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정보/표준2018. 8. 9. 22:43

일본 국토지리원에서 공간정보 표준과 관련하여, 공공측량 시행시 공간정보 표준을 지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 글입니다.

간단히 요약하면, 측량계획기관(발주자)가 측량사업을 시행하고자할 때, 먼저 제작하고자하는 측량성과의 종류, 내용, 구조, 품질 등을 담은 제품사양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이를 공공측량시행계획서와 함께 국토지리원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습니다. 

이때 제품사양서에는 여러가지 내용이 포함되므로, 이 사이트에는 여러가지 샘플을 제공함과 동시에, 제품사양서 편집툴도 제공합니다. 전형적인 측량작업인 경우에는 샘플을 편집하는 방법이 편하고(기준점 측량부터 응용측량까지 측량 종류별로 따로 샘플이 있습니다.), 독특한 측량작업이라면 처음부터 제품사양서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때 제품사양서 편집 툴을 사용합니다.

제품사양서는 측량사업을 발주시 필요한 여러가지 사업관련 서류중의 하나로 포함됩니다. 측량작업기관은 이 제품사양서를 기준으로 측량을 실시하고 그 품질을 평가하여 메타데이터와 함께 측량 계획기관에 제출합니다. 이때 측량성과는 GML 로 제출합니다. 공간정보 표준에서 데이터 교환에는 GML 포맷을 사용하는 것이 표준으로 되었기 때문입니다.

품질 평가의 경우, 각각의 측량작업 별로 [품질요구 및 평가]에 관한 샘플이 있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평가를 하게 됩니다. 평가 결과는 품질평가표에 정리하게 됩니다. 메타데이터 작성의 경우 여러가지 항목을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국토지리원에서는 메타데이터 편집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작성된 공공측량결과는 국토지리정보원에 사본을 제출하도록 규정되어 있는데, 이때 품질평가표와 메타데이터를 함께 제출해야 합니다. 

이처럼, 일본에서 작업규정준칙(우리나라의 공공측량작업규정에 해당)에 따라 제품사양서로부터 메타데이터에 이르기 까지의 규정만 지키면 자동으로 공간정보 표준을 지키게 됩니다. 아니, 공공측량인 이상 공간정보 표준을 지키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규정에 정해져 있으니까요.

우리나라에서 여러가지 이유로 공간정보표준을 지키지 않거나 혹은 무시되고 있는데, 일본의 사례를 잘 참고했으면 좋겠습니다.

민, 푸른하늘

원문 : https://psgsv2.gsi.go.jp/koukyou/public/seihinsiyou/seihinsiyou_index.html

====

작업 규정 준칙 제 5 조에는 측량 계획 기관이 공공 측량을 실시하고자 할 때, 측량 성과의 종류, 내용, 구조, 품질 등을 나타내는 제품 사양서를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본 사이트에서는 공공측량 제품 사양서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측량 계획기관의 GML 포맷 데이터 서비스 지원에 대하여(2014년 4월 9일)

국토 지리원이 "지리정보표준 프로파일 (JPGIS)"을 기반으로 정비.제공하는 데이터는, 2012년부터 GML 형식으로 제공하도록 하겠습니다.

1.GML 단일화 배경과 국토 지리원의 대응  

"지리 정보 표준 프로파일 (JPGIS)"은 ISO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공간 데이터의 사양을 정하고 있습니다. 2011 년 ISO 표준이 개정되어, 공간 데이터는 원칙적으로 GML 형식으로 인코딩하는 것이 국제표준이 되었기 때문에, 국토 지리원의 데이터도 앞으로 원칙적으로 GML 형식으로 제공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용자 요구가 높은 지리 공간 데이터는 다른 포맷으로도 제공할 예정입니다. 

2. 측량 계획 기관의 공간 데이터 정비에 대하여

국토 지리원에서는 측량 계획 기관의 GML 포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XML 포맷에서 GML 포맷으로 변환하는 도구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공공 측량 뷰어 컨버터 사이트를 참고하십시오. 

「지리 정보 표준 프로파일 (JPGIS)」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십시오.




