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1904

버추얼어스 영상및 3차원 도시 추가

2월 27일 소식이니 좀 늦었네요. 어쨌든 버추얼어스(Virtual Earth)에 버드아이뷰(Bird's Eye View) 영상 및 3D 도시가 추가되었다는 소식입니다. 미국에서 버드아이뷰 영상이 추가된 도시는 워싱턴DC, 솔트레이크 시티 등 총 34개 도시이고, 유럽은 영국 런던 등 4개도시, 프랑스 11개도시, 이탈리아 21개도시 등... 약 70개 도시입니다. 3D 건물이 추가된 도시는 프랑스, 영국 각 1개도시, 미국 19개도시구요. 기타 미국의 도로지도가 Navteq 최신지도로 교체되었고, 인도와 중국의 경우 항공사진이 대량 추가되었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Virtual Earth / Live Maps 블로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이번에 추가된 미국 워싱턴 DC의 링컨기념관(Linc..

구글어스의 초고해상도 동물 사진 모음

제 블로그에 구글어스에 들어있는 코끼리 사진을 많이 등장시켰습니다. 가장 최근이 구글어스에 포함된 영상의 종류란 글로 초고해상도 사진의 예로 올렸었습니다. 예전 블로그엔 구글맵이 한층 확대됩니다라는 글에 포함되어 있었구요. 엊그제 구글어스에 대해 정리를 할게 좀 있어서 뒤적뒤적거리다가, 이왕이면 이런 사진들을 모두 모아보면 어떨까... 싶어져 모두 모아봤습니다. 직접 보시고 싶으면 아래 파일을 실행시켜 보시면 됩니다. 참, 이 파일에는 동물뿐만 아니라, 사람들도 들어있습니다. :-) 코끼리는 많이 보셨을테니, 다른 동물들을 소개시켜드리는 게 좋을 것 같네요. 우선 소들과 경비행기 그림자입니다. 위 파일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사진은 이런 경비행기로 촬영한 사진들입니다. 다음은 두루미입니다. 그림자까지 정말 ..

구글어스 2008.03.02

구글어스 해시계 모음

Google Earth 블로그를 통하여, 얼마전 구글어스에 나타난 공룡 콜렉션을 만든 분이 전세계의 해시계의 위치표지를 모으고 있다는 소식을 접했습니다. 직접 보고 싶으시면 여기(KML)를 누르시면 됩니다. 현재까지 100여군데가 수집되어 있네요. 그러나 아쉽게도 우리나라에는 한군데도 없네요. 일본에도 없고, 중국에는 홍콩에 단 하나가 있군요. 아래는 유럽지역의 해시계 위치를 보인 것입니다. 아래는 영국 런던 인근에 있는 그리니치 천문대 공원에 있는 해시계입니다. 감상하실 때는 단계별 항목(Layers) -> 에 들어있는 파노라미오도 함께 켜보시면 좋습니다. 대부분 이런 곳에는 많은 사람들이 사진을 찍어 올리니까요. 마지막으로... 정말 예쁜 해시계 그림 하나 더 추가합니다. 위치는 52.04260288..

구글어스 2008.03.01

데이빗 럼지 고지도를 세컨드라이프에서 보기(Out of this world maps)

2월 29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어스에서도 볼 수 있었던 데이빗 럼지(David Rumsey)씨의 고지도 콜렉션을 세컨드라이프에서도 볼 수 있게 되었다는 내용입니다. 먼저, 데이빗럼지의 고지도는 이미지도서관에서 보실 수 있으며, 이미지도서관 제작에 관한 이야기는 여기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구글어스에서는 단계별항목(Layers) -> 갤러리(Galleries) -> Rumsey Historical Maps 에 들어가셔서 원하는 지도를 선택하시면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지도는 World Globe(1790)와, Asia(1710)이 있는데, 아래는 World Globe를 선택하고 우리나라 부근을 캡쳐한 것입니다. 세컨드라이프에서 이 지도를 보시려면, 세컨드라이프에 들어가신 후, ..

스케치업 스케치 스타일 공모(Show us your style)

2월 29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스케치업의 애드온이라고 할 수 있는 Style Builder이 새로 나온 것을 기념하여 경연대회를 개최한다는 내용입니다. 스케치업은 구글어스에 들어있는 3차원 빌딩 모델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입니다. 물론 3차원 빌딩 뿐만 아니라, 어떠한 가구, 자동차, 기계 등 모든 종류의 3차원 모델을 제작할 수 있죠. 그런데, 스케치업이 아주 간단하게 3차원 모델을 만들 수 있기는 하지만, 손으로 스케치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정확한 치수와 모양을 지켜야 하죠. 즉, 자신만의 예술적인 감각을 표현하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이번에 나온 Style Builder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보입니다. 즉, 선을 직선으로 표현하지 않고, 다..

