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어스/구글맵2010. 1. 14. 13:55
1월 13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엊그제 카리브해에 위치한 아이티에서 규모 7.0의 대형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240년만의 최악의 지진이라고 하며 전국민의 1/3에 해당하는 300만명이 피해를 입었고, 사망자가 10만명에 달할 수 있다고 합니다.(MT 뉴스 참조)

동아일보에 따르면 이번 지진이 피해가 컸던 이유로는 "지표면 아래로 불과 약 10km 떨어진 지점에서 발생"했으며, "아이티의 건물과 주택들이 부실하게 지어졌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이에 구글에서는 위성영상파트너인 GeoEye와 협력하여, 현지시간 10:27am 위성영상을 촬영하였고, 그 영상을 처리하여 KML로 제공하였습니다. 여기를 누르시면 이 KML을 구글맵 위에서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이 위성영상의 일부입니다. 좌측은 원래 구글어스에 들어 있던 위성영상이고, 오른쪽이 새로 촬영된 영상입니다. 위는 대통령궁이고, 아래는 도심입니다. 잘 보시면 건물이 군데군데 무너져 내린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이 KML을 구글어스 플러그인에서 확인해 본 모습입니다.


====
참고로 지진 발생현황은 USGS 실시간 지진 현황 사이트(http://earthquake.usgs.gov/)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에서 오른쪽 아래에 보이는 "Google Earth KML"을 누르면 최근 7일간 전세계에서 발생한 지진 발생현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이 KML을 실행하여 아이티 인근을 찾아본 모습입니다. 주황색은 오늘 발생한 지진, 노란색은 최근 1주일간 발생한 지진입니다. 가장 큰 동그라미가 이번 피해를 일으킨 주범인 규모 7의 지진입니다.


아래는 위의 두가지 KML을 동시에 실행시켜 본 모습입니다. 동그라미는 지진이 발생한 진앙 지점들이고, 네모난 박스가 이번에 촬영된 위성영상입니다. 


====
구글에서는 이 영상이 재난 구조활동에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고 합니다. 아울러 작년 허리케인 때 구글지도제작기(Google Map Maker)를 오픈했었는데, 이번에 그 지도를도 구글맵에 정식으로 올렸다고 합니다. 더 많이 참여를 해 달라는 부탁과 함께요.

저도 개인적으로 이런 영상과 지도가 구조활동에 도움이 되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민, 푸른하늘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구글어스/구글맵2009. 3. 8. 22:10
3월 5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에서 "earthquake"로 검색을 하면, 최근에 발생한 지진 형황을 볼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earthquake san francisco"과 같이 지역명을 함께 입력하면 그 지역에 관한 지진 발생현황도 볼 수 있고요.

우리나라에선 지진이 많지 않아 그다지 관심이 높지 않지만, 구글 본사가 위치한 샌프란시스코 인근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산 안드레아 단층대가 있기 때문에 툭하면 지진이 발생하고, 특히 최근엔 1906년에 발생했던 대지진이 다시 발생할 주기가 돌아왔다고 해서 많은 사람들이 두려워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 때문인지, 구글 LatLong 블로그에는 지진지도, 실시간 지진/화산 정보, 실시간 지진 발생현황 지도등 여러번 지진에 관련된 내용이 포스팅 되었고, 2008년 초에는 실시간 지진 정보가 구글어스 레이어로 정식 채택되기도 했습니다.

아래는 "earthquake seoul"로 검색했을 때, 맨 위에 나오는 사이트인 myforcast.com으로 들어간 모습입니다. 오늘 발생한 지진이 모두 리스트되어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쉽게도... 이건 리스트만 나와 있고, 제가 찾는 곳(빨간 네모)이 "Seoul, South Korea"라고 지정했는데도, 제 위치로부터 거리가 얼마나 떨어진 곳인지 판단하기가 힘드네요. ㅠㅠ 그리고 빨간 동그라미 쳐둔 것처럼 지도가 있어서 잘 됐다 싶었는데, 현재는 접속이 안됩니다.

