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어스/구글맵2010. 2. 23. 13:11
며칠전 구글 버즈(Buzz)가 나왔습니다. Buzz의 뜻이 와글거리다 혹은 윙윙거리다... 정도 되니까, 재잘거린다는 Twitter와 비슷한 서비스라고 보실 수 있습니다.

구글 버즈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광파리님의 "구글 버즈는 트위터 킬러가 될 수 있을까?"라는 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지메일(gmail)을 사용하는 분들은 별도로 설정할 필요도, 가입할 필요도 없이 그냥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보는 것처럼 저는 현재 트위터/피카사/유튜브 등 5가지 서비스를 공유중이고, 46분에게 소식을 보내고, 50분의 소식을 받고 있습니다. 


이처럼 구글 지메일에 포함되어 있는 버즈(Buzz)는 그냥 트위터와 비슷해 보입니다. 주로 내가 직,간접적으로 아는 분... 그러니까 주소록에 기록되어 있는 분들과 연결할 수 있으니까... 페이스북(facebook)과 비슷하다고도 할 수 있겠고요.

====
그런데... 구글버즈 모바일(Buzz for mobile)은 성격이 많이 다릅니다. buzz for mobile 사이트에 들어가면 현재는 아이폰과 안드로이드에서만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나오는데, 아래는 제 아이팟터치로 실행시켜본 모습으로, 좌측은 "친구소식"이고 우측은 "주변소식"입니다. 


기본적으로 "친구소식"은 지메일에 들어 있는 버즈와 동일합니다. 즉, 친구소식에 들어 있는 버즈를 지메일에서도 동일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주변소식"은 지메일에 들어 있는 버즈에서는 전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현재위치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폰에서만 지원되는 기능으로 내 현위치 주변에 올라온 버즈를 보여줍니다. 아래 왼쪽은 "주변소식"에서 "버즈지도"를 눌렀을 때의 모습입니다. 제가 지금 있는 곳 주변의 버즈가 보이고, 아무거나 클릭하면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오른쪽은 제가 버즈를 올리는 모습입니다. 이때 제가 쓰는 글 밑으로 현재 설정된 위치가 보입니다. 틀리면 바꿀 수도 있고, 물론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올라간 버즈는 그 위치(Places)에 계속 남아 있게 됩니다. 누군가가 우리 동네에 와서 "대한측량협회"를 찾아보면 제가 올린 버즈 2개를 확인할 수 있겠죠. 

이러한 기능을 생각해 볼 때, 버즈 모바일(Google Buzz for mobile)은 트위터나 페이스북이 아니라, 포스퀘어(foursquare)와 유사한 기능으로 보입니다. 물론 포스퀘어의 체크인(check-in), 메달(medal), 시장(major) 과 같은 게임적인 요소는 없지만, 내가 방문한 곳에 대한 느낌을 올리고 공유한다는 기본 개념에서는 동일하니까요. 아... 포스퀘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에스티마님의 "Foursquare의 새로운 잠재력 발견" 읽어보시길...

====
기본적으로 모바일/위치/실시간은 함께 하는 개념입니다. 특히 모바일에서 위치정보의 중요성은 이야기할 필요가 없겠죠. 현재 어떤 포털에서 검색을 해 봐도 위치에 관한 정보가 정확한 곳은 거의 없습니다. 제 생각엔 기껏해야 30% 정도? 라고 생각하는데, 어쨌든 현실에 존재하는 지역정보, 업소정보가 모두 빠짐없이, 그리고 완벽하게 입력하기는 엄청나게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위치정보를 빠짐없이 입력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정부에서 보유한 자료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특히 세무소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면 무허가 업체를 제외한 모든 업체가 등록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기대하기 힘들겠죠? ㅠㅠ)

빠짐없이 입력이 된 후에도, 그곳에 대한 속성정보나 평판은 결국 사용자의 힘을 빌릴 수 밖에 없습니다. 그 위치에 실제로 가본 사람들이 올린 사진이나 글, 평판이 모여야만 결국 지역정보/업소정보가 완성된다고 볼 수 있겠죠. 아마도 우리나라 포털들도 많이 고민하고 있을 것 같은데, 구글에서는 일단 버즈 모바일을 활용하려는 계획인가 봅니다. 물론... 버즈 모바일이 어느정도 활성화 될지에 따라 결판이 나겠죠~~

민, 푸른하늘
====

Tuesday, February 9, 2010 at 4:07 PM

Posted by Punit Singh Soni, Product Manager, Google Mobile
[Cross-posted with the Google Mobile Blog]

