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쿼드콥터2017. 7. 28. 22:41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7. 22. 22:04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7. 16. 12:09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7. 9. 18:45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6. 30. 21:27

6/26

엔비디아의 딥러닝 기술을 사용한 장애물 회피 + 경로탐색 기능에 대한 분석글

- 인공지능으로 무인기(UAV, 드론) 눈(Eye)의 진화가 빠르다.
- 딥러닝 기반 무인 자율 비행

https://blogs.nvidia.com/wp-content/uploads/2017/06/DroneTegraFront-667x500.jpg

자이언트 드론, 수소연료 드론 비행시간 2시간으로 늘린다

자이언트드론이 개발한 수소연료전지 드론. 오는 10월께 2시간 이상 비행이 가능한 드론을 개발할 계획이다.

미국 콜로라도 대학, 드론으로 실시간 온실가스 분석

6/27

MIT,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드론 개발.  주행/비행은 자동으로 최적으로 선택.  로봇신문

csail drone

GreenSight, 골프장 잔디 관리용 드론. Kind of 정밀농업

로키드마틴, 캐나다에서 비시계 시설물 조사 비행 수행

6/28

해수부, 적조 발생 예찰 위해 드론 투입

MIT, 5일간 비행가능한 엔진형 드론 개발. 태양전지 드론은 한계가 있어서.

오하이오 대학교 기상용 드론 좀더 자세한 내용.  여기도

DJI MG-1 농업용 드론을 사용하여 모기 살충

오스트렐리아 BioCarbon, 열대우림 복구하기 위한 씨앗살포. 1일당 10만 개 살포가능

육가공업체 Oscar Mayer, 핫도그 배달용 드론 도입예정??

"FLiFLi" DJI 팬텀 시리즈용 드론 낚시 액세서리

6/29

모터 76개 장착한 DIY 헬리콥터

두바이, 자율주행 자동감시 경찰차 운영

Parrot Education, 드론교육프로그램을 전세계로 확대

6/30

페이스북 태양광 드론 Aquilar, 두번째 테스트 비행 성공

facebook aquila internet drone

드론 서핑

유니세프, 말라위에서 긴급물품 배송 및 재해대응용 드론 길 프로젝트 시작. 수도로부터 반경 40km

SBS 뉴스영상

ISIS의 드론 공방 사진들 

7/1

미 공군 B-21 폭격기에 무인옵션 추가. 거대한 드론?

쏠배감팽(Lion Fish)을 자동 감지하여 잡는 드론 개발. 

Lionfish waiting to be measured Saturday, May 20, 2017

자동 건물 검사용 드론. 센서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자동 시각적 평가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6. 29. 22:20

귀환(RTL : Return To Launch) 모드는 콥터를 현재 위치로부터 이동시켜 Home 위치 위에 호버링하도록 하는 모드이다. RTL 모드의 행태는 여러가지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 페이지는 RTL 모드를 사용하는 방법 및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개요

귀환(RTL) 모드가 선택되면 콥터는 Home 위치로 되돌아온다. 콥터는 먼저 RTL_ALT 로 지정한 높이만큼 상승한 후 Home으로 귀환한다. 현재의 높이가 RTL_ALT 보다 높다면 그 높이를 그대로 유지한 채 되돌아 온다. RTL_ALT의 기본값은 15m 이다.

RTL은 GPS에 의존하는 이동이므로, 이 모드를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GPS가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시동을 걸기전, APM의 파란색 LED가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라. 전자나침반이 없는 GPS의 경우, GPS 가 고정되면 LED가 파란색으로 고정된다. GPS+전자나침반 모듈의 경우 GPS가 고정되면 LED가 파란색으로 점멸한다.

RTL 은 Home 위치, 즉 기체가 시동을 건 위치로 되돌아 오도록 명령한다. 즉, Home 위치는 콥터의 실제 이륙위치로 가정되며, 사람들이나 장애물로 방해받지 않아야 한다. 