이 사이틀 발견한 건 그나마 성과라면 성과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earthquakes"로 검색할 때, google.com의 검색결과google.co.kr의 검색결과가 너무 달라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새롭게 등장한 기능을 전혀 활용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사실 그다지 많이 검색할 것 같지도 않고요.

====
개인적으로는... 이것보다 미 지질측량국(USGS)에서 제공하고 있는 "최근 7일간의 지진 발생 현황 KML"을 실행시켜 보시는 게 더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아래는 이 KML을 실행시켜 본 모습입니다. 미국 서부 및 알래스카에서 얼마나 많은 지진이 발생하고 있는지 딱 보시기만 해도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실, 구지 이 KML을 실행 시킬 필요없이 2008년 초에 구글어스 레이어로 채택된 지진 레이어를 보면 될텐데, 제가 모르는 사이에 이 레이어는 사라진 모양입니다.

하지만, 사실 지진에 관한 정보는 정말 중요해서 제 생각에는 구글어스를 켜자마자 볼 수있도록 만드는 게 당연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구글어스 애호가들이 많이 지적하는 것중의 하나가 레이어를 검색하는 기능이 없다는 것입니다. 즉, 구글어스 레이어에 들어 있는 폴더를 모두 펼치면 100여개 레이어 이상이 들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여기에 있어야 할 레이어가 완전히 다른 곳에 들어 있는 경우도 흔하기 때문에 레이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려면 검색 기능이 필요하다는 것이죠.

예를 들어, 파노라미오(Panoramio)와 위키백과(wikepedia)는 지오그래픽 웹(Geographic Web) 폴더 속에 들어 있는데, 이와 비슷한 성격이라고 할 수 있는 유튜브(YouTube)는 갤러리(Gallery) 폴더 속에 존재합니다. 사실... 정말 말이 안되는 배치라고 할 수 있죠.

머... 그건 그거고 오늘 글이 쓸데없이 길어졌네요. 이만 줄입니다.

민, 푸른하늘

====
http://google-latlong.blogspot.com/2009/03/shaking-up-seismic-searches.html
Thursday, March 5, 2009 at 3:50 PM
Posted by Elaine Filadelfo, Lat Long Blog Team

구글 공식 블로그를 방문하시면, 최근에 발생한 지진 정보를 볼 수 있는 새로운 기능에 대해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구글에서 "earthquakes"라고 입력하시면 미국 지질측량국(USGS : US Geological Survey)에서 제공한 최근의 지진 활동을 보실수 있습니다. 아울러 "earthquake san francisco"와 같이 검색문에 위치를 지정하면 원하는 곳의 지진활동도 보실수 있습니다. (저는 캘리포니아에 새로 이사왔기 때문에 트랙이 지날때 마다 체크하게될것 같습니다.) 검색결과에서  미 지질측량국 지진센터(USGS Earthquake Center)를 클릭하면 더 자세한 정보를 보실 수 있고, 구글맵에 들어가면 지진 진앙지(epicenter)도 보실수 있습니다.

====
구글 LatLong 블로그 목록 : http://heomin61.tistory.com/6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구글어스/구글맵2008. 5. 16. 13:55
5월 15일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중국 쓰촨(四川, Sichuan)성에서 발생한 대지진 이후 촬영된, 위성영상을 KML로 배포한다는 내용입니다.

아래는 이 KML과 함께, 어제 제가 올린 중국 쓰촨성, 대지진으로 피해 입은 댐의 위치 에서 말씀드린 KML을 함께 실행시켜 본 모습입니다.

중앙 윗부분에 보이는 분홍색, 그리고 그옆의 큰 사각형이 KML에 들어 있는 Formosat2 위성영상입니다. 좌측 아래쪽의 노란 색 원은 진앙지의 위치, A는 청두(成都)시, B는 쯔핑 댐이며, 다른 노란 핀은 모두 중소 규모의 댐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보시는 것처럼, 원문과는 달리 댐의 위치와 위성사진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네요. 그리고, 흑백영상의 해상도는 2 미터, 칼라 영상의 해상도는 8 미터 정도라고 하는데, 자세한 지형도 잘 보이지는 않습니다.