이 사이트 자료를 "지리정보표준 프로파일 (JPGIS) 2014"에 맞춰 갱신하였습니다.(2014년 4월1일)




메타데이터 편집기를 개선했습니다. (2013년 6월 25일)

제품사양서 및 메타데이터의 "좌표참조계"에는 "JGD2011"로 기술하여주십시오(2013년 6월25일)
-> "지리 정보 표준 프로파일 (JPGIS) 2014 '에 맞춘 본 사이트의 자료(최신 제품사양서 및 메타데이터의 "좌표참조계")를 이용할 경우, 이미 "JGD2011"로 기술되어 있으므로, 별도 처리가 필요없습니다. (2013 년 6 월 13 일)


제품사양서 작성

제품 사양서란

  • 어떤 측량 성과를 작성하는가
  • 작성하는 데이터의 내용과 구조는 어떠한가?
  • 품질은 어느 정도인가 

등을 정한 측량 업무의 발주서류 중 하나입니다. 

  • 발주자(측량계획기관)는 제품사양서 등을 사용하여 사업을 발주합니다. 
  • 수주자는 제품사양서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작성합니다. 

 측량계획기관은 공공측량 실시계획서와 함께, 제품사양서를 국토지리원에 제출해 주십시오.

제품사양서 작성방법

제품사양서 작성방법은 다음의 세가지가 있습니다. 1-3. 중 하나의 방법으로 만듭니다] 

  1. "작업규정준칙"을 준용한 "공공 측량 작업 규정"에 따라 업무를 수행할 경우, 제품 사양서 샘플 (① 제품사양서, ② 응용 스키마, ③ 품질 요구 및 평가)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장 추천하는 방법]
    1. "① 제품사양서" 워드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필요한 내용을 작성해주세요.
    2. "② 응용스키마" PDF 파일의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3. "③ 품질요구 및 평가" PDF 파일의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4. "① 제품사양서"를 사용하여 작성한 제품사양서를 공공측량 실시계획서와 함께 국토 지리원에 제출하십시오.

      【주의】 "② 응용스키마", "③ 품질요구 및 평가"의 내용이 업무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방법 2 또는 방법 3을 사용하여 제품사양서를 작성하십시오.

  2. 제품사양서에서 "응용 스키마", "품질요구 및 평가" 등을 직접 만들 경우, "④ 원본 작성용 제품사양서"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수정하여 작성하십시오. 

  3. 제품사양서 편집기를 활용하면, 모든 제품사양서 항목을 직접 만들 수 있습니다. 단, 제품사양서  편집기는 자세한 응용스키마 UML 클래스다이어그램을 작성할 수 없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제품사양서 등 샘플

기준점측량

① 제품
사양서
② 응용
스키마
③ 품질요구 및 평가④ 원본 작성용
제품 사양서
(참고)
기준점 측량 (GNSS)

[워드:62KB]
2018.4.1

[PDF:231KB] 
2014.4.1

[PDF:176KB]
2014.4.1

[워드:1.1MB]
2018.4.1

응용 스키마 XML 문서
(JPGIS 부속서 12 형식)
 
[XSD:8KB] 
2015.11.24 

(JPGIS 부속서 8 형식) 
[XSD:6KB] 

코드 목록
 
[XML:1KB] 
2015.11.24
기준점 측량 (TS)

[PDF:207KB]
2014.4.1

기준점 측량
(좌표 보정)

[워드:64KB]
2018.4.1

[PDF:161KB] 
2014.4.1
[워드:157KB] 
2018.4.1

  • 제품사양서는 PDF 형식으로 작성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워드로 작성한 파일은 PDF 형식으로 변환하십시오. 
  • 예전 공개한 "제품 사양서 (간략 버전)" 파일은 "① 제품 명세서" 파일로 대체되었습니다.
  • 예전 공개한 "제품 사양서 (상세 버전)" 파일은 "④ 원본 작성용 제품사양서" 파일로 대체되었습니다.

