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WWW2009. 8. 24. 16:06
트위터(http://twitter.com)는 140자짜리 단문 메시지를 올리고 공유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세계적으로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많은 화제를 불러오고 있습니다.

이 트위터가 공식 블로그를 통하여, 사용자들의 글에 위치정보 코드를 넣고 트위터 메인 사이트와 외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해당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뉴스투데이의 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현재도 위치 또는 지도와 트위터를 연결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건 아닙니다. 예를 들어 twittervision는 지도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트윗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어플은 기본적으로 트위터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를 사용하여 표시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사용자 프로파일에 저장된 위치는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고, 실시간으로 변경되지도 않으며, 아예 설정되지 않는 경우도 있는 등, 활용성이 많이 떨어집니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Twittory와 같이 별도의 short URL을 덧붙여주는 방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래는 아이팟터치에서 확인한 모습인데, 일반 트위터 어플에서 보면 맨 끝부분에 URL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이런 방식이 크게 문제는 없지만, 다른 어플에서는 호환이 안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제는 아예 트위터 자체 플랫폼에서, 그것도 모든 메시지(트윗)별로 위치를 제공해 주겠다는 뜻입니다. Twittory와 같이 메시지마다 좌표가 부여되지만, 안그래도 짧은 140자를 잘라먹는 것도 아니고, 모든 어플에서 동일하게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유용하리라고 생각됩니다.

구체적으로는 " A new API will allow developers to add latitude and longitude to any tweet", 즉 모든 메시지(트윗)에 경위도 정보를 추가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사용자가 on/off 가능할 것이고, 일정 기간동안만 위치가 저장될 것이라는 내용도 있네요.

예를 들어... 이 서비스가 제공된다면 현재와 같이 사람을 팔로우(follow)하는 것 외에 어떤 지역을 팔로우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자기 고향이나 현재 사는 곳, 그리고 직장 근처... 등을 팔로우하면, 그 동네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실시간으로 전해 지겠죠. 우리 동네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그것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될 겁니다.

또 다른 예로 모든 정보에 위치정보가 자동으로 추가되는 건 상당한 의미를 갖습니다. 누가 버스를 타고 가다가 길이 막이면, 그냥 "길이 엄청 막히네" 라고 쓰기만 하면 되는 겁니다. 강남 사거리가 막히는지 논현동 사거리가 막히는 지 쓸 필요가 없죠. 위치가 자동 전송되니까요. 만약 정말 많은 사람들이 이런 글을 올린다면, 이 런 정보만을 이용해 실시간 내비게이션이 가능해질지도 모르겠네요. 머... 땅이 흔들리는 것 같다... 라고 올라온 포스트를 모아보면 지진 발생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을 지도 모르구요.

사실 이 정도는 누구나 상상할 수 있는 정도이고, 또 트위터 공식 블로그에서 일차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아이디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현재 트위터가 이렇게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거의 모든 것을 바꿀 수 있는 API를 제공하는 개방성이 그 바탕인 것 처럼, 이 새로운 위치 정보가 추가되었을 때, 이를 이용해서 어떠한 새로운 정보를 추출하고 가공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 낼 수 있을지.... 저로서는 상상이 안됩니다만, 정말 재미있는 어플이 많을 것 같습니다.

이제는 참여와 공유 그리고 개방이라는 개념의 Web 2.0 시대는 물 건너 갔다고 하고, 실시간, 위치, 모바일을 기반으로한 Web 3.0의 시대가 올 것이라고 주장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웹 3.0이라는 말을 싫어합니다만, 적어도 모바일을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든 웹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이야말로 현재 변화의 화두인 것 만은 틀림없는 것 같습니다.

트위터는 실시간 어플리케이션의 유용함을 증명했고, 이를 바탕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당분간은 성장하겠죠. 그런데, 실시간에다 "위치"를 덧붙이겠다는 것이 이번 계획의 핵심이고, 이것이 얼마나 많은 새로운 응용을 가져올지... 1년뒤, 3년 뒤 우리 세계가 얼마나 많이 변할지... 정말 많이 기대가 되네요~~

민, 푸른하늘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공간정보/측량2009. 2. 12. 08:32
야후에서 운영하는 세계최고의 사진공유사이트인 플리커(flickr)에 위치태그가 붙은 사진이 1억장을 돌파하였다고 합니다.