영상은 나중에 더 추가된다고 하니 기대를 하겠고요, 그보다 재미있는게, 이 영상이 대만에서 촬영되었다는 것입니다. 중국과 대만은 서로 적대시하고 있을텐데.... 이렇게 영상을 촬영해서 제공하다니 아주 재미있다... 싶습니다.

민, 푸른하늘
p.s. 제가 만든 쓰촨성 지진 지도를 참고하세요~~
====
http://google-latlong.blogspot.com/2008/05/imagery-for-sichuan-china-earthquake.html
Thursday, May 15, 2008 at 3:10 PM

5월 12일 중국 쓰촨(四川, Sichuan)성에 규모 7.9의 대지진이 덮쳤습니다. 진앙지는 쓰촨성의 성도인 청두(成都)에서 겨우 80km 북쪽이었고요. 최신 뉴스에 따르면, 당국은 사망자가 5만명에 달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는 오늘 아침 인공위성영상 촬영업체로부터 지진 후의 영상을 확보하여, Formosat2의 위성영상을 처리하였습니다. KML을 실행시키시면 이 영상을 구글어스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는 새로운 영상을 입수하여 처리하는대로 KML을 갱신할 예정입니다. 갱신된 영상을 보시려면 이 KML을 "내 위치(My Places)"에 저장해 두시기 바랍니다.

이 최초의 위성영상에는 두장옌(都江堰, Dujiangyan) 시 근처에 있는 평가하고 수리하는 노력이 잡혀 있습니다.


재빠른 조치를 취하여 영상을 공급해 주신 대만 국가공간위원회(NSPO : Taiwan's National Space Agency) 께 심심한 감사의 뜻을 표합니다.

====
구글 LatLong 블로그 목록 : http://heomin61.tistory.com/6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구글어스/구글맵2008. 4. 29. 09:48
4월 28일 구글 LatLong 소식입니다. 지난 몇주 동안 네바다주 르노시에서 지진이 계속 발생하고 있는 모양입니다.

이 글은, 이와 관련하여 지진관련 정보를 구글맵이나 구글어스를 이용해 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글입니다.

먼저 언급된 Reno Gazette-Journal 사이트에 들어가 보시면 아래와 같이 개인지도(My Maps)를 삽입한 지도를 보실 수 있습니다. (르노시 서쪽 입니다.) 아래에서 파란색은 진도 2 내외, 노란색은 진도 3내외, 빨간색은 4내외인 지진입니다.


View Larger Map

어제 뉴스 속의 구글맵이라는 글을 작성했는데, 이것도 이와 비슷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개인지도를 활용하는 방법은 여기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미 지질측량국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난 7일 동안 발생한 지진을 모니터링하는 KML을 실행시켜 본 결과입니다. 위에 삽입한 지도와 거의 비슷한 위치로 잡아보았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뭐... 우리나라랑은 별로 관계가 없는 내용이라서 이만 줄입니다. 원문에 지진관련 맵플릿에 관한 내용도 나오는데, 여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민, 푸른하늘
====
http://google-latlong.blogspot.com/2008/04/shaking-things-up.html
Monday, April 28, 2008 at 11:16 AM

네바다주 르노시는 지난 몇주동안 잦은 지진으로 흔들렸습니다. Reno Gazette-Journal 이라는 사이트에서는 사이트개인지도(My Map)을 활용하여 그 상황을 모니터링해 왔죠. 이 지도를 보면 아주 재미있습니다. 지진의 패턴이 단층선(faultline)을 따라 발생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또한 미 지질측량국(USGS)의 실시간 지진 맵플릿구글어스 KML을 이용해 상황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제가 있는 캘리포니아지역엔 지진이 발생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
구글 LatLong 블로그 목록 : http://heomin61.tistory.com/6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