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도 미국에 홍수나 산불이 발생하면 내지도(My Maps)가 많이 제작되었습니다. 아래는 그러한 예입니다.
- 2009/02/09 - 호주 산불 지도(Mapping the Australian fires)
- 2009/02/09 - 오스트랠리아 산불 지도(Mapping the Australian fires)
- 2009/02/07 - 영국 폭설 지도(Insights into the U.K. snowstorm)
- 2008/11/18 - 캘리포니아 산타바바라 산불지도(Santa Barbara fire map)
- 2008/10/20 - 로스엔젤레스 산불지도(Maps of the Los Angeles wildfires)
- 2008/06/30 - 캘리포니아 북부 산불지도(Mapping the Northern California wildfires)
- 2008/06/24 - 위스콘신 홍수지도(Map of Wisconsin road closures)
- 2008/05/25 - 샌프란시스코 남부 산불지도(Map of Santa Cruz Mountains wildfire)
- 2007/12/09 - 워싱턴주 홍수지도(Flooding in Washington State)
다만, 이번에는 단 72시간만에 25만명이나 방문했다고 하고, 현재 KFGO 파르고 내지도에 들어가 보니 31만명이 방문했다고 나옵니다.
아래는 구글어스용 KML 파일을 실행시킨 후, 거리를 측정해 본 모습입니다. 빨간 부분이 코드레드(Code Red) 즉, 매우 위험한 지역인데, 대략 22km라고 나오니까... 꽤 넓은 지역이 피해를 입은 것 같습니다.
민, 푸른하늘
http://google-latlong.blogspot.com/2009/03/mapping-resources-for-red-river-floods.html
Tuesday, March 31, 2009at5:27 PM
내지도의 공동 편집 기능을 통해, 이 지도는 홍수지역 전체에서 계속 업데이트 되었으며, 그 변화는 라디오 파르고 방송국 웹사이트에 즉시 반영되었습니다. 단 72시간만에 파르곤 등의 지역에서 이 지도를 방문한 사람은 전국적으로 25만을 넘었습니다. 또한 이 지도는 상황 변화에 따라 계속 진화될 것입니다.
View KFGO - Red River Flood 2009 in a larger map
====
구글 LatLong 블로그 목록 : http://heomin61.tistory.com/6
2009/02/12 - 호주 산불지도 추가소식(Australian fires update)
2009/02/09 - 호주 산불 지도(Mapping the Australian fires)
2009/02/09 - 오스트랠리아 산불 지도(Mapping the Australian fires)
2009/02/07 - 영국 폭설 지도(Insights into the U.K. snowstorm)
2008/11/18 - 캘리포니아 산타바바라 산불지도(Santa Barbara fire map)
2008/10/20 - 로스엔젤레스 산불지도(Maps of the Los Angeles wildfires)
2008/06/30 - 캘리포니아 북부 산불지도(Mapping the Northern California wildfires)
2008/05/25 - 샌프란시스코 남부 산불지도(Map of Santa Cruz Mountains wildfire)
2007/12/09 - 워싱턴주 홍수지도(Flooding in Washington State)
2008/06/24 - 위스콘신 홍수지도(Map of Wisconsin road closures)
2009/02/09 - 호주 산불 지도(Mapping the Australian fires)
2009/02/09 - 오스트랠리아 산불 지도(Mapping the Australian fires)
2009/02/07 - 영국 폭설 지도(Insights into the U.K. snowstorm)
2008/11/18 - 캘리포니아 산타바바라 산불지도(Santa Barbara fire map)
2008/10/20 - 로스엔젤레스 산불지도(Maps of the Los Angeles wildfires)
2008/06/30 - 캘리포니아 북부 산불지도(Mapping the Northern California wildfires)
2008/05/25 - 샌프란시스코 남부 산불지도(Map of Santa Cruz Mountains wildfire)
2007/12/09 - 워싱턴주 홍수지도(Flooding in Washington State)
2008/06/24 - 위스콘신 홍수지도(Map of Wisconsin road closures)
댓글을 달아 주세요
집에 오랜만에 와서 컴을 켰는데 컴이 개컴이라 구글어스 받아서 확인 해 볼 엄두가 안나는군요. 다음에 확인해보겠습니다.
2009.04.03 04:34 신고그리고 가끔 푸른하늘님 개인적인 일상이나 생각들도 블로그에 올려주시면.. 어떨까 싶네요.^^?
개인 일상이라... 만약에 쓰게 된다면 다른 블로그를 만들 것 같네요. 혹시 만들게 되면 알려드리죠~ ㅎㅎ
2009.04.03 08:28 신고구글 내지도의 공동편집 기능을 검색하다가 들어 왔습니다.
2009.04.08 01:14정말 구글지도의 활용은 무궁무진 하내요.
저도 얼마전부터 구글 내지도를 이용해서 자전거 도로 지도 제작을 하고 있는데 아직 기능이 부족해서인지 아니면 제가 기능을 파악하고 있지 못해서 그러는지 몰라도 거의 노가다 수준의 작업으로 지도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내지도 제작시 구글어스를 이용하면 좀 수월할텐데 아직 완벽한 연동이 되고 있지 못한것 같내요.;;
지도가 엉망이 된다던지...아무튼 불안한점 때문에 내지도 웹페이지에서 지도를 제작중입니다.
조금전에는 힘을 좀 보태 주신다는 고마운분도 나타나셨는데 공동편집 기능 사용법에 관한 정보가 없어서 ...산넘어 산이내요..ㅠ_ㅠ;;
자전거 쪽이라면 GPS 로그 기능과 합쳐보면 좋을 것 같네요. http://www.internetmap.kr/848 한번 읽어보세요.
2009.04.08 08:25 신고내지도의 편집기능이라면 제 블로그에서 "개인지도"로 검색해 보시면 여러가지 많이 나올 겁니다. 도움이 되시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