Flickr Developer Blog의 글
을 보시면, 지난 주말(2월 4일) 기준으로 총 100,868,302 장의 사진에 위치태그가 붙었다고 합니다. 이중에서 약 2/3는 공개된 사진이라고 하고요.

지난 11월초에 Flickr에 올려진 사진이 총 30억장이라고 하니, 약 3%의 사진에 위치태그가 달린 셈입니다. (via The Map Room)

아래는 flickr 지도 사이트에서 우리나라 지역을 확인해 본 모습입니다. 빨간 점이 있는 곳이 사진인데, 그다지 많지 않은 것 같네요... 우리나라 사람들이 flickr를 잘 몰라서인지... 아님 위치태그를 잘 몰라서인지... ㅠㅠ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런데, 좀 이상하네요... 제주도 지역을 인터넷익스플로러로 접속하니 266장이 있다고 나오는데, 파이어폭스로 접속하니 14,000개나 있다고 나오고... 만약 파이어폭스로 접속했을 때 나오는 숫자가 맞다면 우리나라 지역에는 위치태그가 붙은 사진이 20만장 이상이 있는 것 같습니다.

====
참고로, 위치태그란, 간단히 사진을 촬영한 지점의 위치를 기록해주는 태그로서, 사진촬영시 GPS로 위치를 기록할 수도 있고, 플리커나 피카사 같은 사진 공유사이트에 사진을 등록하면서 위치를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제가 오래전에 쓴 비디오를 구글어스에 올리는 방법도 참고하세요.

사실, 위치태그가 붙은 사진으로 더 유명한 곳은 구글이 합병한 파노라미오입니다. 그런데, 파노라미오 지도 사이트에서 전세계를 대상으로 확인해 보니, 약 1360만장의 사진이 등록되어 있다고 나옵니다. 작년 5월 파노라미오 기념파티란 글에서는 500만장의 사진이 등록되었다고 했는데, 그동안 엄청나게 증가했네요. 그러나... 파노라미오가 아무리 유명해도 플리커에는 쨉도 되지 않는다는...

아래는 서울 인근을 파노라미오 지도사이트에서 찾아본 모습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참고로, 파노라미오 사진이 많은 지역이라는 글을 읽어보시면, 우리나라 지역에서 어느 지역이 위치태그가 많은 지역인지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당연히 서울지역에 사진이 가장 많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추가 : 플리커에 등록된 사진이 30억장이라... 엄청나다... 고 생각하고, 혹시 면적으로 따지면 어느정도 될까... 궁금해 져서 계산을 해봤습니다.

물론, 디지털 사진이니까, 면적을 계산한다는 건 의미가 없는 일이지만,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인화하는 크기인 4"x6" 를 기준으로 산출해 봤습니다.

사진 1장의 면적 : 4*2.54 * 6*2.54 = 약 150 cm*cm
30억장의 면적 : 150 * 3,000,000,000 = 450,000,000,000 cm*cm
                      = 45,000,000 m*m = 45 km*km

결국, 30억장의 사진을 4"x6" 로 출력하여, 땅바닥에 모두 늘어 놓으면 45 평방킬로정도 뿐이 안됩니다. 서울시의 면적이 600 평방킬로미터니까, 서울시의 1/10도 안되네요. 여기를 읽어 보시면, 서초구의 면적이 47.16㎢ 이라고하니, 서초구 면적정도 되는 모양입니다.