수준측량

①제품
사양서
②응용
스키마
③품질요구 및
평가
④원본 작성용
제품사양서
(참고))
수준측량
(신설・재설)

[워드:63KB]
2018.4.1

[PDF:259KB]
2014.4.1

[PDF:190KB]
2014.4.1
※재측, 지반변동
조사와 동일

[워드:1.0MB]
2018.4.1

응용스키마 XML문서
(JPGIS 부속서 12 형식)
[XSD:4KB]
2014.4.1

(JPGIS 부속서 8 형식)
[XSD:3KB]

코드 목록
[XML:1KB]
2014.4.1

수준측량
(이전)

[워드:63KB]
2018.4.1

[PDF:167KB]
2014.4.1

[워드:336KB]
2018.4.1

수준측량
(재측,
지반변동조사)

[워드:64KB]
2018.4.1

[PDF:271KB]
2014.4.1

[PDF:190KB]
2014.4.1
※신설・재설과
동일

[워드:1.0MB]
2018.4.1

  • 제품사양서는 PDF 형식으로 작성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워드로 작성한 파일은 PDF 형식으로 변환하십시오. 
  • 예전 "제품 사양서 (간략 버전)" 파일은 "① 제품 명세서" 파일로 대체되었습니다.
  • 예전 "제품 사양서 (상세 버전)" 파일은 "④ 원본 작성용 제품사양서" 파일로 대체되었습니다.

수치지형도

① 제품
사양서
② 응용
스키마
③ 품질요구 및 평가④ 원본 작성용
제품 사양서
(참고)
수치 지형도
(지도 정보 수준 500)
[워드:75KB]
2016.4.1
표준 제품사양서
[PDF:3.9MB] 
2014.4.1 
(응용스키마:제 4·5 장) 
(품질요구 및 평가:7 장) 

구현 가이드 
[PDF:1.7MB] 
2014.4.1
[워드:175KB] 
2016.4.1
응용스키마 XML 문서
(JPGIS 부속서 12 형식)
 
[XSD:88KB] 
2014.4.1 

(JPGIS 부속서 8 형식) 
[XSD:89KB] 
2014.4.1
수치 지형도
(지도 정보 레벨 1000)
[워드:74KB]
2016.4.1
수치 지형도
(지도 정보 수준
 
500/1000 혼합)
[워드:75KB]
2016.4.1
수치 지형도
(지도 정보 레벨 2500)

[워드:75KB]
2016.4.1

표준 제품사양서
[PDF:3.7MB] 
2014.4.1 
(응용 스키마:제 4·5 장) 
(품질 구 및 평가:7 장)

[워드:164KB] 
2016.4.1

촬영(사진기준점 설치, 촬영, 항공삼각측량

①제품사양서②응용스키마③품질요구 및 평가④원본 작성용
제품사양서

디지털 항공카메라

[워드:67KB]
2018.4.1
[PDF:199KB]
2014.4.1
[PDF:233KB]
2014.4.1
[워드:202KB]
2018.4.1
아날로그 항공카메라[워드:67KB]
2018.4.1
[PDF:270KB]
2014.4.1
[PDF:214KB]
2014.4.1
[워드:226KB]
2018.4.1

  • 본 명세서 샘플은 "작업규정 준칙" 제3편 제3장 제1절 ~ 7절 업무 (사진기준점 설치, 촬영, 항공삼각측량)을 고려하며, 성과품은 "수치 사진"과 "외부 표정 요소 성과표"입니다.
  • 제품사양서는 PDF 형식으로 작성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워드로 작성한 파일은 PDF 형식으로 변환하십시오.

정사사진 작성

①제품사양서②응용스키마③품질요구 및 평가④원본 작성용
제품사양서

정사사진

[워드:65KB]
2016.4.1
[PDF:242KB]
2014.4.1
[PDF:178KB]
2016.4.1
[워드:222KB]
2016.4.1

  • 제품사양서는 PDF 형식으로 작성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워드로 작성한 파일은 PDF 형식으로 변환하십시오.

