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어스/구글맵2009. 6. 25. 13:13
6월 24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어스에서 허리케인에 대한 최신 소식을 볼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최신 허리케인소식은 날씨(Weather) 폴더 속에 "허리케인 시즌 2009" 레이어를 켜시면 볼 수 있습니다만, 한글 상태에서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물론 이 레이어를 구지 켜봤자, 우리나라 인근쪽의 태풍정보는 볼 수 없습니다. 북미쪽에서 발생하는 허리케인 정보만 들어 있으니까요.

아래는 영어로 설정을 바꾼 후 이 폴더를 열어본 모습입니다.


그런데... 원문의 내용과는 달리 현재의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 하나만 덜렁 있을 뿐, 진행 경로도 예상 진행경로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아이콘을 눌러보니... 이 Andres라는 허리케인은 벌써 세력이 약화되어 버린 것 같습니다.

아래는 생각난 김에 우리나라 주변이 구름 상황을 본 모습입니다. 당연히 태풍은 없고... 장마전선이 일본 아래에 형성되어 있네요.


민, 푸른하늘
====
http://google-latlong.blogspot.com/2009/06/keeping-track-of-hurricane-season.html
Wednesday, June 24, 2009 at 11:58 AM

2009년 허리케인 시즌이 시작되었습니다. 열대성 저기압 안드레스가 멕시코 연안을 지나고 있으며, 다른 태풍들도 뒤따를 것입니다. 작년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구글어스(Google Earth)의 "날씨(Weather)" 레이어에 "허리케인시즌 2009(Hurricane Season 2009) 폴더를 만들었습니다.


이 폴더에는 허리케인이 생성 및 진행과정을 볼 수 있는 데이터가 들어 있습니다.이 폴더에는, 미국 허리케인 센터(National Hurricane Center)에서 제공하는 허리케인 경로가 한시간 단위로 갱신되며, 폭풍의 중심 및 진행경로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울러 각 태풍의 예상 위치는 허리케인 모양과 유사한 아이콘으로 표시되며, 아이콘의 크기와 모양은 각각 폭풍의 강도 및 종류를 의미합니다. 폭풍의 현재 위치와 함께 보이는 빨간선은 예상 진행경로 범위입니다. 12시간 내에 허리케인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곳이라는 뜻입니다. 각 아이콘을 클릭하면 풍선 도움말이 나오는데, 폭풍의 개요, 허리케인센터의 공식 조언, 근 실시간 뉴스가젯, 관련 정보 등을 보실 수 있습니다.

Tropical Storm Andres off the coast of Mexico
====
구글 LatLong 블로그 목록 : http://heomin61.tistory.com/6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구글어스/구글맵2008. 9. 8. 12:38
9월 4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얼마전에 구글어스(Google Earth)에 추가된 허리케인 구스타브 레이어 대신, 허리케인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를 담은 "허리케인 2008 시즌" 레이어가 추가되었다는 내용입니다.

이번에 추가된 레이어에는, 그러나 실시간 위성영상이나 웹캠(WebCam) 정보가 빠지고, 허리케인의 현재 위치 및 예측 경로 정도만 들어 있습니다. 과거의 이력도 전혀 없구요.

게다가, 이 레이어는 태평양에서 발생하는 태풍(Typoon), 인도양에서 발생하는 사이클론(Cyclone), 호주지방에서 발생하는 윌리윌리(WiliWili) 등의 정보는 없습니다. 그러니까... 적어도 미주에 살고 있는 사람외에는 별로 유용하지 않습니다.

다음은 구글어스(Google Earth)에서 지금 현재의 허리케인 정보를 띄워 본 모습입니다. 구스타브(Gustav)나 한나(Hanna) 등 다른 허리케인은 모두 사라지고, 아이크(Ike)만 활동중이네요. 어제 잠깐 쿠바 인근에서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고 뉴스에 나왔는데, 현재는 1급 이지만, 또다시 미국 남부지역에선 대책을 세워야 할 것 같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래는 허리케인 정보와 함께 "구름(Clouds)" 및 "레이다(Radar)" 레이어를 함께 띄워본 모습입니다. 하얀색이 구름으로서, 지금 현재 허리케인이 위치한 곳에 대형 열대 저기압성 구름이 형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초록색은 기상 레이더 자료로 쿠바 전역에 비가 내리고 있다는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리나라에서도 기상청 날씨정보에 들어가서 태풍센터를 클릭해 보면 아래와 같이 최근 발생한 태풍에 관한 정보가 나옵니다. 그러나, 이 정보는 기상청에 접속하여야 볼 수 있을 뿐, API 같은 게 제공되지 않아 외부에서는 사용하기가 힘듧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정보는 보다 널리 퍼뜨려 다양한 경로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에서 제작한 정보가 원할하게 유통되지 않는 것 같아 유감스럽습니다.