엄청나게 많은 줄 알았더니... 엄청나게 실망스럽네요~~ ㅎㅎㅎ

민, 푸른하늘
2008/05/20 - 파노라미오 기념 파티(Panoramio gathering in London)
2008/10/27 - 구글 파노라미오 사진이 많은 지역
2008/11/26 - 아이폰으로 사진찍는 즉시 구글어스에 올라간다면?
2008/11/27 - GPS 카메라, 대중화될 수 있을까?
2008/12/25 - 구글어스에 GPS 여행 레이어 추가(Even more GPS trails in Google Earth)
2009/01/11 - 구글 블로거(Blogger)에 위치태그를 달수 있습니다(Geotagging blog posts)
2008/01/02 - 정말 쉬운 사진에 위치태그 붙이기
2008/01/17 - 자동 위치태그가 붙는 무선랜 디지털카메라?
2008/01/27 - 구글어스의 유튜브 및 파노라미오 레이어 업데이트
2008/01/27 - 비디오를 구글어스에 올리는 방법
2008/05/15 - 회화 작품과 지도를 결합한 매쉬업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구글어스/구글맵2009. 1. 11. 20:36
1월 7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에서 운영하는 블로거(Blogger)에 위치태그(geotag)를 붙일 수 있게 되었다는 내용입니다.

현재의 블로거(http://www.blogspot.com)에 접속해서는 볼 수 없고요, 새로 테스트중인 버전으로 보이는 http://draft.blogger.com/으로 접속하셔야 이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마침 예전에 사용하던 블로그가 아직도 살아있어서, 직접 테스트해봤습니다. 아래는 글을 쓰면서 에디터 하단에 있는 "위치 : add location"링크를 클릭한 뒤, 우리 집 주소를 입력해 본 모습입니다. 역시 위치는 잘 찾아줍니다. 제가 테스트로 써본 글은 여기 읽어보시면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위치태그를 입력하면, 그 결과가 링크에 추가된다고 하고, 이를 누르면 구글맵으로 연결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두어번 연습해 봤는데, 잘 안되네요.

그리고... 이와함께 위치태그를 달아둔 포스트를 지도로 볼 수 있는 가젯도 추가되었습니다. 제 포스트는 어차피 링크가 잘 안된 것 같으니... Blogger in draft blog의 글의 오른쪽을 보시면 아래처럼 생긴 Blog Map 가젯이 있습니다. 이 지도에 있는 위치표지를 클릭하면 원래 위치태그를 달아둔 포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가 구글 지도 파트너데이에서 발표를 했을 때, 제 바로 앞에 발표하신 분께서 TNF에서 텍스트큐브에 구글맵 위치태그를 삽입하는 기술에 대해 발표를 해주셨는데... 빨리 현실화 되었으면 좋겠다 싶습니다.

아울러, 다음주에는 발표된다고 하는 다음의 새로운 지도서비스에는 블로그와 지도를 연결하는 기능이 포함된다고 들었는데, 꼭... 잘되었으면 좋겠네요. 사실, 저야 거의 기술쪽만 다루기 때문에 블로그에 위치태그를 넣어야 할 필요성이 별로 없지만, 맛집 소개하는 분들이나, 여행 다니는 분들께는 정말 유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민, 푸른하늘

====
http://google-latlong.blogspot.com/2009/01/geotagging-blog-posts.html
Wednesday, January 7, 2009 at 10:40 AM
LatLong 블로그에 소속된 저로서는 자연스럽게 지도와 블로그를 모두 좋아합니다. 최근, 블로거(Blogger) 팀에서 지도와 블로그를 결합한 기능을 출범시켰습니다. 바로 블로그 글에 위치태그(geotag)가 가능하게 된 것입니다.

블로거로 글을 작성하다보면, 에디터 하단에 "add location"이라는 옵션이 생겼을 겁니다. 정확한 위치를 안다면, 주소, 도시이름, 우편번호(zip code)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방금 다녀온 산 정상에 대해 글을 쓰는데, 정확한 위치를 모르시겠다면, 지도나 위성영상을 띄워 놓고 위치를 지정하셔도 됩니다. (역주소찾기(reverse geocoding)되어, 지명을 알려드립니다.) 이 위치태그는 발행한 포스트 하단에 링크로서 나타나며, 이를 클릭하면 구글맵으로 연결됩니다. 또한 그 위치는 블로그의 RSS와 Atom 피드에도 GeoRSS를 사용하여 포함됩니다.

위치태그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Blogger in draft blog를 읽어보세요.
====
구글 LatLong 블로그 목록 : http://heomin61.tistory.com/6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공간정보/측량2008. 11. 29. 17:04
GPS 카메라란, 디지털 카메라에 GPS가 결합된 것을 말합니다.