경고 : RTL 모드에서 비행콘트롤러는 기압계를 사용하여 고도를 결정하므로, 비행중 기압이 변할 경우, 실제 고도가 아닌 기압 변화를 따라가게 된다. (6-7미터 이내이고 SONAR가 설치되었고 활성화되었을 경우, 이를 사용함)

옵션(사용자 조정 파라미터)

  • RTL_ALT: 귀환(RTL) 모드의 최소 고도
    • 0 : 현재의 고도를 유지
    • 1-8000 cm 사이로 설정가능
    • 기본값은 15미터(1500)
  • RTL_ALT_FINAL: RTL 마지막단계에서 콥터가 이동하는 높이. 또는 미션을 완료한 후의 높이
    • 0 : 자동 착륙
    • 최종 귀환고도는 0-1000 cm 내에서 조정가능
  • RTL_LOIT_TIME: 최종 하강전 "Home" 위치 위에서 호버링/대기 시간(milliseconds)
    • 0-60,000 사이에서 조정가능
  • WP_YAW_BEHAVIOR : 미션 및 RTL중 "Yaw" 를 제어하는 방법
    • 0 = Yaw 를 변경하지 않음
    • 1 = 다음 웨이포인트로 향함 RTL의 경우 Home을 향함
    • 2 = 다음 웨이포인트를 향하되, RTL 제외(RTL 들어가기 전 최종 기수방향을 유지)
  • LAND_SPEED: RLT 최종단계인 착륙 속도(cm/s)
    • 착륙속도는 20 - 200 cm/s 내에서 조정가능
  • RTL_CLIMB_MIN: RTL 첫단계의 기체 상승속도. 기본값은 0임. (콥터 3.3 이상)
  • RTL_SPEED: 기체가 Home으로 귀환할 때의 수평 속도 (cm/s) 기본값은 0으로서, WPNAV_SPEED를 그대로 사용함(Copter 3.4 이상)
  • RTL_CONE_SLOPE: Home에서 가까운 곳에서 RTL을 할 때, 기체가 상승하는 양을 제한하는데 사용되는, 역깔때기 의 기울기?? Defines the slope of an inverted cone above home which is used to limit the amount the vehicle climbs when RTL-ing from close to home.  작은 값을 두면 깔대기가 넓어져서 기체가 덜 상승하고, 큰 값을 주면 기체가 더 많이 상승한다. (Copter 3.4 이상)

참고 

  • 아래의 자동(AUTO) 모드 설정도 RTL 모드에 영향을 미친다
  • RTL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시동.이륙전 GPS가 고정되어, Home 및 이륙위치가 결정되어 있어야 한다.(LED 상태 참조)
  • 착륙후 다시 시동을 걸면 Home을 재설정한다.
  • [RTL_ALT]를 0이 아닌 값으로 설정하면, 귀환하는 동안 해당 높이를 유지하면서 돌아온다.
  • RTL 시 수평속도는 WPNAV_SPEED를 사용한다.
  • 콥터가 Home 위ㅣ에 당도하면 [RTL_LOIT_TIME] (milliseconds)만큼 잠시 정지했다가 시간이 지나면(AUTO_LAND) 착륙한다.

====

원문 : http://ardupilot.org/copter/docs/rtl-mode.html

이전글 : 자동(AUTO) 모드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6. 29. 22:20

자동(Auto) 모드에서는 콥터가 비행 콘트롤러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프로그램된 미션 스크립트를 따라 비행한다. 미션스크립트는 항법명령(즉, 웨이포인트(Waypoint))와 "실행(do)" 명령(카메라 셔터 터뜨리기 등 콥터의 위치와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명령)으로 구성된다. 이 페이지는 자동모드에 대한 개요이다.

미션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는 미션 계획하기(Waypoints and Events) 를 팜고하라. 미션 스크립에서 지원되는 명령 전체는 콥터 미션 명령 목록(Mission Command List) 페이지를 참고하라.

개요

자동(Auto) 모드는 AltHold 모드에 있는 고도제어 기능과, 로이터(Loiter) 모드의 위치제어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들 모드로 잘 날릴 수 있기 전에는 자동모드를 시도해서는 안된다. 진동수준 및 전자나침반 자기장 간섭이 허용 범위 이내이고, HDOP가 2.0 이하를 포함하여 GPS가 잘 동작하는 등의 요구사항도 동일하다.