안경을 통한 지역정보 수신 서비스 2012년 상용화?

올림푸스(Olympus)에서 일본 주오(中央)대학교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무선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 display)를 통해 지역정보를 제공해주는 시험에 들어간다고 합니다. 이 서비스는 시험자의 위치와 취향에 따라, 현재 위치한 지점 주변에 있는 상점의 정보, 기타 그 지역의 역사 등 여러가지 정보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Eye-Treck 은 아래 그림과 같이 안경 형태인데, GPS와 모션센서(가속도 센서)가 장착되어 있으며, 무선을 통해 현재의 위치 정보를 서버로 보내면, 서버에서 관련 정보를 보내준다고 합니다. 테스트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테스트를 통하여 시험실에서는 사용자들이 이동지시에 따라 목적지로 향하는 동안 HMD로부터 전해지는 현재의 위치에 관한 정보..

MS Worldwide Telescope - TED 비디오

어제 소개시켜드린 MS Worldwide Telescope 공식사이트 오픈 소식에 이어, WorldWide Telescope의 데모 비디오가 나왔습니다. 이 비디오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몬터레이시에서 열리고 있는 TED(Technology, Entertainment and Design)에서, 하버드대학교 천체물리학자인 Roy Gould가 발표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길이는 7분가량입니다. 저는 끝까지 봤는데 결론적으로 별로 쇼킹한 내용은 없습니다. Google Earth Blog에서 요약한 바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의 WorldWide Telescope의 기능으로 1) 우주를 경험할 수 있다(lets you experience the universe), 2) 우주를 여행할 수 있다(let's you t..

다음 신지식의 RSS 서비스를 사용해 봤습니다

며칠전, 다음 신지식 서비스가 트랙백(Trackback)으로 답변할 수 있도록 서비스 개편이 이루어졌고, 이를 테스트하던 저는 RSS 서비스가 이루어지면 더 좋겠다는 취지의 포스팅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어제, 다음 신지식 서비스 담당자인 까우님으로부터 RSS 서비스가 개시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테스트를 해보게 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려서, 상당히 편하고 재미있었습니다. 이번에 개편된 서비스를 간단히 요약하면, 관심있는 카테고리나 키워드, 또는 사용자별로 새로 올라오는 질문이나 답변이 RSS로 배달되는 서비스입니다. 이제 신지식 홈페이지에 주기적으로 방문을 해서 어떤 질문이나 답이 올라오는지 확인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저는 현재, "구글어스", "위성사진", "위성영상" 등의 키..

기타/WWW 2008.02.28

MS WorldWide Telescope 공식사이트 오픈

며칠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구글 SKY와 유사한 서비스를 할 예정이라고 소개시켜드렸는데, 드디어 공식사이트가 오픈되었습니다. 사이트는 http://wwtelescope.com/입니다. 다만 저번 글에서는 2월 27일에 발표될 예정이라고 말씀드렸었는데, 서비스가 시작된 게 아니라 약간의 소개글과 비디오 두편만 올라와 있습니다. 소개글을 번역해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월드와이드 텔레스코프(WWT, Worldwide Telescope)는 가상적인 망원경으로서 작동하는 풍부한 표현 환경을 가지고 있어, 전세계의 지상 망원경 및 우주 망원경을 모두 통합하여 우주를 연속적으로 탐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고성능 시각경험엔진(Visual Experience Engine™)을 기반으로 개발된 월드와이드..

환경단체여러분, 개인지도를 사용해보세요(Come together)

2월 26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환경보호 등의 비영리단체들에게 개인지도(My Maps)를 활용하도록 권유하는 내용입니다. (요즘 아웃리치 관련 내용이 무척 많네요) 구글에서는 비영리기관들을 위해서 아웃리치(Outreach)프로그램을 통하여, 지도제작에 관한 컨설팅, 구글어스 프로(Google Earth Pro)의 무료 지원 등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구글어스 아웃리치 쇼케이스에서 보는 것처럼 KML 등을 활용하여 멋진 지도를 공유하고 있는 단체도 있지만, 지도를 사용해보지 않은 사람들로서 새롭게 지도를 만드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아직도 많은 단체에서는 지도를 활용하기 힘들어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비영리기관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싶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