GPS 카메라는 기본적으로 사진을 촬영하는 순간, GPS 위성을 이용해 좌표를 계산하고, 이 좌표를 디지털카메라의 영상에 Exif 정보로 담는 카메라입니다.

이렇게 사진에 위치정보가 기록되면, 구글 파노라미오(Panoramio)와 같이 사진을 지도와 결합해서 보여주는 사이트에 별도의 작업없이 올릴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합니다. 피카사나 플리커 등에서도 지원을 해줍니다.

현재 대중화된 편은 아니지만, 의외로 상용제품도 꽤 있습니다. 제가 예전에 올린 정말 쉬운 위치태그라는 글에도 하나 소개해 드렸고, GE에서 GPS카메라를 판매한다는 소식도 올렸었습니다.

이렇게 아예 카메라에 GPS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아래 그림처럼 카메라의 핫슈에 부착할 수 있는 악세서리도 꽤 있는 편입니다.

GPS 카메라

====
하지만, 현재 나온 GPS 카메라는 문제가 몇가지 있습니다. 첫번째는 전원을 많이 소모한다는 것입니다. 제가 잘은 모르지만, 예전에 쓴 글에 댓글을 올려주신 분에 따르면, MTK계열은 42mA, SiRF 3 계열은 220mA를 사용한다는데, 어쨌든 무척 많이 소모하는 편이라는 건 확실합니다.

제 옛날 핸드폰에 GPS기능이 있어 이걸로 내비게이션 대용으로 사용하곤 했는데, 대충 2-3시간 정도면 전원이 바닥으로 내려갔던 기억이 있습니다.

두번쨰는 초기 좌표계산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그러니까 전원을 넣고나서 GPS가 좌표를 계산할 때까지 몇초 이상 소요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요즘은 이를 해결한 GPS 칩이 있다고 들었습니다만, 어쨌든 카메라를 켜고 완전히 작동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도 짜증스러운데 GPS 때문에 몇초 더 기다리라고 하면 포기할 사람들이 많겠죠.

사실 이 문제는 전원문제와 관계가 있습니다. 카메라 전원을 끄더라도 GPS 전원을 계속 켜두면 좌표를 계속 계산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를 켜자마자 사진을 찍어도 됩니다만, 전원문제 때문에 GPS를 함께 끌 수 밖에 없는 것이죠.

GPS 칩 - Airwave 1
그런데, 이 문제를 해결한 GPS 칩이 나왔다고 합니다. 제가 오래전 전원을 1/100만 소모하는 GPS 칩 등장이라는 글을 올렸었는데, 이 AirWave 1이라는 칩(오른쪽 그림)이 정말 상용화된 모양입니다. 여기에 들어가 보시면 최근까지 3번의 상을 수상했다는 내용도 있으니까요.

이 GPS칩의 특징에 대해서는 이 PDF 파일을 읽어보시면 되는데, 간단히 중요한 부분만 나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Near-zero Time-to-First-Fix (TTFF)
초기 좌표계산시간이 0에 가깝다. Always-On™ 기술 (즉, 항상 켜져 있되 전력소모가 거의 없는 기술)을 적용했기 때문이다.
Continuous location reporting :
언제 어디서든 좌표가 계산된다. 건물내에서도 좌표가 계산된다.
Ultra-low power tracking: only 1mA :
초절전. 소비전력 1mA

제가 직접 테스트해볼 수 있는 입장이 아니지만, GPS 카메라나 핸드폰 제조업자 등은 정말 관심을 가질만 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GPS 카메라가 활성화되려면, 제 생각에 한가지 다른 기술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아이폰용 짝퉁 구글어스 Earthscape처럼 사진을 촬영하고 원하는 사이트를 지정하면, 그쪽으로 사진을 전송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카메라에 휴대폰용 통신기능이야 넣을 수 없겠지만, 무선랜 기능(Eye-fi 참조)이라도 탑재한다면... 아무튼 아주 간단한 조작만으로 플리커든 파노라미오든... 사진을 직접 올릴 수만 있다면 아주 편리하겠다... 싶습니다.

