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Light'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09.01.06 아이폰용 버추얼어스/포토신스 뷰어
  2. 2008.03.20 무한 확대가 가능한 지도 - Silverlight (12)
씨드래곤(Seadragon) 로고
약간 지난 소식이긴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에서 12월 13일에 아이폰용 SeaDragon Mobile을 발표했습니다.

아이팟터치를 가지고 계신 분들은 여기를 누르면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SeaDragon을 간단하게 말하면 엄청나게 큰 영상도 아주 부드럽게 확대/축소/이동시킬 수 있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가 예전에 써둔 무한확대가 가능한 지도 - SilverLingt 를 읽어보시면 약간 더 상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는데, , 현재 실버라이트외에도 마이크로소프트 서피스(Surface), 포토신스(Photosynth) 등에 적용되어 있습니다.

아이폰용 SeaDragon을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이 로고화면이 잠깐 보인 후, 메뉴가 보입니다. 메뉴에 있는 것들은 모두 엄청난 크기의 그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여기에 버추얼어스 지도와 포토신스 사진을 볼 수 있는 기능도 들어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단 그림을 먼저 보여드리겠습니다. 아래 왼쪽은 메뉴 맨 위에 있는 "Running the Numbers"이고, 오른쪽은 "Library of Congress Set", 즉 미국 의회도서관에 보관된 고지도입니다. GIF 애니메이션으로는 확대해 들어가면서 서서히 드러나는 진실?을 보는 느낌을 전해드릴 수 없어 유감입니다만, 그래도... 정말 멋지다는 건 느낄 수 있으실 겁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음은 지도입니다. 세계마이크로소프트가 자랑하는 버추얼어스(Virtual Earth)가 항공사진/하이브리드/도로지도 모드로 각각 들어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른쪽 그림은 하이브리드 모드 지도를 사용해서 세계지도에서 이탈리아 로마(Rome, Italy)의 콜로세움까지 확대해가는 모습입니다.  참고로, Italy 뒤에 있는 초록색 아이콘을 클릭해 보시면 구글맵이 나타납니다. 이 기능은 다음에 설명드리겠습니다.

그런데, 사실 이정도면 구글맵을 사용해도 어차피 모든 영상이 있기 때문에 그다지 특출나다고 할 건 별로 없습니다. 다만, 직접 사용을 해 보면 아주아주 부드럽게 확대되기 때문에, 네모난 타일이 다운로드되는 게 보이는 구글맵과 완전히 다른 느낌이 납니다.

버추얼어스(Virtual Earth)를 서비스하려면, 정말 대단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3차원 및 버드아이뷰(Bird's Eye View)가 들어가 있어야 할텐데, 그냥 2차원 지도만 들어있어 유감스럽습니다. 머... 원래 씨드래곤(SeaDragon)기술 자체가 2차원 영상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니까요.

마지막으로 보여드릴 것은 포토신스(PhotoSynth)입니다.

포토신스 메뉴를 누르고 들어가면 최근에 올라온 포토신스 영상들이 나타납니다. 대충 모든 사진들이 비슷하기 때문에, 포토신스가 정식서비스를 시작했을 때 제가 만들어본 영상을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메인화면에서 "거실"로 검색을 하면 3개가 나오는데, 그중 제일 아래에 있는 것이 제가 올린 것입니다.

맨 처음엔 목록이 뜨고, 삼각형모양의 Play 버튼을 누르면 가로로 일렬로 배열된 뒤, 한장씩 슬라이드 형식으로 보여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런데... 보다시피 이건 그냥 사진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보여주는 것일 뿐, 포토신스의 본래 기능, 즉 인접한 사진을 서로 연결시켜서 3차원으로 보는 기능은 전혀 없습니다. 좀... 많이 섭섭하다는...

====
전체적으로 볼 때, 아이폰용 SeaDragon은 이미지 뷰어로는 정말 멋진 것 같다는 느낌입니다. 특히 제가 소개드리지는 않았지만, 메인 메뉴에 보면 행성사진, 지구사진, 예술적 사진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이것들을 가지고 놀면 시간가는 줄 모를 것 같습니다.

그러나, 지도라는 관점에서 봤을 때는 그냥 평범한 수준에 불과합니다. 아이폰에 기본 탑재되어 있는 구글맵(Google Maps)의 여러가지 기능도 없고, 아이폰용 구글어스(Google Earth for iPhone)에 들어 있는 3차원 기능도 없으니... 그저 없는 것보다는 나은 정도... 포토신스(PhotoSynth)쪽도 여러번 들러 놀고 싶은 색각은 안날 것 같네요.

마지막으로... 아이팟터치가 없어 직접 해보실 수 없다는 분들은 아래 비디오를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제가 계속 부드럽게 동작된다고 강조했는데, 이해가 되실 겁니다.