제어

자동 모드는 비행모드 스위치에 비행모드 중 하나로 설정해두어야 한다.

콥터가 착륙해 있는 상태에서 미션을 시작하려면, 조종사는 쓰로틀이 완전히 아래에 있는지 확인한 후, 자동(Auto) 모드 스위치를 켠 후 쓰로틀을 올린다. 쓰로틀이 0 이상으로 올라가는 순간 콥터는 미션을 시작한다.

콥터가 비행하는 도중에 미션을 시작하면, 비행모드가 자동(Auto)로 움직인 순간의 최초의 명령부터 시작한다. 미션 스크립트에 있는 최초의 명령이 이륙(take-off)인데, 이미 이륙 명령에 포함된 고도보다 높이 있다면, 이륙 명령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되어 다음 웨이포인트로 이동한다.

자동미션 수행중 언제든지 비행모드 스위치를 안정화(Stabilize) 혹은 로이터(Loiter) 등과 같이 다른 비행모드로 바꾸면, 조종사가 자동항법으로부터 제어권을 다시 가져올 수 있다. 조종사가 스위치를 다시 AUTO 로 바꾸면 미션은 초음 명령으로부터 다시 시작한다.

자동미션 수행중에는 조종사의 roll, pitch 및 쓰로틀 입력이 무시되지만, Yaw만은 Yaw 스틱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콥터가 미션을 수행중에도 콥터의 기수방향(카메라가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경우)을 빠꿀 수 있다. 기체가 다음 웨이포인트를 통과하면, 자동항법이 Yaw 제어를 다시 가져간다.

미션은 미션플래너의 비행계획(Flight Plan) 화면을 통해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미션에서 지원되는 명령 목록 및 이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콥터 미션 명령 목록(Copter Mission Command List) 페이지를 참고하라.

미션 종료(Ending Mission)

미션은 일반적으로 마지막 명령으로 RTL을 넣어, 미션을 완료한 후 원점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지점에서 착륙(LAND) 시킬 수도 있다. 맨 끝에 RTL이나 LAND 명령이 없으면 마지막 웨이포인트에 스냥 정지하므로, 조종사가 송신기로 제어를 가져와야만 한다.

RTL시 기억해야 할 것은, 콥터가 시동을 건 지점인 "Home" 위치로 돌아온다는 점이다.

콥터가 미션을 끝내고 착륙하면, 조종사는 쓰로틀을 맨 아래로 내려야 한다. 그후, 자동항법도 착륙했다고 판단한다면 모터를 시동 해제한다.

튜닝(Tuning)

자동(AUTO) 모드는 고도유지(AltHold) 모드의 고도제어 기능과 로이터(Loiter) 모드의 위치제어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콥터의 최대 수평속도는 미션플래너의 Config/Tuning -> Copter Pids 화면에서 Speed(WPNAV_SPEED) 파라미터 (윗 그림에서 파란색)를 수정하면 조정할 수 있다. 기본값 500은 초속 5미터를 의미한다. 전형적인 콥터는 최대 10 m/s ~ 13 m/s (즉 1000 ~1300)까지 도달할 수 있다. 그보다 높으면 수직 속도 및 수평속도를 모두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수직 상승 및 하강속도도 이와 비슷하게 Speed Up (WPNAV_SPEED_UP) 및 Speed Dn (WPNAV_SPEED_DN) 파라미터로 조정할 수 있다.

Radius 파라미터는 콥터가 해당 웨이포인트 위치에 얼마나 접근을 해야 "완수(complete)"했다고 간주하고 다음 웨이포인트로 이동할 지를 제어하는 변수이다. 이는 웨이포인트 명령에 1초 이상의 지연(delay)가 포함되어 있을 때만 적용된다. 