오늘 우리는 구글 지메일(Gmail) 받은 편지함과 통합된 새로운 제품으로 흥미로운 것들을 쉽게 그리고 풍부하게 공유할 수 있는 구글 버즈(Google Buzz)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구글 버즈는 웹 주소, 사진, 비디 오등을 중요한 분들과 공유할 수 있습니다. 그냥 Buzz의 모바일 버전만 만든 것이 아니라, 모바일 기기의 독특한 기능의 하나인 "위치"라는 잇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우리가 돌아다니다보면 여러가지 경험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험을 친구들 혹은 전세계와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는 많지만, 여러분이 어디에서 글을 올리는지 여러분의 독자에게 알리는 건 쉽지 않았습니다. 위치는 여러분이 공유하려는 정보에 매우 중요한 콘텍스트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멋진 식사!"라는 글만 올렸다고 할 때, 그것이 훌륭한 레스토랑을 의미하는지, 가족들과 멋진 저녁을 보낸다는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게 해 주죠. 여러분의 모바일 전화기는 이러한 질문에 쉽게 답해줄 수 있습니다.

Google Buzz for mobile을 사용하면 컴퓨터가 없을 때도 버즈를 올리고 친구들과 연락할 수 있습니다.울러 여러분의 위치를 사용하여 주변에 있는 장소를 인식합니다. 이러한 장소중 하나를 선택하여 여분의 글에 위치태그로 첨부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들의 의견도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는 모바일 폰으로 구글 버즈를 사용하는 방법을 나열한 것입니다.

Buzz.google.com: 이 웹 어플리케이션은 아이폰(iPhone)이나 안드로이드폰(Android)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버즈를 생성하거나 볼 수 있습니다. 두가지 형태의 뷰가 제공됩니다. 첫번째로 "Following" 뷰는 지메일의 구글버즈와 비슷하게 여러분이 팔로우하고 있는 사람들의 버즈를 볼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Nearby" 뷰는 여러분의 위치 주변에 위치가 태그되어 있는 공개버즈를 보실 수 있습니다. 물론 여러분이 팔로우하지 않는 사람들의 글도 보실 수 있습니다. "Nearby" 뷰에서는 인근에 있는 장소 리스트로부터 특정한 장소를 선택하여 그 장소에 올려진 포스트를 보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구글맵(Google Maps for mobile)에서의 버즈(Buzz): 모바일 구글맵에 새롭게 추가된 버즈(Buzz)레이어를 사용하면 여러분 주위의 버즈를 볼 수 있습니다. 이 레이어에서 공개 버즈를 직접 올릴 수도 있으며, 심지어는진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모바일 장소 페이지(Place Page) 을 방문하여 최신의 코멘트를 읽거나 새로운 버즈를 올릴 수도 있습니다. 장소페이지는 웹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위치 태그가 달린 포스트에서 이름을 클릭하면 접근할 수 있습니다. 

* Goolge.com에 Buzz 바로가기: Google.com 홈페이지 위를 보면 버즈아이콘이 있습니다.  이 아이콘을 건드리면 버즈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성 바로가기(Voice Shortcut): 안드로이드 빠른 검색 위젯(quick search widget)과 아이폰 모바일 구글맵 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음성 바로가기(voice shortcut)을 사용하면 타이핑을 치지 않고도 버즈를 남길 수 있습니다. 단순히 "post buzz"라고 말한 뒤 올릴 내용을 연달아 말씀하시면 됩니다.


버즈 포스트에 위치를 추가할 때 우리는 단순한 경위도 좌표나 주소가 아닌 어떤 위치(places)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우리는 위치 정보가 여러분의 팔로워어나 인근 위치의 정보를 찾고자하는 사람들에게 보다 유용하기를 바래고 있었습니다. 버즈 글을 올릴 때 위치를 포함시키고 싶지 않다면, 위치를 쉽게 제거하실 수도 있습니다. 공개 글(public posts)는 누구나 볼 수 있지만, 비밀 글(private posts)는 여러분이 공유하고자 하는 사람만 볼 수 있습니다.

버즈 모바일을 사용하면, 여러분이 가시는 어느곳에서나 위치에 대한 재미있는 대화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바로 곁에서 정말 재미있는 사건이 벌어졌음에도 놓치신 적이 많으셨습니까? 어떤 디저트가 좋은지 몰라서 아무 거나 드신적 있으신가요? 친구로부터 텍스트 메시지를 받았을 때 그친구가 어디있는 건지 궁금하신 적 많으시죠? 이제 버즈를 사용하면 여러분이 잘 아는 공원에서 영화의 밤이 열릴 예정이라는 것을 아실 수 있고, 근처에 정말 황홀한 아이스크림 가게가 있다는 것을 세계에 알릴 수 도 있고, 오늘 집에서 먹은 라자냐가 얼마나 맛있었는지도 알려줄 수 있습니다.