민, 푸른하늘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공간정보/측량2008. 3. 3. 13:04
물론 카메라까지 만든다고 생각하신 분은 안계시겠죠? 그런 뜻으로 생각하신 분은 재빨리 Backspace 키를 누르시길~~ ㅎㅎ

Nikon의 D200(DSLR)에 장착할 수 있는 GPS 수신기를 자작하였다는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원본 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via The Map Room)

아래 그림에서 보시는 것처럼, 플래쉬 꼽는 곳에 장착을 하고, 10 pin connector에 연결을 한 후, 스위치만 올리면 사진이 찍을 때마다 사진의 Exif 정보에 위치태그(Geotag)가 자동으로 붙게 됩니다.

혹시 위치태그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제가 예전에 쓴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되는 부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를 눌러보면 RadioShack.com으로 연결되는데요, 지금 현재의 가격을 정리해 두었습니다.
  1. 4.7 Kohm 저항기 (x 2)    : $0.99 (1 팩에 5개)
  2. 10  Kohm 저항기           : $0.99 (1 팩에 5개)
  3. 2.2 Kohm 저항기           : $0.99 (1 팩에 5개)
  4. NPN 트랜지스터            : $2.59 (1 팩에 15개)
  5. IC PC 보드                : $2.49 (2개)
  6. SPST Micromini 스위치   $2.99  
  7. 3×2x1″ Project 박스    $2,29
  8. USGloblSat EM-406A GPS        $59.95
  9. Remote Cord for Nikon D200 - find a cheap (<$10) one on eBay
  10. Small cable ties
  11. Velcro with a sticky mount
  12. Epoxy stick
아래에 있는 것들은 제가 정확한 내용을 몰라서 그냥 두었습니다만, 그다비 비싼 건 아니라고 생각되고요, 가격이 표시된 것을 모두 합치면 $73 정도되네요. 다른 것 모두 합쳐도 10만원 이내겠죠?

머... 제작하는 것도 그다지 복잡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설계도는 없지만 그림대로 결선만 하면 될 것 같습니다.

대충 저항기, 스위치, 트랜지스터를 아래 그림처럼 IC PC 보드에 연결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래그림은 최종적으로 GPS를 연결하고, 박스에 넣은 모습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저는 Nikon도 없고, 자작을 끊은지도 한 10년 되어가기 때문에 직접 해볼 생각은 없지만, 관심있는 분들은 원문에 들어가서 잘 읽고 (본인의 책임하에^^) 해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글 쓴 분은 한 1년전에 제작을 해서 사용하고 있는 모양입니다.

어쨌든... GPS 모듈까지 따로 구입해서 자작할 수 있는 환경은 정말 부럽네요.

민, 푸른하늘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공간정보/측량2008. 2. 3. 00:32
1월 31일부터 2월 2일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사진영상기자재전 (PMA 2008)이 열렸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니콘이나, 캐논, 펜탁스, 삼성 테크윈 등에서도 많은 신모델을 내놓아 관심을 끌고 있지만, 저는 GE(General Electric)에서 디지털카메라 사업부(General Imaging)를 신설하고, 신모델 디지털 카메라를 발표했다는 기사가 훨씬 관심을 끌었습니다. 아시다시피 GE는 130년전 에디슨이 창립한 회사로, 카메라와는 거리가 먼 회사이기 때문입니다.

여기를 들어가 보시면 GE에서 생산하고 있는 모델이 열거되어 있습니다. A,G,E,X 등 4가지 라인에 총 15 종의 카메라가 있는데, 이번 PMA 2008에서는 9개의 신모델을 내놓았습니다.

그중에서도 눈길을 끈 것은 E1050 이라는 모델이었습니다. The Map Room 블로그의 포스트에 따르면이 모델이 GPS를 탑재하고 있다고 했기 때문이었습니다. 물론 터치스크린 방식의 3” LCD 스크린, 10메가 픽셀, 광학줌 5x, 얼굴/웃음/눈깜박임 감지 기능, HDTV 출력기능이나, 별도의 소프트웨어가 없어도 카메라 내부에서 파노라마 사진을 합성해 주는 기능도 마음에 들었지만요.

ge의 디지털 카메라 E1050

하지만, E1050 사이트에 들어가 보시면 아시겠지만, 어디에도 GPS에 대한 언급은 없습니다. Tech Specs을 읽어보면 겨우 GPS accessary가 옵션이라는 말만 있을 뿐,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없을 정도입니다.