민, 푸른하늘
2008/03/16 - 구글어스와 포토신스를 합친다면?
2008/03/16 - 무한 확대가 가능한 지도 - Silverlight
2008/04/11 - MS 버추얼어스, 대폭 업그레이드!!
2008/07/25 - MS, 3D 모델링 소프트웨어 무료제공
2008/08/05 - MS의 구형체 디스플레이 스피어(Sphere) 시연모습
2008/08/14 - MS 서피스(Surface), 미국 쉐라톤 호텔에 첫선
2008/08/25 - 3차원 사진 재구성 프로그램 - 포토신스(PhotoSynth) 정식 서비스 개시
2008/10/27 - 아이폰용 구글어스 발매개시(Google Earth now available for iPhone)
2008/11/02 - 우주를 3차원으로 둘러보자 - MS WWT 업그레이드
2008/11/09 - MS 포토신스 사진을 편하게 보는 방법
2008/11/17 -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의 3D 도시 비교
2008/12/29 - 구글어스/버추얼어스 소식 모음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가 블로그를 쓰기 시작할 무렵부터 마이크로소프트의 실버라이트(Silverlight) 기술에 대해 귀동냥은 했습니다만, 사실 정확한 내용을 몰라 포스팅은 삼가하고 있었습니다.

실버라이트 기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서명덕기자님의 글인, 은광, 상상한 것을 그대로 웹에 구현하는 시대라는 글과, MS 실버라이트로 엿보는 새로운 기술들을 읽어보시라고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실버라이트 홈페이지도 구경해보실만 합니다.

실버라이트의 기술은 정말 아주 대단하고, 아주 화려해서 미래의 웹을 바꿔놓을 것 같다... 싶습니다만, 저는 지도쟁이다보니, SeaDragon 기술이 실버라이트에 포함되었다는 사실에 대해 아주 주목하고 있습니다.

SeaDragon도 설명하려면 한참이지만... 간단히 말하면 엄청나게 큰 이미지를 아주 부드럽게 확대, 축소, 이동시킬 수 있는 기능입니다. 작년도 TED에서 처음 발표되어 엄청난 관심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아래가 그 영상입니다. 9분짜리 영상이지만, 정말 볼만하니 안보셨다면 꼭 보시기 바랍니다.

2:30쯤 보면, SeaDragon으로 미국지도를 핸들링하는 장면이 나오구요, 바로 그 다음부터 포토신스(PhotoSynth) 기술이 소개됩니다. 포토신스를 처음 들어보셨다면 경복궁 포토신스를 한번 구경해 보시구요.


====
실버라이트 2.0에 포함된 Seadragon 기술은 Deep Zoom 이라고 합니다. Deep Zoom을 제가 "무한 확대"라고 번역을 했는데, 거의 무한한 크기의 영상(최대 : 4십억 * 4십억)을 정말 부드럽게 확대 축소할 수 있습니다.

어쨌든, GIS in XML이라는 블로그에 들어가 보시면, 미지질측량국(USGS)에서 제작한 12000*12000 픽셀 정사영상(해상도 25cm)를 Deep Zoom 기술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직접 경험해 보시려면 덴버지역 데모사이트를 들어가 보시면 됩니다.

아래는 제가 캡처한 화면입니다. 먼저, 처음 뜰 때의 화면입니다. 가운데 보이시는 것이 쿠어스필드(Coors Field)라는 야구장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좀더 가까이 접근해 보겠습니다. 뭐... 실제로 해보시면 정말 부드럽게 확대됩니다만, 어쨌든 이 정도까지 확대하는 거야 문제 없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런데, 좀 더 접근해 볼까요... 홈플레이트 근처를 확대해 보면 다음과 같은 아이콘 비슷한 게 나타납니다. (GIS in XML에서는 이스터에그(Easter Egg)라고 표현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에서 하얀 것을 확대해 들어가 보면... 아래처럼 선수별 기록이 나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또, 홈플레이트 근처에 있는 까만 것을 확대해 보면... 아래처럼 상세한 선수 이력카드가 나오고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것이 가능한 것은, Deep Zoom Composer라는 툴(?)을 사용하면, 어떠한 영상이던지 피라미드 구조상의 어떤 곳이든 삽입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일단... 이부분은 나중에 따로 설명드려야겠네요..

어쨌든, 지금까지 읽어보시고 직접 한번 해 보고 싶다고 생각되시면, 여기를 클릭해 보시기 바랍니다. 실버라이트 2.0을 설치하라고 나오기는 하지만, 정말 강력한 경험이 되실테니 꼭 해보시길...

참고로, 위에서 엄청난 크기의 영상(40억 * 40억)을 처리할 수 있다고 했는데, 이를 지도에 사용할 경우, 최대 어느정도의 해상도까지 지원되는지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간단히... 지구 둘레를 4만km 라고 잡으면, 40,000,000 m / 4,000,000,000, 즉, 1mm 크기까지 지원할 수 있게 되네요.

현재 구글어스에서 제공하는 최고 해상도가 약 1-5cm 미터라고 쳐도, 그 100배 이상의 영상을 하나의 파일처럼 처리할 수 있다는 거니까... 정말 대단하다 싶습니다. 단, ShapeGIS에 따르면, 커스토마이징이 쉽지 않고, tiling sheme이 hardcord 되어있다고 하니, 개발이 쉽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도 이 실버라이트 2.0의 Deep Zoom 기능을 사용하여 테스트해 보신 분이 계십니다. 난나야님의 글을 보시면 데모 영상을 보실 수 있고, 소스코드도 첨부되어 있습니다.

좋은 기술들이 많이 나오고 있네요... 정말 기대됩니다.

민, 푸른하늘 (출처 : Slashgeo)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