항공 레이저 측량

①제품사양서②응용스키마③품질요구 및 평가④원본 작성용
제품사양서

수치 표고 모델

[워드:65KB]
2018.4.1
[PDF:200KB]
2014.4.1
[PDF:155KB]
2014.4.1
[워드:444KB]
2018.4.1

  • 본 제품사양서샘플의 성과품 (수치 표고 모델)은 그리드 데이터 (x, y, z 값을 갖는 점군 데이터) 입니다. DEM 데이터 (벡터로 격자크기 및 자료범위를 지정하여 z 값만 기술한 데이터)가 아니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제품사양서는 PDF 형식으로 작성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워드로 작성한 파일은 PDF 형식으로 변환하십시오.

응용 측량

①제품사양서②응용스키마③품질요구 및 평가④원본 작성용
제품사양서

노선 측량

[워드:189KB]
2018.4.1
[PDF:249KB]
2015.11.24
[PDF:168KB]
2014.4.1
[워드:314KB]
2018.4.1

하천 측량

[워드:172KB]
2018.4.1
[PDF:230KB]
2014.4.1
[PDF:190KB]
2014.4.1
[워드:247KB]
2018.4.1

용지 측량

[워드:169KB]
2018.4.1
[PDF:230KB]
2014.4.1
[PDF:170KB]
2014.4.1
[워드:244KB]
2018.4.1

삼차원 점군 데이터 제작

원본 작성용
제품사양서(안)

삼차원 점군 데이터

[워드:45KB]
2018.4.1

  • 이 원본 작성용 제품사양서 샘플(안)은 실시하는 측량 업무나, 필요한 제품 사양에 따라 수정하여 사용하십시오. 
  • 제품사양서는 PDF 형식으로 작성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워드로 작성한 파일은 PDF 형식으로 변환하십시오.

=======

참고자료 : 지리 공간 데이터 제품 명세서 작성 가이드 JPGIS 2014 판 [PDF : 2.1MB]

제품사양서 편집기

아래는 국토지리원에서 공개한 제품사양서 편집기 (지리공간 데이터 제품사양서 작성 지원 툴)입니다. 단, 이 편집기에서는 자세한 응용스키마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별도로 작성한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 등을 추가 · 편집해야 하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제품 명세서의 작성은 제품 사양서 등 샘플을 사용하는 방법을 권장합니다] 

지리공간 데이터 제품 명세서 작성 지원 도구
지리 공간 데이터 제품 명세서 작성 가이드 JPGIS 2014 판 [PDF : 2.1MB]

품질평가

품질 평가는 "작성한 데이터가 제품사양서에서 규정한 품질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작업입니다. (수주자가 평가합니다.) 

  • 발주자 (측량계획기관)은 제품사양서에 품질에 관한 사항을 규정합니다. 
  • 수주자는 제품사양서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제작하고 측량성과에 대한 품질을 평가합니다. 
  • 품질평가표를 보면 데이터 품질(합격 여부)을 알 수 있습니다. 

측량 계획 기관은 국토 지리원에 측량 성과를 제출 할 때, 품질 평가표 사본도 제출하십시오. 

품질 평가표는 개별 표에 각 품질 요소의 평가 결과를 기재하고, 총괄표에 합격 여부를 기재합니다. 아래에 있는 품질평가표 샘플을 제품사양서 품질 요구에 따라 변경 한 후 사용하십시오. (수치 지형도 데이터 등, 여러가지 지형지물이 포함된 측량 성과의 경우, 각각의 지형지물별로 별도의 표를 작성하십시오)

기준점 측량

품질평가표 샘플

GNSS 관측

[엑셀:43KB]
2014.4.1

토털스테이션 관측

(1급)
[엑셀:42KB]

2014.4.1

(2급)
[엑셀:42KB]

2014.4.1

(3급)
[엑셀:42KB]

2014.4.1

(4급)
[엑셀:42KB]

2014.4.1

※등급(1~4급)・관측방법(GNSS・TS)가
여러가지인 경우

[엑셀:78KB]
2014.4.1
기준점 성과좌표 보정
(보정 파라미터에 의한 재계산)
[엑셀:40KB]
2014.4.1

수준 측량

품질평가표 샘플

수준측량(신설・재설치・재관측・
지반변동 조사)

