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07.12.28 통계자료를 KML로 (6)
  2. 2007.12.27 통계청 의사결정지원시스템 - 통계내비게이터 분석
공간정보/측량2007. 12. 28. 16:12
어제 통계청 의사결정지원시스템 - 통계내비게이터 분석이라는 글을 올렸는데, 이와 관련된 글이 있어 포스팅합니다.

네덜란드 통계청(Statistics Netherlands)에서 주택지구(neighborhood)에 관한 통계자료를 KML로 만들어 배포했다는 내용입니다. 영어 버전네덜란드어 버전 두가지가 있습니다. (via Google Earth Blog)

처음엔 아무것도 보이지 않지만, 확대해서 들어가면 주택지구 경계가 보이고, 그 내부에 있는 위치표지(placemarks)를 누르면 통계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통계청의 집계구가 대략 500명을 기준으로 한다고 했는데, 네덜란드 통계청의 주택지구는 1만명이 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번 통계청에서 공개한 자료가 얼마나 대단한지 다시 한번 느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단 이런 식으로 KML로 공포되면, 활용성이 매우 높습니다. KML이 원래 Google에서 사용하는 포맷이긴 하지만, 현재 OGC에서 표준으로 논의중이며, 구지 KML이 싫다면 GeoRSS 등의 형태 아니면 그냥 Shape파일로 공개해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누군가는 변환해서 올리면 되니까요.

통계청에서도 통계자료를 보기 위해 자신의 사이트로 들어오라고만 할 것이 아니라, 이런 식으로 모든 사람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배포했으면 좋겠습니다. 고급정보는 판매를 하고, 기본자료만 공개하는 것도 괜찮겠고요.

====
통계항목을 자세히 들여다보니 재미있는게 많네요. 우리나라 통계청이 내놓은 자료와 간략히 비교해 보죠.

네덜란드 인구항목은 총인구/성별인구/외국계비율/인구밀도 정도가 있고, 연령별인구는 5개단계로만 나눠져 있습니다. 통계청의 인구항목은 이 이외에도 노령화지수,  총부양비, 노년부양비, 유년부양비, 교육정도별인구, 종교별 인구 등 다양한 항목이 있습니다.

네덜란드 가구구성항목은 단독세대주, 부부만 있는경우, 아이가 있는 경우 등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통계청의 세대구성별 가구에는 1세대가구, 2세대가구, 3세대가구, 4세대 이상가구, 18세 미만 포함가구, 65세 이상 포함가구, 비혈연가구, 1인 가구 등 다양한 항목이 있습니다.

기타 통계청에는 가구, 주택, 사업체 등의 주제로 여러가지 통계자료가 있지만, 네덜란드 통계청자료에는 상세한 자료가 없는 반면, 취업률, 평균수입, 주택 평균가격 등의 항목이 들어 있습니다.

===
일단, 제가 네덜란드 통계청을 직접 조사한 건 아니기 때문에 또 다른 자료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KML로 나타난 것만 봐서는 우리나라 통계청에서 공표한 자료가 매우 자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실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어떠한 시장 분석 등을 수행하려면 오히려 네덜란드 통계청에서 제공한 자료가 훨씬 좋을 것 같습니다. 적어도 이동네가 잘 사는 동네인지 아닌지는 알아야 무슨 장사를 할 것인지 분석이 가능할테니까요.

일단 우리나라도 공시지가 자료도 있고, 부동산 거래에 관한 자료도 있고... 월급이나 수입에 관한 통계도 만들려고 하면 충분히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벌써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자료는 대부분 프라이버시라는 명분하에 공개되지 않고 있고, 공개되더라도 구하기가 매우 힘들며, 아울러 통계청에서 사용하는 집계구 등과 같은 수집기준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통합 분석하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사실 제 생각에 500명단위의 통계라면 그다지 프라이버시와는 관계가 없을 것 같습니다. 물론 혹자는 지역간의 차이를 극명하게 드러냄으로써 국민의 화합을 해친다... 고 말할 수는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문제를 덮어둔다고 하여, 자료를 공개하지 않는다고 하여 분열이 막아지는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문제를 드러내야 해결될 수 있는 방법을 고민이라도 할 수 있겠죠.

가능한 많은 자료가 공개되고, 자유롭게 사용되고, 그럼으로써 좀더 투명한 사회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민, 푸른하늘
====
p.s. 오늘 통계내비게이터 서비스(http://gis.nso.go.kr)가 오픈되어, 다시한번 시나리오를 실험해봤는데, 결국 포기했습니다. 아무래도 시스템이 너무 복잡하고 설명이 부족한 것 같네요.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공간정보/측량2007. 12. 27. 22:39
오늘 전자신문에 생활속의 맞춤통계`..통계내비게이터 개시"라는 기사가 났습니다. 통계청에서 28일부터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서울시와 6대 광역시에 통계내비게이터 서비스를 개시한다는 내용입니다. 내년 중으로 전국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하고요.