민, 푸른하늘

====
http://google-latlong.blogspot.com/2008/09/tools-for-tracking-hurricane-season.html
Thursday, September 4, 2008 at 9:50 PM
허리케인 한나(Hanna)가 빠르게 미국 동부해안에 접근하고 있고, 또다른 허리케인 아이크(Ike)가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 확실히 2008년 허리케인시즌에는 대서양, 동부 및 태평양 중부지역까지 요동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폭풍우를 쉽게 추적할 수 있도록, 우리는 구글어스 "날씨(Weather) 폴더에 "허리케인 2008 시즌(Hurricane Season 2008) 폴더를 추가하였습니다.

이 폴더에는 2008년 현재 활동중인 허리케인, 사이클론 등의 열대 태풍까지 폭풍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레이어는 국립 허리케인 센터(National Hurricane Center)에서 제공한 것으로, 태풍의 72시간 예측 위치, 72시간내에 태풍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지역 및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측된 태풍의 위치는 허리케인 모양의 아이콘으로 표시되며, 아이콘의 크기와 형태는 폭풍의 강도 및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위치는 예측된 위치이므로, 태풍이 예측범위도 빨간색 폴리곤으로 표현하였습니다. 태풍이 지정한 시간에 이 폴리곤 안에 위치할 확률이 2/3이라는 뜻입니다. 다른 말로하면, 해당시간에 태풍에 의해 영향받을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라는 뜻입니다.

이 레이어를 보실 때에는 "날씨(Weather)" 폴더에 있는 "구름(Clouds)"와 "레이더(Radar)" 레이어를 함께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구름(Clouds)" 레이어는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1시간마다 갱신되므로, 무작위적으로 생성되는 구름으로부터 태풍을 쉽게 구분해 낼 수 있습니다. "레이더(Radar)"레이어는 141개 국립 기상 서비스(National Weather Service) 및 군에서 운영하는 도플러 기지국에서 생성되는 자료로, 일반 기상정보에서 볼 수 있는 것과 동일한 정보입니다. 이 레이더 정보를 통해, 태풍이 지역의 기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실하게 아실 수 있습니다.


====
구글 LatLong 블로그 목록 : http://heomin61.tistory.com/6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구글어스/구글맵2008. 2. 16. 13:13
사용자 삽입 이미지
2월 15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날씨관련 사이트에서 구글맵을 이용하고 있다는... 구글 매쉬업에 관한 내용입니다.

weatherbug.com라는 날씨 사이트입니다. 그런데, 정말 이상하네요... 구글 애드센스가 여기저기 붙어있습니다.

그러니깐... 기상청같은 국가기관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아니라는 뜻입니다.

어쨌든 이 사이트에 들어가서 어떤 지점을 선택하면(예 : San Francisco) 다음과 같은 예보 화면이 나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화살표 있는 곳을 보시면 Change Tracking Station, 즉, 관측소를 바꿀 수 있다는 링크가 있구요, 그걸 누르면 다음과 같이, 관측소가 위치한 지점을 찾을 수 있는 화면이 나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에서 맨 아래에 있는 주석을 보시면, 빨간것은 NWS Station, 즉, 미국정부에서 운영하는 National Weather Service Station 들이고, 나머지는 WetherBug에서 운영중인 관측소입니다.

기상관측소를 일반인이 운영한다니... 정말 희안하네요. 기상 관측소를 운영해서 돈벌이가 될 수 있을까... 정말 의심스러운데 말입니다. 참고로 여기에 들어가시면 Google 데스크탑용 Weatherbug 가젯이 있습니다.

민, 푸른하늘
====
http://google-latlong.blogspot.com/2008/02/ready-for-weather.html
Friday, February 15, 2008 at 2:29 PM

제가 이번 주말에 산행을 갈 예정이라서, 제가 좋아하는 weatherbug.com에 들어가서 날씨 정보를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이 사는지역의 날씨(혹은 주말에 가고 싶은 곳의 날씨)를 찾아보시면, "change tracking station."이라는 옵션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우리 구글맵 API를 활용하여, 전세계 수천개의 날씨 추적 사이트를 선택할 수 있는 구글맵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들 소형 기상관측소에서는 여러분이 찾고자하는 지역의 실시간 기온, 풍향, 강우량 등의 자료를 여러분의 컴퓨터로 직접 제공해 줍니다.

