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어스/구글맵

은하수 보신지 얼마나 되셨습니까?

하늘이푸른오늘 2008. 2. 8. 12:10
저는 사실 어릴적부터 서울에 살아서 별이 쏟아진다는 느낌을 경험해 본 적이 거의 없습니다.

단 한번, 결혼하자마자 시골에 계셨던 작은 할아버님께 인사드리러 갔을 때, 은하수가 왜 "은이 흐르는 강"이라고 묘사되었는지 처음 알게 되었죠.

지금 서울 등 대도시에 살고 있는 사람은 절대 이러한 은하수를 볼 수 없습니다. 날씨가 아무리 맑아도 밝은 별 몇 개만 보일 뿐입니다. 그나마 시골에 가면 은하수를 감상하실 수 있지만, 그나마도 우리나라에선 참된 은하수의 모습은 볼 수 없습니다. (계속 읽어보시면 그 이유를 아실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위키백과의 은하수 항목에서 옮겨온 그림입니다. 미국 데쓰밸리(Death Valley)에서 360도 파노라마로 찍은 사진이라는군요.(눌러보시면 큰 그림이 나옵니다) 저는 2년전쯤 데쓰밸리에 갔었는데, 그날 보름달이 너무 밝아, 별은 하나도 못봤습니다. ㅠㅠ

데쓰밸리에서 촬영한 은하수

그림은 위키백과에서 무단으로 가져왔습니다.

위에 있는 사진정도면 아주 훌륭합니다. 하지만, 지평선 부근을 보면 흐릿하게 밝은 부분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것이 광공해(光公害 또는 光害 : light pollution)의 영향입니다. 광공해란 도시의 가로등, 네온사인 등으로 인해 하늘이 뿌옇게 밝아져서 밤하늘을 관측하기 힘들게 하는 인위적인 오염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의 광공해는 어느 정도일까요? 우선 아래 그림을 보시죠. 그냥 봐도 이해가 되시겠지만, 파랑->녹색->빨강 -> 흰색으로 갈 수록 밤하늘이 밝아져 별을 관측하기 힘들어집니다. 서울 등 대도시는 흰색이라는 게 당연하겠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깊은 산속도 광공해로부터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 출처 : http://www.lightpollution.it/worldatlas/pages/fig8.htm


어떤 색 지역에 있다면 어느정도의 밤하늘을 보실 수 있는지는 여기를 보시면 대략 나와 있습니다. (더 자세한 것은 여기를 보세요) 은하수에 관한 내용만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검정색(Bortle Scale 1, 극히 어두운 밤하늘) : 은하수가 뜰 때 동이 트는 것이라고 착각할 정도
  • 회   색(Bortle Scale 2, 일반적으로 아주 어두운 밤하늘) : 구름이 까맣게만 보임. 은하수에 속한 별들이 50도까지 분포한 것으로 보임.
  • 파랑색(Bortle Scale 3, 시골 밤하늘) : 수평선에서 10-15도 정도 광공해의 영향이 보임. 은하수는 땅군자리 부근이 불룩하게 튀어나온 것처럼 보임.
  • 초록색(Bortle Scale 4, 시골/교외지역 중간) : 구름이 밤하늘보다 밝게 보임. 수평선부근에선 은하수가 안보임. 땅군자리가 불룩하게 보이고, 은하수를 따라 검은 선이 보임.
  • 노랑색(Bortle Scale 4.5) 광공해의 영향이 45도까지 미침. 은하수를 따라 검은 선이 겨우 보이지만, 땅군자리의 불룩한 부분은 구분하기 힘듦.
  • 주황색(Bortle Scale 5 교외지역의 하늘) 머리 꼭대기에서만 은하수가 구분될 정도임. 구름이 잘 보임.
  • 빨강색(Bortle Scale 6,7 도시지역 언저리)머리 꼭대기에서도 거의 구분이 안될 정도.
  • 흰   색(Bortle Scale 8,9 대도시 밤하늘) 하늘 전체가 환함. 잘 알려진 별자리에서도 잘 안보이는 별이 있음
대략적으로... 적어도 파랑색 정도가 되어야 은하수를 제대로 감상할 수 있고, 회색이 되어야 은하수의 참모습을 볼 수 있다고 할 수 있겠는데, 위의 그림을 보시면, 우리나라 지역엔 전혀 없다는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아... 백령도 쯤 가면 보실 수 있을 것 같네요.

사실 광해는 단순히 밤하늘의 별을 볼 수 없다는 정도의 문제가 아니랍니다. 에너지 측면에서도 많은 낭비를 초래하는 것은 물론, 철새 이동에 악영향을 끼치고, 거북이의 산란을 방해하는 등 야생 동식물의 생태를 파괴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전등을 끄거나, 가로등 등의 불빛을 아래로만 향하도록 바꾸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죠. 이를 위해서 국제 암천(暗天) 협회(International Dark-Sky Association) 등에서 광공해를 막을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연구중이라고 합니다.

광공해에 대해 자세한 것을 아시고 싶으시면 여기를 들어가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미국/캐나다 지역에서는 광공해 뿐만 아니라, 날씨 등을 예측하여 별관측에 좋은 장소를 찾아주는 구글맵 매쉬업  (Clear Sky Clocks)이 있습니다.

"어린이들에게 은하수를 돌려주자"... 이런 운동이라도 벌려야 하는 게 아닌가... 싶어지네요.

민, 푸른하늘
(via Map 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