그런데, Engadget의 기사에서 그 실마리를 찾았습니다. 이 모델에는 뉴질랜드의 Rakon이라는 회사에서 개발한 GPS 전파 기록장치(?)를 붙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Geotate라는 이 기술은 일반적인 GPS기술과는 달리, 서버를 통해 좌표를 계산한다고 합니다. 아래는 그 내용을 번역한 것입니다.
작동방식은 다음과 같다. 카메라 셔터를 누를 때마다, GPS 전파 자료를 짧게 기록하여 사진에 연결한다. 이렇게 촬영된 사진을 Geotate의 프로그램에 불러들이면, 서버로부터 보조적인 위치자료를 다운로드 받고, 사진에 저장된 자료와 합성하여 자신의 컴퓨터에서 실제 좌표를 계산한다. 또한, Geotate 소프트웨어는 위키피디아나 지도/사진공유 서비스와 연결하여 사진이 촬영된 지점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플리커(Flickr), 피카사(Picasa)등에 업로드 할 수 있다.
GPS로 좌표를 계산하는 방식을 아시는 분이라면, 이러한 기술이 그다지 어렵지 않다는 것을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지금까지 측량용 정밀 GPS의 경우에만 이러한 후처리(Post Processing)방식을 사용하였을 뿐, C/A 방식의 일반 좌표 계산은 모두 실시간으로 좌표를 계산하는 것 뿐이라서 아주 참신한 아이디어라고 생각되었습니다.

특히, 이러한 방식을 채택한다면, 제가 전원을 1/100 만 소모하는 GPS 칩 등장! 에서 말씀드린 전원문제도 해결가능합니다. GPS칩이 전원을 많이 소모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좌표계산을 하는 알고리듬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인데, 이것을 생략하면 전원소모가 많지 않을테니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이 기술은 모든 카메라에 금방 적용되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위에 있는 사진처럼 단순히 플래쉬 핫슈에 꼽는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하드웨어적으로 GPS 전파자료를 사진정보에 넣어주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모르죠... 전원을 1/100만 사용하는 GPS 칩이 나온다면 이런 기술 자체가 필요없게 될테구요.

아무튼... 최근들어 사진에 위치태그를 쉽게 붙일 수 있는 방법이 많이 개발되는 것을 보니 기대가 만빵입니다. 다음번 카메라를 교체할 때는 어떠한 방식이든 위치태그를 지원하는 카메라를 살 수 있을 것 같네요. :-)

민, 푸른하늘
(via All Points Blog)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구글어스2008. 1. 27. 15:19
방금 전에 구글어스의 유튜브 및 파노라미오 레이어 업데이트라는 글을 올리다보니, 유튜브나 파노라미오에 위치태그를 붙이는 방법을 설명드리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진이나 비디오에 위치태그(geotag)를 붙이면, 찍은 곳을 확인할 수 있어서 아주 편리합니다. 예를 들어 등산을 가서 멋진 풍경을 찍은 후, 친구들에게 이곳이 어디쯤이다... 라고 설명할 필요가 없이 직접 지도위에 나타난 아이콘만 클릭하면 사진과 비디오를 공유할 수 있죠.

특히, 파노라미오와 유튜브는 구글어스와 연동되어 있어서, 파노라미오나 유튜브에 위치태그를 붙이고 사진이나 비디오를 올리면, 즉시 해당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고, 며칠 이내로 구글어스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먼저 몇가지 용어설명부터 하겠습니다. 위치태깅(geotagging)이란 사진이나 비디오에, 촬영한 위치 정보를 넣어주는 것을 말합니다. 위치태그(geotag)이란 이처럼 위치(좌표)를 넣어주는 태그(tag)를 말하고요.

사진을 디카로 촬영하면 촬영시간, 카메라설정정보 등의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정보가 들어갑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이 Exif 정보에 사진을 촬영한 좌표를 넣을 수 있습니다. 이것이 위치태그입니다.

글을 쓰다보니 길어지기도 하고, 파노라미오(Panoramio)사이트가 연결도 안되어, 이 글에서는 유튜브로 비디오를 올리는 방법과, 올라간 비디오를 구글어스에서 확인하는 방법만 쓰도록 하겠습니다.