제가 갈 곳에는 바람과 눈이 있을 것 같습니다. 스노우 체인을 챙기고 눈 속에서 뒹굴 준비를 해야겠네요~~

====
구글 LatLong 블로그 목록 : http://heomin61.tistory.com/6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공간정보/측량2007. 11. 18. 02:10
미우주항공국(NASA)의 지구관측소(Earth Observatory)에서 "지구관측의 시대: 50년을 되돌아보며(An era of earth observations: looking back at 50 years)"라는 제목의 긴 기사(pdf 버전)를 발표했습니다. 맨 첫머리에 써진 글을 옮기면 다음과 같습니다.
1957년 스푸트니크 1호가 발사된 이래, 수천개의 인공위성이 우주로 쏘아올려져 지구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날씨, 기후, 자연재해를 예측할 수 있는 것은 이러한 인공위성 관측자료가 있었기에 가능합니다. 인공위성은 인간이 우리 지구를 관찰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혁신시켰으며, 기본적인 과학적 질문 해결에 도움을 주었고, 사회적 이익을 가져오는 수많은 응용분야를 탄생시켰습니다. 미래의 과학적, 사회적 도전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주로부터 지구를 관측하는 작업이 계속되어야 할 것입니다.
모든 내용을 번역하기에는 시간도 부족하고 부담도 되어, 그냥 이 기사에 나온 내용중에서 인공위성이 우리생활에 얼마나 많은 편익을 가져다 주는지를 간단히 정리해 봤습니다.

우선 인공위성은 지구에 관한 많은 사실을 알게 해주었습니다. 아래사진은 1972년 아폴로 17호가 촬영한 최초의 지구모습으로, 처음엔 사진에 불과했으나, 온도, 공기분포, 육지및 바다의 높이 등 수많은 자료를 수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인공위성을 통한 지구관측으로 얻은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기상 사진 촬영 및 일기 예보 정확성 증가
  • 공해 추적 및 오존 감소현상 발견
  • GPS를 통한 위치측정
  • 기후 변화의 이해 (엘리뇨 현상 등)
  • 농작물 예측
아래 영상은 97년의 엘리뇨 현상때의 태평양 수온을 나타낸 것입니다. 하얀부분과 빨간부분이 평년때보다 온도가 높은 지역을 나타냅니다.
97년

사실 이 이외에도 엄청나게 많은 성과가 있죠. 오늘날과 같은 방송통신 환경도 사실 인공위성이 없었으면 불가능했을 것이고 (제가 알기로 인공위성이 가장 먼저 사용된 분야가 통신입니다.) 인공위성이 없었더라면 제 전공인 측량, GIS 분야도 현재와 많이 달랐을 겁니다.

하여튼.... 올해가 인공위성 발사 50주년이라는 것, 그간 수많은 과학발전을 통해 세계가 엄청나게 변하게 되었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되었습니다.

민, 푸른하늘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구글어스/구글맵2007. 11. 10. 00:54
11월 8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구글어스에 구름, 기상레이더 등의 날씨관련 정보가 정식 레이어로 추가되었다는 소식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번 개편이 정말 마음에 듭니다. 제 예전 블로그에 자주 들르신 분들이라면 8월초에 작성한 아름다운 지구와 실시간 구름영상(Blue Marble)이라는 글을 기억하실지 모르겠는데요, 그때 제가 실시간 구름 영상을 보며 상당히 감탄했던 것을 기억하실 수 있을 것이입니다.

이제 실시간 구름영상이 기본레이어가 되었으니, 별도로 KML을 받지 않아도, TV에서 일기예보시간을 기다릴 필요없이 현재의 기상상태를 알수 있게 된 것입니다. (아래는 블루마블을 띄웠을 때의 영상입니다.)


다만 몇가지 아쉬운 점이라면.... 우선 블루마블에서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지구의 모습을 볼 수 없다는 점,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레이다 영상이 제공안된다는 점입니다. 심지어 한글판에서는 기상현황 및 예보(Conditions and Forcasts) 레이어가 아얘 없다는 점이 좀 그렇네요. 다시 접속해 보니 기상현황 및 예보자료도 나오네요... 정말 쓸만하네요. :-)

참... 그러고 보니... 아직도 우리나라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구름영상과 레이더영상을 KML로 만드실 분... 혹시 없으신가요????

민, 푸른하늘
====
http://google-latlong.blogspot.com/2007/11/hows-weather.html
Thursday, November 8, 2007 at 7:46 AM

옛날, 어떤 현명하신 분이 "내가 항상 맞았던 것은 아니지만, 틀린 적은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이것이 일기예보에 관한 것이라면 아마 그럴 듯하다고 인정하실 것입니다. 여러분께서도 날씨가 맑을 것이라고 해서 소풍을 가려고 계획했는데, 비가 내렸던 날을 기억하시고 계실 것입니다. 얼마전 구글어스 레이어를 개편하였을 때, 엄청나게 많고, 동적인 날씨 자료도 함께 제공하여 여러분이 기상 예보관이 되실 수 있도록 했습니다.