버즈 모바일을 사용하려면 여러분이 가진 모바일폰 웹브라우저에 buzz.google.com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현재는 안드로이드와 아이폰에서만 사용할 수 있지만, 조만간 다른 플랫폼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모바일 구글맵(Google Maps for mobile)은 안드로이드, 윈도 모바일, 심비안, 아이폰 등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도움말 센터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구글어스/구글맵2008. 10. 12. 18:05
안드로이드(Android)기반의 티모바일(T-mobile) G1
10월 8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지난 9월말에 구글 안드로이드(Android) 플랫폼을 사용한 사상 최초의 상용 핸드폰인 티모바일(T-Mobile)의 G1이 발표되었습니다.(참고 : 전자신문)

티모바일의 G1에는 검색, 지도, 지메일(Gmail), 달력(Calendar), 메신저(Google Talk), 유튜브(Youtube) 등의 구글 서비스들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 글은 그중에서도 G1에서 돌아가는 구글맵(Google Maps) 및 스트릿뷰(Street View)를 어떻게하면 잘 활용할 수 있는지에 관해 설명하는 글입니다.

제가 생각할 때 가장 편리한 기능중의 하나는 내위치(My Location)기능입니다. 언제든지 구글맵을 켜면, 자신의 위치를 기준으로 지도가 표시되니까, 훨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울러 검색과 지도, 메신저 등이 완벽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검색결과로부터 바로 전화를 걸거나 메신저로 보낼 수 있고, 주소록에 등록하는 등 아주 재미있는 기능이 많습니다.

일일이 설명하기 보다는 아래의 비디오를 직접 보시는 게 훨씬 나으실 것 같습니다. 원문에 들어 있는 비디오를 Overstream의 자막 기능을 사용해 번역해 보았습니다. (좀 허덥한 번역이니 양해해 주시길)


티모바일의 G1이 미국과 유럽에서만 발매된다고 하니 너무 아쉽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도 구글 캘린더(Calendar), 지메일(Gmail) 등을 사용하고 있는데, 아무런 신경도 쓰지않고 그냥 웹에 연동된다고 하니 너무 좋을 것 같은데 말입니다.

예전, 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Open Handset Alliance)가 출범할 때, 삼성과 LG도 참여한다고 들었는데, 빨리 개발해서 나왔으면 좋겠다... 싶네요. 사실 오즈폰으로 인터넷지도를 사용하다보니 너무 아쉬운 점들이 많거든요. 구글 코리아에서 정식으로 지도서비스를 하고, 안드로이드폰이 나온다면 정말 환상적일 것 같습니다.

민, 푸른하늘

====
http://google-latlong.blogspot.com/2008/10/maps-for-android.html
Wednesday, October 8, 2008 at 2:27 PM

안드로이드 기반의 T-Mobile G1 폰에서 구글맵(Google Maps)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다면 구글 모바일 블로그(Google Mobile Blog)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내비게이션 기능은 어떻게 동작하는지, 지도와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어떻게 통합되는지, 나침반(Compass)모드에 대해서도 아실 수 있습니다.

====
http://googlemobile.blogspot.com/2008/10/google-on-android-maps.html
Tuesday, October 7, 2008 5:55 PM


9월 23일 T-모바일에서는 세계 최초의 구글 안드로이드(Android) 기반 핸드폰인 G1을 발표했습니다. G1은 검색, 지도, 지메일(Gmail), 달력(Calendar), 메신저(Google Talk), 유튜브(Youtube)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사용하기 쉽고 웹과 연동되며 새롭고도 혁신적인 방식으로 서로 통합되어 있습니다. 이는 "안드로이드에서의 구글(Google on Android)"라는 블로그 시리즈중 첫번째 포스트에 설명된 것과 같습니다. 앞으로 몇 주 동안 우리는 안드로이드 상에서 동작되는 구글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하나씩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Marc Vanlerberghe, Product Marketing Director.

우리가 T-Mobile G1을 위한 구글맵(Google Maps)을 설계했을 때, 안드로이드 플랫폼 본연의 시스템 통합 기능 뿐만 아니라, 터치스크린, 가속도계(accelerometer), GPS와 같은 G1의 하드웨어를 충분히 살릴 수 있는 멋진 매핑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기로 했습니다.