(1급)
[엑셀:40KB]

2014.4.1

(2급)
[엑셀:40KB]

2014.4.1

(3급)
[엑셀:40KB]

2014.4.1
(4급)
[엑셀:40KB]

2014.4.1
(簡易)
[엑셀:40KB]

2014.4.1
(등급 여러개)
[엑셀:67KB]

2014.4.1
수준측량 (이전)(1급)
[엑셀:40KB]

2014.4.1
(2급)
[엑셀:40KB]

2014.4.1
(3,4급)
[엑셀:40KB]

2014.4.1
(등급 여러개)
[엑셀:58KB]

2014.4.1

수치지형도

※ 데이터 품질 적용 범위는 임의로 10 가지 예를 넣었습니다. 실제 사양에 따라 재작성하십시오.

품질평가표 샘플

수치지형도 

(지도정보레벨 500)
[엑셀:83KB]

2014.4.1

(지도정보레벨 1000)
[엑셀:83KB]

2014.4.1

(지도정보레벨 500/1000 혼합)
[엑셀:83KB]

2014.4.1

(지도정보레벨 2500)
[엑셀:83KB]

2014.4.1

촬영

품질평가표 샘플

촬영(사진기준점 설치, 촬영, 항공삼각측량)

디지털 항측 카메라
[엑셀:39KB]

2014.4.1

아날로그 항측 카메라
[엑셀:41KB]

2014.4.1

정사사진 제작

품질평가표 샘플

정사사진

[엑셀:38KB]
2014.4.1

항공 레이저 측량

품질평가표 샘플

수치표고 모델

[엑셀:37KB]
2014.4.1

응용측량

품질평가표 샘플

노선측량

[엑셀:38KB]
2015.11.24
하천측량[엑셀:39KB]
2015.11.24
용지측량[엑셀:38KB]
2014.4.1

3차원 점군 데이터 제작

품질평가표 샘플(안)
三次元点群データ[엑셀:22KB]
H29.10.20

메타데이터


메타 데이터 편집기 를 개선했습니다 (2013년 6 월 25 일)
    · "위도 경도" 입력 기능을 개선했습니다.
    · "JGD2011의 전거" 입력 기능을 삭제했습니다.
     (이전 버전을 제거한 후 새 버전을 설치하십시오)

메타 데이터란 "데이터(측량 성과)에 대한 요약 데이터"로서, 검색 등에 사용됩니다. 

  • 발주자(측량계획기관)는 제품사양서에 메타데이터 작성 규정을 기재합니다.
  • 수주자는 제품사양서에 따라 메타 데이터를 작성합니다. 
  • 메타데이터는 검색 시스템 등에서 이용되어, 측량 효율화에 도움이 됩니다. 

측량계획기관은 국토지리원에 측량 성과를 제출할 때, 메타데이터 사본도 제출하십시오. 

메타 데이터 편집기를 사용하면 메타 데이터를 쉽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조하십시오. 


문의처

본 사이트에 관한 질문 등은 다음 문의 양식으로 접수하고 있습니다. 

문의 양식


====

원문 : https://psgsv2.gsi.go.jp/koukyou/public/seihinsiyou/seihinsiyou_index.html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공간정보/표준2018. 2. 19. 15:02

공간정보표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데이터에 관한 표준입니다. 데이터 표준을 지키기 위한 유일하면서도 가장 편리한 방법은 제품사양서를 작성하고, 이를 기준으로 제품을 작성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데이터, 제품, 제품사양서에서 쓴 것처럼, 제품사양서를 작성하는 것은 만만치 않은 일입니다. 특히 4. 데이터 내용 및 구조, 6. 데이터 품질, 12. 메타데이터의 경우에는 내용이 복잡하고 많아서 작성하기 까다롭습니다. 데이터 내용 및 구조의 핵심인 응용스키마의 경우 개념도 복잡하고 XML schema를 작성하는 등 기술적으로도 난해합니다.