유튜브에 비디오 올리기

유튜브(YouTube)에 비디오를 올리며 위치태그를 붙이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영문사이트도 있지만, 얼마전 오픈한 한글사이트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먼저 http://kr.youtube.com에 접속합니다. (계정이 없다면 먼저 가입을 하셔야 하겠죠.) 로그인을 하게 되면 화면 맨위에 아래 그림처럼 "계정"이라고 있습니다. 이곳을 누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의 계정에 들어가면 여러가지 정보가 나타나는데, 아래 그림 처럼 좌측 중앙부분에 "동영상 관리"가 있고, 그 아래에 "동영상, 즐겨찾기 & 재생목록"가 있습니다. 이를 누르고 들어갑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에는 이제까지 자신이 올린 비디오 목록을 보실 수 있습니다. 비디오를 처음 올린다면 오른쪽이 공백으로 나타나겠죠. 아래 그림처럼 "동영상 올리기"를 클릭하고 들어가시면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제 본격적으로 유튜브 영상을 올릴 차례입니다. "동영상 올리기"를 클릭하고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제목과 설명, 동영상 카테고리, 태그 등을 채워줍니다.

유튜브(YouTube)에 위치태그 붙이기

공개설정옵션, 공유옵션 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위치태그(geotag)를 붙일 수 있는 "날짜와 지도 옵션"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영문판을 사용하면 미국부터 나타납니다.)

유튜브(YouTube)에 위치태그 붙이기

여기에서, 지도를 확대 축소해 가면서 사진을 촬영한 위치로 빨간 표지를 옮겨주시면 됩니다. 아래 그림에서 빨간 동그라미쳐진 곳을 누르면 인공위성영상이 나타나니까, 이를 참고로 위치를 정해주시면 됩니다. 바로 윗부분에 경위도 좌표가 자동으로 갱신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유튜브(YouTube)에 위치태그 붙이기

마지막으로 제일 아래쪽으로 내려가서 "동영상 올리기" 단추를 눌러줍니다. 아래 그림같은 화면이 나타나는데, "Browse" 단추를 눌러서 동영상을 선택하고, 마지막으로 아래쪽에 있는 "동영상 올리기" 단추만 눌러주면 됩니다. 어떤 동영상이라도 대부분 알아서 처리하므로 신경을 안써도 되니까 무척 편리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올린 비디오를 구글어스에서 확인하기

유튜브에 올린 비디오는 유튜브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도 있고, 주소만 알려주거나 임베드(embed) 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위치태그(geotag)를 붙인 비디오는 구글어스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올린 뒤 바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고, 2-3일 이내에 올라오게 됩니다.

구글어스가 PC에 깔려있지 않다면 다운로드를 받으셔야 합니다. 구글어스를 실행하면 우리나라가 중심에 뜨는데, 사진을 올릴 때 지정한 위치로 확대해 들어가면 유튜브 아이콘이 나타납니다. 아이콘이 안 보이실 경우에는 좌측 아래에 있는 "단계별 항목(Layers)"에서 "갤러리(Galleries)"를 펼치고 맨 아래에 있는 "Youtube"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아래 그림은 제가 우리 집 위치에 삽입한 비디오입니다.


이걸 누르시기만 하면 자신의 비디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떻습니까? 쉬우세요? 아직 어려우신가요? 어렵게 느껴지시더라도 직접 한번 해 보시면 그다지 까다롭지 않다는 것을 아시게 될 겁니다.

민, 푸른하늘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공간정보/측량2008. 1. 2. 00:38
사진에 위치태그(geotag)를 붙이면, 구글어스 등에서 사진을 찍은 곳을 확인할 수 있어서 아주 편리합니다. 예를 들어 등산을 가서 멋진 풍경을 찍은 후, 친구들에게 이곳이 어디쯤이다... 라고 설명할 필요가 없이 직접 지도위에 나타난 아이콘만 클릭하면 사진을 공유할 수 있죠.

위치태그를 활용한 사이트로는 구글어스와 연동되고 있는 파노라미오(Panoramio)가 가장 유명하지만, 플리커(flickr), 구글의 피카사(picasa) 등도 모두 위치태그를 지원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트라이블과 같은 전문 매쉬업 사이트에도 위치태그를 붙인 사진을 직접 올릴 수 있습니다.

