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이미지/ComfyUI

ComfyUI 데스크탑 설치방법

하늘이푸른오늘 2025. 4. 25. 00:39

지금까지 사용해 왔던 ComfyUI는 (AUTOMATIC1111 등을 포함) 웹 UI  버전으로서, 모두 로컬에서 돌리기는 하지만 인테페이스는 웹UI를 사용했습니다. 즉, 크롬이나 MS Edge등을 켜지 않으면 실행시킬 수 없었습니다. 웹 UI 버전의 설치방법은 이 글을 참고하세요.

이에 비해 ComfyUI 데스크톱은 일반 소프트웨어처럼 설치할 수 있는 독립형 설치 버전입니다. ComfyUI 데스크톱은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으며, Python 환경을 자동으로 구성해주기 때문에 복잡한 설치과정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기존 ComfyUI 설정, 모델, 워크플로 및 파일을 원클릭으로 가져올 수 있어, 기존 ComfyUI와 함께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무엇보다 ComfyUI 데스크톱은 WebUI 버전에 비해 자원을 덜 소모하고 생성속도도 빠른 장점이 있다고 합니다(아주 약간 빠르기는 합니다).

ComfyUI 데스크톱은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서, 필요하시면 여기에서 전체 코드를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ComfyUI를 실행시키려면 윈도 10 이상과 NVIDIA GPU 가 필요합니다. 맥 버전도 지원하는 모양인데 이 글에서는 윈도 버전만 설명드립니다.

ComfyUI 데스크탑 설치

아래의 주소에서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https://download.comfy.org/windows/nsis/x64

다운로드 받으면 아래와 같은 파일이 생성됩니다. 이것을 더블클릭 하면 설치가 시작됩니다.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시작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다음으로 GPU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직접 구성(maunal configuration)하는 방법도 있고, 아랫쪽에는 GPU없이 CPU만으로 돌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설치 위치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저는 AI 관련 프로그램들을 모아둔 SDD 디스크에 설치하려고 했더니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시스템 드라이브에 설치하라고 하네요. 예를 들면 C:\ComfyUI 라고 지정하면 됩니다(단, 폴더를 미리 만들어 두시지 않으면 나중에 오류가 발생합니다). 총 15GB 이상의 여유공간이 있어야 합니다. 

다음으로 기존에 설치하였을 경우, 그 설치에 설정한 환경을 가져오는 옵션입니다. 웹UI 버전의 ComfyUI가 설치된 위치를 지정하면 됩니다. 그런데, 저는 아무리해도 안되네요. 그래서 그냥 다음 버튼을 눌렀습니다. 설명을 보니 사용자 파일이나 모델을 링크로 지정하고 커스톰노드는 동일한 내용을 새로 설치해주는 모양입니다. 

그다음 설정입니다. 자동 업데이트는 물론 커주시는 것이 좋고 두번째 사용 통계는 원하지 않으시면 끄시면 됩니다. 이제 설치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많은 파일을 다운로드 받게됩니다. 

설치가 완려되면 아래와 같이 ComfyUI 화면이 나타납니다.

만약 설치하다가 잘 안되시면 여기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에러 메시지나 대처 방법 등을 찾아보실 수 있을 겁니다.

웹UI 버전과 동기화

저는 설치하다가 위쪽 "기존 설치에서 마이그레이션"에서 오류가 발생해서 기존에 설치했던 모델을 함께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출력 파일 위치도 다른 곳으로 바꿀 수 없고요. 그래서 심볼릭 링크를 만들어 해결해야 했습니다.

우선 ComfyUI 데스크탑이 설치된 위치에 들어가, models 폴더를 삭제하거나 다른 이름으로 바꿔줍니다.

다음으로 명령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여 위의 폴더로 들어갑니다. 그 다음 아래와 같은 명령을 입력합니다. 여기에서 H:\... 는 제가 설치한 폴더이니 자신의 폴더 구조에 맞게 수정하시면 됩니다.

mklink /d models H:\ComfyUI_windows_portable\ComfyUI\models

이제 dir 명령으로 확인해보면 심볼릭 링크가 만들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런 방식으로 워크플로 저장 위치 변경이미지 저장 폴더도 바꿔주었습니다.

실행시간 비교

데스크탑 버전이 얼마나 빠른지 확인해 보기 위해 동일한 워크플로를 사용하여 데스크탑 버전과 웹UI 버전의 실행시간을 비교해 봤습니다. 아래는 비교에 사용한 (제가 자주 사용하는) 워크플로입니다.

Flux1-dev-simple.json
0.01MB

실행시간은 ComfyUI 로그를 사용해 확인했습니다. 아래는 ComfyUI데스크탑 버전의 실행화면인데, 처음 실행때는 74.55초, 두번째 실행될 때는 47.19초 정도 소요되었습니다.

아래는 WebUI 버전의 ComfyUI 실행 결과입니다. 처음 실행때는 76.22초, 두번째 실행 때는 52.13초 정도 소요되었습니다. 그러니까... 일단 데스크탑 버전이 빠른 건 확실하네요. 그렇다고 체감할 정도는 아니고요.

이상입니다.

이 글은 Comfy.org의 문서를 참고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