그래서, 공공측량까지 제품사양서 작성이 의무화되어 있는 일본의 경우, 제품생산자가 보다 쉽게 제품사양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제품사양서 작성 툴을 제작하여 배포하고 있습니다. 이 도구만으로 모두 해결될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별도로 제공하고 있는 제품사양서 샘플과 함께 사용하면 기술적인 어려움은 많이 해결될 수 있을 것 같네요.

아래는 별내용은 없지만, 제품사양서 편집기 Ver2.2(2014년 4월1일 공개) 문서를 번역한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주의사항

  • 본 제품사양서 편집기는 제품사양서 편집기 구버전을 제거한 후 새로 설치해야 합니다.
  • 본 편집기에서는 상세 응용스키마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별도로 작성한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 등을 추가 · 편집하고, 제품 사양을 완성해야 하므로 주의하여 주십시오.
  • 공공측량용 제품사양서를 작성할 시, 제품 사양서 샘플을 사용하는 방법을 권장합니다.

개요

제품사양서 편집기 Ver 2.2(정식명칭 : 지리공간데이터 제품사양서 작성지원 툴(JPGIS 기준) Ver.2.2)는 JPGIS에 기준한 제품 사양서의 작성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표시된 가이드를 참고로 필요한 사항을 입력함으로써, 제품 사양서의 이미지를 Word 문서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제품 사양서를 완성하려면, 출력 후,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 등 약간의 편집이 필요합니다.)  
  • 입력 항목으로부터, 인코딩시 필요한 XML 스키마와 XML 인스턴스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부속서 8에 적합하기 위해서는, 출력 후 일부 편집이 필요합니다.) 
  • 제품 사양서 편집기는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단, 다운로드 시 통신비 등의 비용은 이용자 부담입니다. 편집기 사용을 위해 부수적으로 필요한 소프트웨어 등은 각자 준비해야 합니다.

Ver.2.0으로부터 변경사항

  • 지리정보 표준 프로파일 (JPGIS) 2014에 맞도록 변경되었습니다. 

동작 환경

  • 실행가능 OS : Microsoft Windows XP, Windows 7 
  • Microsoft .NET Framework가 설치되어있을 것)
  • 제품 사양서를 작성할 경우, Microsoft Word 2000 이상이 설치되어 있을 것
  • 조작 매뉴얼을 표시하는 경우, Adobe Acrobat Reader가 설치되어 있을 것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공간정보/표준2018. 1. 16. 14:39

일본 국토지리원에서 제작한 "공간정보데이터 제품사양서 제작 매뉴얼" 번역본입니다.


원본은 여기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공간정보데이터 제품사양서란 한마디로 공간정보 데이터에 대한 "설계도", "제작기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제품을 제작하기 전에 해당 제품의 설계도와 소재, 완성된 제품의 품질 등 제작하는 제품의 사양을 미리 만드는 것과 동일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국토지리정보원을 중심으로 제품사양서를 도입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를 표준에 따라 제작한다는 것은, 표준에 따라 만들어진 제품사양서에 따라 제품을 만드는 것을 의미하기 떄문입니다. 간단히 제품사양서를 준수하면 표준에 맞는 데이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죠.


하지만, 제품사양서를 만드는 것도, 제품사양서에 따라 제품을 제작하는 것도 쉽지는 않습니다. 제품 사양서에는 데이터에 관한 표준이 압축되어 있기 떄문입니다. 


일본의 "공간정보데이터 제품사양서 제작 매뉴얼"은 까다로운 제품사양서를 쉽게 작성할 수 있는 방법 및 사례를 보이고 있어서 매우 유용한 것 같습니다. 물론 사례도 일본 실정에 맞췄고, 사용되는 표준 기준도 약간은 오래된 것도 있고, 일본 상황에 따라 약간 변경이 된 부분은 있지만, 그래도 데이터 표준에 관심있는 분들께는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혹시 내용이 이상하거나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민, 푸른하늘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공간정보/표준2018. 1. 10. 15:24

공간정보 데이터를 만들 때 가장 중요한 것이 표준입니다. 공간 데이터의 표준을 지키는 것은 전체 표준에서 90% 이상을 차지한다고 생각합니다. 예전에 국가 등의 기관에서 보유한 데이터중 80%는 공간과 관계있다라는 말이 있었고, 이제는 우리나라도 많은 공간 정보들이 공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표준을 지킨다거나, 정제된 데이터라고 말하기는 힘든 것 같습니다.