구글어스 최신버전을 돌려보시면 "단계별 항목(layers)" 패널에 새롭게 "날씨(Weather)" 폴더가 등장한 것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날씨(Weather)폴더는 구름(Clouds), 레이다(Radar), 예보(Conditions and Forecasts)등 3개의 하위 레이어 및, 화면에 표시되는 자료에 대한 약간의 배경정보를 알려드리는 정보(information) 레이어로 구성됩니다. 구름(Clouds)레이어는 캘리포니아주 몬터레이시에 있는 해군 연구 실험실(Naval Research Laboratory)에 계신 분들이 매시간 제작하는 전세계 기상위성 영상 모자이크가 표시됩니다. 그들은 전세계 최고의 위성 기상학자들로서, 여러가지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가능한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자료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날씨(Weather)폴더의 "정보(information)"을 크릭하면 현재 표시된 구름 사진이 언제 작성된 것인지 아실 수 있습니다. 자료가 취합되는데 몇 시간 정도 지체가 있다는 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즉, 여러분이 보시는 구름 사진은 아마도 두세 시간 전의 상황이라는 것입니다. 특별히 시각적인 즐거움을 원하신다면 구름을 향하여 좀 더 확대를 해 보세요. 어느 순간 구름이 사라지게 될 것입니다. 그 시점에서 하늘을 쳐다보면 구름의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레이더(Radar)레이어에는 미국에 대한 15분 마다 갱신되는 근 실시간 도플러 레이더(Doppler radar) 영상이 들어 있습니다. 이 데이터는 Weather.com에서 공급되고 있습니다. 가까운 장래에는 푸에토리코, 알라스카, 하와이 및 유럽에 대한 레이더 영상도 제공하게 될 것입니다. 정보(informaiton) 버블에는 현재의 레이더 영상의 촬영시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Weather.com에서는 또한 전 세계 5만개에 달하는 도시들에 대하여 관측자료 및 예보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바로 그것이 "예보(Conditions and Forecasts)" 레이어에 나타는 내용입니다. 전세계 주요 되시들을 돌아다니시다 보면 그 곳의 일기예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극단적인 날씨를 찾을 수 있으시겠습니까? 칠레 남쪽 South Orkney 군도에 있는 Orcadas 기지는 어떨까요? 제가 이글을 쓰고 있을 때, 온도는 화씨 23도, 풍속 26 mph이니까 체감온도 화씨 6도 정도 되겠죠? 하지만, 그곳 기준으로는 여름날씨랍니다! 현재의 기상은 적어도 1시간마다 갱신되며(몇몇 곳은 더 자주 갱신됨), 기상예보는 서너시간마다 한번씩 갱신됩니다.

사실 이번에 개편된 기능중 제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구글어스 레이어 패널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우리는 별도로 최근 24시간의 구름이동 이나, 최근 6시간의 레이더 사진을 애니메이션을 보여주는 KML 네트워크 링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위치(Places) 패널에 들어 있는 임시장소(Temporary Places) 폴더에 새로운 아이템이 나타나게 됩니다. ("구름 애니메이션(Clouds Animation)" 또는 "레이더 애니메이션(Radar Animation)) 먼저 체크박스를 눌러서 애니메이션을 나타나게 하시고, 화면 오른쪽 우측에 생기는 애니메이션 조정기에 달려 있는 "실행(Play)"버튼 (오른쪽 끝에 있는 삼각형)을 누르신 후 데이터가 모두 받아질 때까지 기다려 주세요(지도보다 해상도가 떨어짐에도 받는 시간은 꽤 걸립니다.) 일단 애니메이션을 다 받으시면 (현재의 구름 영상은 꼭 꺼주세요), 구름이 지구를 돌면서 춤추는 아름다운 애니메이션을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제가 지금껏 보았던 다른 어떤 자료보다도, 구름 애니메이션은 구글어스의 다소 인공적이고 가상적인 지구를 살아숨쉬는 지구로 바꾸어주는 정말 훌륭한 자료라고 자부합니다.

우리는 이러한 정말 멋진 자료를 여러분과 함께 공유할 수 있게되어 매우 기쁘며, 앞으로도 더 많은 자료를 제공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미국외에도 레이더 자료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언급하였는데, 전세계 모든 지점에 대한 기상 현황자료도 완벽하게 제공하도록 하겠습니다.

추가: 네트워크 접속이 너무 많아, 현재 레이어에 접속하기 힘드실 수 있습니다. 저희가 계속 작업중이니 잠시후 접속해 주세요!
====
구글 LatLong 블로그 목록 : http://heomin61.tistory.com/6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