인구(4개항목), 가구(4개항목), 주택(3개항목), 사업체(3개항목), 총괄(4개항목) 등 18개 항목의 세부적인 통계자료를 각종 조건을 설정해 조회해 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23세부터 29세 이하인 대졸 미혼 여성"이나 `30평 이상 아파트 지역이면서 유치원이 다수 있고, 5∼7세 어린이들이 많이 살고 있는 지역을 찾아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얼마나 잘 되어 있나... 싶어서 일단 접속(http://gis.nso.go.kr)을 해 봤습니다. 처음 시작할 때 Java를 설치하느라 시간이 좀 걸렸지만, 대충 속도는 쓸만했습니다. 간단하게 총인구, 연령별 인구 등을 그려봤는데, 꽤 괜찮았습니다.

그런데, 신문에 난 시나리오를 따라 분석을 하기는 너무 힘들었습니다. 신문에 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신씨의 직장은 서초구 양재동, 예비신부의 직장은 강남구 일원동이며 지하철로 출퇴근할 수 있는 지역을 희망하므로 통계내비게이터에 접속해 지하철 3호선을 따라 약 800m의 범위를 설정했다.

여기에 지은 지 15년이 안된 30평 이하의 중소형 아파트가 많은 지역으로 통계항목의 조건을 설정해 나온 후보지역을 놓고 근처에 대형마트나 백화점은 몇 개나 있는지, 또 주위에 모텔이나 유흥주점은 없는지 등을 검색해 본 뒤 가장 마음에 드는 곳을 골랐다.

그래서 통계청에 들어가 보도자료를 찾아서 따라해 보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안되더군요. 다시 접속을 해보니... 대전지역의 시범서비스 시스템으로 바뀌어 있었습니다. 시범 시스템에선 위에 말하는 검색은 불가능하고요.

그래서 일단... 보도자료 내용만 읽어보면서 얼마나 쉽게 사용할 수 있을지... 생각해 봤는데,  상세한 설명이 없어서 따라해보기 쉽지 않을 것 같았습니다. 사용설명서가 아니고 보도자료니 그럴 수도 있겠다 싶었지만, 그래도 유저인터페이스가 직관적이지 않아 한참 찾아봐야 할 것 같았습니다.

내일 정식으로 서비스가 된다니 다시 해보긴 하겠지만, 글쎄... 좀 어려운 게 아닌가 싶네요. ‘30평 이상 아파트 지역이면서, 유치원이 다수 있고, 5세 이상 7세 이하 어린이들이 많이 살고 있는 지역’이라고 치면 자연어 검색이 가능한 시스템까지는 무리라고 해도, 검색식을 쉽게 작성할 수 있는 방안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기본적으로 "다중 지도영역선택, 통계 상세조건 설정, 다중 통계항목 조건 연산 및 가중치 적용 등 고도화된 통계기능 및 GIS기능을 모두 구현하려고 하니 시스템이 복잡해 진 것 같습니다.

뭐... 어려우면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마법사기능이나, 중급사용자를 위한 모드나 쓰면 되겠죠...

====
문제는 통계청에서 모든 것을 서비스하려는 욕심이 너무 앞선 게 아닌가 싶습니다. 차라리 통계자료를 공개하고, 이를 민간에서 쉽게 이용하도록 하면 더 활용도가 높아질테니까요. 네이버 혹은 다른 시장분석 전문기업에서 이런 자료를 활용하면 정말 멋진 작품이 나올 수 있겠죠. 아니면 누군가 KML로 만들어서 올리든지...

보도자료 중간쯤에 미래에는 "웹 2.0 환경에 맞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UCC(이용자 참여형 콘텐츠)등 새로운 서비스 콘텐츠를 개발하여 서비스할 계획"이라고 했는데, "참여와 공유"라는 웹2.0의 기본 정신을 생각한다면 제일 먼저 생각할 것이 정보의 공개 및 제공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니면 적어도 API라도 제공하여 누구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겠죠. 통계자료를 GIS로 표현하기 위해선 반드시 통계청 사이트에 접속하라고 요구하는 것이 웹 1.0의 전형적인 사례라는 걸 깨달았으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어쨌든 이렇게 상세한 자료가 공개된 점은 정말 반가운 일입니다. 이제까지의 통계는 대부분 읍면동 단위로 서비스 되었는데, 이번엔 집계구(통계 기본 단위 구역)단위로 서비스된다는 점이 가장 마음에 들었습니다.

서울같은 경우 한개동이 거의 1만명에 가깝기 때문에 분석 자료로 이용하기엔 부족한 점이 많았는데, 집계구는 500명단위 정도이기 때문에 한층 쓸모가 높겠죠. 서울 및 6대광역시에 총집계구가 4만개나 되고, 읍면동별 집계구가 평균 32개라고 하니, 위치의 관점에서는 30배이상 정확해 진 셈이니까요.

통계청의 건투를 빕니다.

민, 푸른하늘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