정제된 데이터란, 언제 어디서 누구 제작했더라도 동일한 구조와 품질로 생산된 데이터를 말합니다. 같은 기관에서 작성한 데이터가 어떤 회사에서 제작했는지, 누가 검수를 했는지에 따라 달라지고, 매년 담당자가 달라질 때마다 내용과 구조가 조금씩 변한다면, 공간정보의 활용성은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정제된 데이터라는 것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 데이터의 구조와 내용과 의미를 조사해서 편집을 해야 사용할 수 있다거나, 매번 어떤 과정을 거쳐야만 변환할 수 있어서 사람의 수작업이 개입되어야 한다면 데이터로서의 가치는 떨어지게 됩니다. 한번 설정을 해두면 투명하게 데이터가 전달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기관에서 새롭게 데이터를 갱신하면, 누구의 손을 거치지 않더라도 중간생산자나 포털등을 거쳐 즉시 국민에게 서비스될 수 있습니다. 현재와 같이 정제가 되지 않은 데이터라면, 갱신된 지역이 어디인지, 어떤 지형지물이 갱신되었는지 찾아보고,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맞춰 수정하여 서비스가 될 때까지 몇주-몇달씩 걸릴 수 있습니다.


이것을 해결해 주는 것이 표준입니다. 표준을 지킨 데이터는 항상 동일한 구조와 품질을 유지되어, 누구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빠르게,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간정보 표준은 지키기가 쉽지 않습니다. 공간정보 표준인 ISO 19000 시리즈는 40여가지나 되는데다가 왠만한 전문가들도 무슨 뜻인지 이해하기 힘듧니다. 무엇보다 공간정보 제작자가 표준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고, 표준을 지킬 의지가 없습니다. 표준을 지키려면 훨씬 더 높은 기술이 필요하며, 더 많은 비용이 투자되어야 하지만, 돌아오는 혜택은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표준을 지키려고 하면 제도적인 면과 기술적인 면을 생각해야 합니다. 제도적으로는 표준을 장려하는 정도가 아니라 반드시 지킬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대한 반대급부를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물론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많은 사람들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기 때문에 합의를 이루기도 힘들죠.


기술적인 해결책도 쉽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명확한 답은 존재합니다. 적어도 표준을 따르는 데이터를 제작하는 것은 명백한 답이 존재합니다. 바로 데이터를 제작하기전, 어떤 데이터를 만들 것인지를 규정하는 제품사양서를 만들고, 이 제품사양서에 따라서 데이터를 제작하고, 제품사양서에 정한 것에 따라 품질을 검사해서 메타데이터를 제작하는 것입니다. 데이터를 공급할 때는 데이터 그자체 뿐만 아니라, 제품사양서+데이터, 혹은 메타데이터+데이터의 형태로 공급하면 됩니다. 제품사양서나 메타데이터에는 데이터 제품에 대한 이력부터 제작, 내용 및 구조가 모두 담겨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제품사양서에는 데이터 제품 제작의 모든 것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품사양서를 제작한다는 것은 관련 표준을 모두 지켜야 함을 의미합니다. 아래 그림은 데이터제품사양서와 관련된 표준들입니다. 최소한 11가지 이상을 지켜야 합니다. 이중에서 가장 중요하면서도 긴밀히 얽혀 있고 가장 내용이 많으며, 어려운 것이 4. 데이터 내용과 구조, 6. 데이터품질, 12. 메타데이터 입니다. 



쉽지는 않다고 해도, 제도적으로 밀어붙였다면 사실 충분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벌써 우리나라에서 GIS가 도입되기 시작한지 20년 이상 흐른 지금까지도 데이터 공개, 표준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는 현실이 많이 우울하네요.


민, 푸른하늘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