다음 그림은 파노라미오에서 Seoul을 입력하여 검색한 결과입니다. 사진을 구글맵에서 볼 수 있는 건 기본이고, 좌측 중간쯤 있는 구글어스 아이콘을 누르면 구글어스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사진에 위치태그를 붙이는 방법은 크게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위의 그림처럼 지도를 보면서 자신이 사진을 찍은 위치를 기억해 직접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사진을 드래그해서 해당 위치에 올리면 되지만, 지도를 찾기도 귀찮을 뿐 더러, 처음 가보는 곳이라면 위치를 파악한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죠.

두번째는 GPS 사진기로 사진을 찍는 방법입니다. 그냥 사진을 찍기만 하면 사진에 위치태그가 자동으로 기록됩니다. 세가지 방법중 가장 편리합니다만, GPS 사진기는 아직까지 대중화되어 있지 않고 우리나라에선 구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더군다나 GPS가 전기를 많이 소모하기 때문에 자주 충전을 해야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Ricoh 사의 GPS 사진기 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지막으로는 별도의 GPS 수신장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마젤란 등에서 제작하고 있는 전문 휴대용 GPS를 함께 가지고 다니면서 사진을 찍고, 나중에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사진에 위치태그를 붙이게 됩니다. 현재로서는 이런 방식이 제일 일반적입니만, 이런 전문 장비를 사용할 경우, 가격도 부담스러울 뿐 아니라, 약간 거추장스럽고, 특히 위치태그를 붙이는 과정이 조금 복잡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몇 단계씩 거쳐야 사진에 위치태그를 붙일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마젤란에서 제작한 eXplorist 210이라는 전용 GPS 장비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전문 GPS 전문장비외에, 위치태그만 붙일 수 있도록 설계된 간단한 장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예전에 소니의 GPS-CS1KA라는 장치를 소개시켜드렸었는데(공식 사이트 참조), 이 작은 장치(36x86 mm)를 가방같은 곳에 매달고 다니면서 사진을 찍은 후, 이 장치를 컴퓨터에 연결하고 사진을 불러들이면 위치태그가 붙게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런데, 이번엔 이 장비보다 훨씬 쉽게 위치태그를 붙일 수 있는 장치가 나왔습니다. 바로 ATP-PhotoFinder라는 장비입니다. (여기를 누르면 리뷰를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방법은 소니 GPS-CS1과 거의 비슷합니다. 맨 처음에 이 장치와 디지털사진기의 시간 정보를 일치시킨 후 달고다니면 됩니다. 사진에 고리가 보이시죠? 가방이든 허리춤이든 아무데나 달면됩니다. 소니 장비보다 편리한 점은 사진촬영을 완료한 후, 메모리카드을 이 장치에 직접 꼽으면 위치태그가 첨부된다는 점입니다. 사진엔 보이지 않지만, 하단부에 SD 카드를 꽂을 수 있는 슬롯이 있습니다. 결국, PC가 없어도 위치태그를 붙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Compact Flash는 꽂을 수 없지만, 메모리 리더기가 있으면 연결시킬 수 있습니다. 위치태그를 붙인 후에는 이 사진들을 피카사나 플리커 같은 사이트에 올리기만 하면됩니다.

이 장치에는 AAA크기의 건전지 2개가 들어가는데, 550시간 분량(23일)의 GPS자료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허거덩... 건전지 2개로 아무리 해봤자 이틀정도 뿐이 사용할 수 없다고 하네요. 즉, 매일 건전지를 교체해야한다는 뜻입니다. 혹시나 싶어 GPS-CS1KA 사이트도 확인해 봤는데, 그것도 10-14시간정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하니... 사용시간은 비슷한 것 같습니다.

그래도... 사진에 위치태그 붙이기가 점점 간편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런 외부장치가 더 발전하게 될지, GPS 카메라가 먼저 대중화될지... 자못 궁금해 집니다. 아니면 전문  GPS 장비에 메모리카드만 꽂으면 GPS 위치태그가 붙는 방식이 개발

민, 푸른하늘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