렌타인 데이 - 초콜렛 가게 매쉬업

발렌타인 데이가 며칠 남지 않았습니다. 올해에도 어김없이 수없이 많은 솔로들이 초콜렛을 사고, 가슴을 두근거리며 선물을 하겠죠. 의례적인 선물이 아니라, 정말 마음에 둔 분께 초콜렛을 선물하려면, 아무데나 파는, 아무나 살수 있는 게 아니라, 뭔가 독특한 초콜렛이 필요합니다. 정말 맛있고, 예쁜 초콜렛을 파는 가게가 어디 없을까...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한 초콜렛 지도가 있습니다. 바로 초코맵입니다. 아래 그림이 대문입니다. 초콜렛 전문점을 찾아 볼 수도 있고, 자신이 사는 곳 주변에서 초콜렛 가게를 찾아보거나, 등록할 수도 있도록 되어 있네요. 아래는 "지도(Map)"을 눌렀을 때 나오는 화면입니다. 가운데 윗부분에 도시이름으로 가게를 찾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요, "Seoul"을 검색해보면 놀랍게도..

구찌는 뉴욕을 사랑해(From style makers to mapmakers)

2월 7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찌(Gucci)에서 "구찌는 뉴욕을 사랑해(gucci loves ny)"라는 사이트는 개설하였다는 소식입니다. 아래는 이 사이트를 캡처한 모습인데요, 구찌 사이트라고해서 구찌 샵만 나와 있는 건 아니고, 레스토랑이나 극장 같은 곳도 올려져 있습니다. 그림 아래 왼쪽을 보시면 구찌의 여성복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프리다 지아니니가 좋아하는 곳, 구찌의 CEO인 Mark Lee가 좋아하는 곳의 사진을 볼 수 있고, 일반인이 자신이 좋아하는 곳의 사진과 사연을 올릴 수 있는 코너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본문 아래쯤에 보면 마돈나(Madonna)가 말라위 고아들을 위한 자선행사에 관한 내용도 나옵니다. 톰 크루즈, 제니퍼 로페스, 기네스 펠트로 등 할리우드의 명..

은하수 보신지 얼마나 되셨습니까?

저는 사실 어릴적부터 서울에 살아서 별이 쏟아진다는 느낌을 경험해 본 적이 거의 없습니다. 단 한번, 결혼하자마자 시골에 계셨던 작은 할아버님께 인사드리러 갔을 때, 은하수가 왜 "은이 흐르는 강"이라고 묘사되었는지 처음 알게 되었죠. 지금 서울 등 대도시에 살고 있는 사람은 절대 이러한 은하수를 볼 수 없습니다. 날씨가 아무리 맑아도 밝은 별 몇 개만 보일 뿐입니다. 그나마 시골에 가면 은하수를 감상하실 수 있지만, 그나마도 우리나라에선 참된 은하수의 모습은 볼 수 없습니다. (계속 읽어보시면 그 이유를 아실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위키백과의 은하수 항목에서 옮겨온 그림입니다. 미국 데쓰밸리(Death Valley)에서 360도 파노라마로 찍은 사진이라는군요.(눌러보시면 큰 그림이 나옵니다) 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