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어스2008. 2. 19. 12:11
TechCrunch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2월 27일 "WorldWide Telescope"라는 구글 SKY와 비슷한 PC용 소프트웨어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아래는 그 글중 일부를 번역한 내용입니다.
이 서비스는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는 방식이 될 것이며, 당분간은 윈도에서만 돌아갈 것입니다.

사용자들은 밤하늘을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구경할 수 있고, 데이터가 존재하는 한 무한정 확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허블 망원경 뿐 만 아니라, 지상에 있는 천체망원경의 자료도 10대 정도 탑재될 것이며, 광학영상/자외선/적외선, 기타 다른 종류의 영상을 바꾸어 가면서 보는 기능이 들어 있을 것입니다.

이상의 내용을 보았을 때, 구글 스카이(Sky)와 비슷할 것이라는 건 틀림없는 것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글 SKY에서 본 안드로메다 은하

또한, 마이크로소프트의 프로젝트에 Curtis Wong과 Jonathan Fay란 분이 합류해 있는데, 이들이 수행했던 과거의 프로그램을 보았을 때, 2월 27일날 발표되지 않더라도 가까운 시일내로 이러한 소프트웨어가 나올 것은 분명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 "WorldWide Telescope"는, Digital Urban Blog에 따르면 구글 Sky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 구글 스카이에 들어 있는 자료보다 훨씬 더 많은 자료가 들어갈 것임
  • 유저인터페이스가 훨씬 좋아질 것임
유저인터페이스 부분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PhotoSynth 관련 기술이 들어갈 것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사실이라면... 정말 환상적인 인터페이스가 선보일 것 같네요. (PhotoSynth에 관해서는 제 예전 블로그의 글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와 구글(Google)의 경쟁은 정말 끝도 없는 것 같습니다. 어느 한편이 앞서가면 상대방은 금방 새로운 기술을 선보이고요.

하지만, 적어도 구글어스와 같은 지도 관련 서비스에 관한 한 마이크로소프트는 항상 후발주자입니다. 기능은 앞서면서도 주목을 못받고 있죠. (이 글을 읽어보세요)

이번 "우주 경쟁"에선 마이크로소프트 WorldWide Telescope가 구글 SKY를 이길 수 있을까요? 제 생각엔 부정적입니다만, 그래도 한번 지켜봐야겟죠~~ :-)

민, 푸른하늘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구글어스/구글맵2007. 11. 15. 23:24
11월 14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오랜만에 구글 스카이에 대한 내용이네요.

기본적으로 천문학 수업에서 스카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아울러 구글 스카이를 훨씬 더 잘 활용할 수 있고,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관련 사이트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특히 HeyWhat'sThat 사이트가 재미있는 것 같습니다. 여러분이 계시는 곳을 입력하면 지금 현재 또는 원하는 시간의 하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은 제가 글을 쓰고 있는 11시 19분 현재 우리집 위치(126.94167E, 37.4675N)에서의 북쪽하늘 모습입니다. 초록색선은 각도를 나타내구요, 아랫쪽으로 보이는 굵은 선은 우리 동네에서 보이는 하늘과 땅이 마주닿은 높이를 나타냅니다. (물론 지형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타 재미있는 내용도 많지만, 저는 하늘보다는 땅에 관심이 많은지라 이만 줄입니다.

민, 푸른하늘
====
http://google-latlong.blogspot.com/2007/11/sky-in-classroom.html
Wednesday, November 14, 2007 at 6:09 PM

구글 제품은 다양한 교과목에서 유용하지만, 오늘 저는 제가 가장 좋아하는 고등학교 과목인 천문학에서 얼마나 유용할 수 있는지를 말하고 싶습니다.

제가 천문학을 배우던 때에는 선생님들이 아주 큰 성좌도를 교실로 가져와서 별들을 가리키며 별에 얽힌 멋진 이야기를 들려주시곤 했습니다. 저는 더 깊은 하늘까지 보고, 더 많이 알고 싶었지만, 일년에 한번 있는 천문대 견학을 기다려야 했죠. 이제 구글 스카이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교실을 떠나지 않고서도 훨씬 더 많은 일이 가능해졌습니다. 구글어스를 열고 "Sky"버튼만 누르면 여러분 머리 위에 있는 바로 그하늘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천문학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팁입니다.

- 특별한 천체를 보고 싶다면 검색창에 입력만 하세요.(예: "Betelgeuse") 그 별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단계별 항목(layers)" 패널에서 "뒷마당의 천문학(backyard astronomy)"를 켜두고 알고 싶은 별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 엄청난 별의 폭발 현상을 보고 싶다면 "게성운(crab nebula)"을 입력하세요. 순식간에 6,300 광년을 날아갈 것입니다. 아이콘을 누르면 더 많은 정보가 나오고요. "단계별 항목(layers)"를 사용해 다른 "허블 쇼케이스" 사진을 탐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 하늘을 가로지르는 행성을 탐색하려면 "단계별 항목(layer)"패널에서 "천체(planets)"레이어를 더블 클릭하시고, 화면 우상단에 나타나는 시간 조절기(time slider)에서 시작버튼을 누르세요. 달이나 화성등 행성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클릭만 하시면 됩니다.

- 구글어스에서 여러분이 지금 있는 곳의 오늘밤 하늘이 어떤지 보고 싶다면 HeyWhat'sThat 사이트를 방문하세요.

- 태양계를 떠돌아다니는 행성이나 소행성, 별의 폭발, 감마선의 신비한 빛 등 밤하늘에는 언제나 새로운 것들이 있습니다. voeventnet.org를 방문하시면 구글 스카이를 사용해 오늘 밤 하늘에서 무슨일이 있는지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 또한 특별한 투어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단계별 항목(layer)"패널에서 "은하 사용자 안내서(User's guide to galaxies)"나 "별의 일생(Life of a Star)" 투어를 누르시고, 상세히 알고 싶은 별이나 은하계 아이콘을 클릭해 보세요. 구글어스와 똑같은 방법으로 자신만의 Sky 투어를 제작해서 친구들이나 학생들과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훌륭한 투토리얼을 읽어보세요.

덛붙여, exoplanets.org에서 생성한 새로운 레이어를 사용하면 행성들에 대해 더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이곳에서는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외계 행성을 보유한 별을 보실 수 있습니다. 구글어스 갤러리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도 있고요.

It's our hope that Sky will help educate kids around the world on the wonders of space. We encourage you to share your feedback with us in the Sky forum.

우리는 스카이를 사용하여 어린이들이 우주의 신비를 배우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스카이 포럼(Sky forum)에서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
====
구글 LatLong 블로그 목록 : http://heomin61.tistory.com/6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