안드로이드 기반의 구글맵을 구상할 때 가장 좋았던 점은 새롭고 익숙한 장소들을 탐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손가락을 터치스크린에 대기만 하면 아주 쉽게 지도를 이동/확대/축소할 수 있습니다. 한손은 쓸 수 없을 때 제일 좋은 점이죠. 또한 레스토랑이나 건물을 가까이서 보고 싶을 경우, 스트릿뷰(Street View)로 변경하여 파노라마 사진을 볼 수 있습니다. 심지어 나침반(Compass) 모드를 켰을 때는 핸드폰을 위/아래/좌우로 움직이기만 하면 파노라마사진이 이에 대응하여 움직입니다. 마치 가상의 잠망경을 꺼내들고여 어디든지 여러분의 눈으로 직접 바라보는 것과 유사합니다. 아래에 있는 비디오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트릿뷰는 현재 미국에서만 작동됩니다.

모르는 도시나 다른 동네에 가게 되면, 저는 "내위치(My Location)"기능을 켜놓습니다. 내위치 기능은 GPS나 가장 가까운 기지국 정보를 사용하여 나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며, 끝 부분에 이르르면 화면 중심쪽으로 자동으로 이동시켜줍니다. 뉴욕과 같이 복잡한 도시에서 걷거나 택시를 탈때면 거리 수준으로 확대를 한 후, 최대한 정확도를 올릴 수 있도록 GPS를 켭니다.

또한 도시를 거닐 때는, 가까이 있는 레스토랑같은 업소를 검색할 수 있고, 안드로이드의 내장 지도 기능을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내 연락처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몁 제가 마음에 드는 레스토랑을 찾았다면 그것을 연락처에 저장해 두었다가, 가중에 한번만 건드리면 전화를 걸거나 지도에 띄워볼 수 있습니다. 장래에는 구글맵으로 또다시 검색을 할 때, 추천 검색결과와 더불어 연락처까지 함께 볼 수 있게 될지도 모릅니다.

또한 안드로이드에서는 지도가 이메일, 메신저, 웹과 통합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메일/메신저 등에서는 주소가 일반적인 텍스트로 표시되지만, 안드로이드 상에서는 클릭할 수 있는 범위가 되어, 클릭만하면 바로 지도로 연결됩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구글맵 링크를 이메일/메신저 등으로 보낼 수 있고 웹페이지로 볼 수도 있습니다. 터치를 하면 그 지도를 브라우저에서 볼 것인지 구글맵(Google Maps)로 볼 것인지 혹은 안드로이드 개발자에게 "인텐트(intent)"라고 알려진 방식으로 개발된 또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연결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번 결정을 하고 저장하면, 기본 지도 어플리케이션으로 설정됩니다. (저는 구글맵으로 설정해 두었습니다.)

아마 무엇보다도 좋은 점은 구글맵의 거의 모든 자원, 융통성, 기능이 모두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일 것입니다. Cab4meLocale 는 모두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이용해 지도와 위치를 핵심으로 사용하는 멋진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 안드로이드 개발자 경연대회 우승자(Android Developer Challenge winners)입니다. 개발자라면 누구든지 안드로이드의 맵뷰(MapView)와 위치 API를 사용하여 이와 유사한 위치 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 팀들은 모두 현재까지 나온 안드로이드용 구글맵과 기타 멋진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자부심을 느끼고 있지만, 앞으로 여러 개발자분들이 어떠한 종류의 새로운 지도 및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지에 대해서도 진심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구글 LatLong 블로그 목록 : http://heomin61.tistory.com/6
2007/11/07 - 구글 모바일 플랫폼 Android와 지도서비스
2008/01/21 - [구글맵] - 구글 안드로이드 기반의 GPS 슈팅 게임
2008/06/07 - [LatLong] - 모바일 구글맵 2.2, 대중교통정보 제공
2008/09/18 - [LatLong] - 구글맵 스트릿뷰(Street View)가 핸드폰 속으로
2007/11/30 - [LatLong] - 모바일 구글맵 위치확인서비스 개시
2007/11/16 - [GPS] - 노키아, 보행자 내비게이션 지도 제작
2008/01/27 - [GPS] - 전원을 1/100 만 소모하는 GPS 칩 등장!
2008/06/30 - [전자지도] - 오즈폰(LH2300)으로 인터넷지도 사용해보니~
2008/08/04 - [전자지도] - 우리나라에도 노키아의 보행자 내비게이션이 들어올까?
2008/09/09 - [전자지도] - 핸드폰용 3D 내비게이션 판매개시
2008/09/30 - [구글맵] - 아이폰용 게임 : 온세상에 촛불을 밝히자!
2008/10/11 - [LatLong] - 구글맵의 지역검색 100% 활용법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