지연이 없을 경우, 웨이포인트는 "fast waypoint"로 간주되어, 콥터가 추적하고 있는 중간 목표(intermediate target)이 웨이포인트에 도달하면 다음 웨이포인트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중간 목표는 콥터의 10미터 전방 혹은 그 이상일 수 있다. (그 거리는 Speed 파라미터가 크면 증가한다.) Without a delay the waypoint is considered a “fast waypoint” and the copter will begin towards the next waypoint once the intermediate target that it is chasing has reached the waypoint. This intermediate target can be 10m or more ahead of the copter (it’s distance ahead of the copter increases with the Speed parameter).

===

원문 : http://ardupilot.org/copter/docs/auto-mode.html

이전글 : 위치고정(PosHold) 모드

다음글 : 귀환(RTL) 모드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6. 29. 22:19

위치고정(PosHold) 비행모드(예전에는 "하이브리드(Hybrid)"라고 함)는 AC3.2 에서 새롭게 등장한 모드이다. 기체를 일정한 위치, 기수방향 및 고도를 유지하게 한다는 점에서는 로이터 모드와 비슷하지만, 조종사 스틱 입력이 직접 기체의 기술기각도를 제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좀더 "자연스러운" 느낌을 제공하여 인기가 있다.

개요

스위치를 켜면 위치고정(PosHold) 모드는 자동적으로 현재의 위치, 방향 및 고도를 유지하려고 시도한다. 로이터 성능이 좋으려면 GPS 위치가 좋고, 전자나침반 자기 간섭이 낮으며 진동이 낮아야 한다. 자기장 간섭 및 진동 측정에 관한 내용은 로그를 이용한 문제진단를 보라


제어

조종사는 제어스틱을 사용하여 콥터의 위치를 수평/수직으로 제어할 수 있다.

  • 수평위치는 Roll, Pitch 스틱으로 제어한다. 최대 기울기각도 기본값은 45도이다.(ANGLE_MAX 파라미터로 조정 가능) 조종사가 스틱을 놓으면 곱터가 수평으로 돌아와서 기체를 정지시킨다.
  • 고도는 고도유지(AltHold) 모드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쓰로틀 스틱으로 제어할 수 있다.
  • 기수방향은 Yaw 스틱으로 설정할 수 있다.
  • PosHold 모드 상태에서도 시동을 걸 수 있지만, GPX가 3D로 고정되고, HDOP가 2.0 이하이어야만 된다.

APM2 보드의 경우, 3D 로 고정되면 보드의 푸른 색 LED가 계속 불이 들어온다. 픽스호크의 경우 LED가 초록색이 된다. (자세한 LED 패턴은 여기를 보라)

HDOP 값을 확실하게 보려면, 미션플래너의 Quick 스크린을 더블클릭하고 나타나는 항목중에서 "gpshdop"를 선택하면 된다.

최대 브레이크각은 PHLD_BRAKE_ANGLE 파라미터에서 설정할 수 있다. (3000 은 정지시 역방향 기울기가 최대 30도를 의미한다.)

기체가 정지시 최대각으로 회전하는 속도는 PHLD_BRAKE_RATE 파라미터로 설정할 수 있다. (8은 초당 8도로 회전함을 의미한다.)

===

원문 : http://ardupilot.org/copter/docs/poshold-mode.html

이전글 : 로이터(Loiter) 모드

다음글 : 자동(AUTO) 모드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6. 29. 22:19

로이터 모드에서는 자동적으로 현재의 위치, 기수 방향 및 고도를 유지하려고 시도한다. 로이터모드에서는 조종사가 콥터를 마치 수동 비행 모드인 것처럼 날릴 수 있지만, 스틱을 놓으면 천천히 정지하고 위치를 유지한다.

로이터 성능이 잘 발휘되려면 GPS가 잘 고정되고, 전자나침반 간섭이 낮고, 진동수준이 낮아야 하는 등이 모두 중요하다.


제어 (Controls)

조종사는 스틱을 사용하여 콥터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 수평 위치는 Roll/Pitch 스틱으로 조종할 수 있다. 최대 수평 속도는 기본값이 5 m/sec이다. (이를 조정하려면 아래 Tuning 절을 보라) 조종사가 스틱을 놓으면 속도를 줄이고 정지한다.
  • 고도는 고도유지(AltHold) 모드와 마찬가지로 Throttle 제어 스틱으로 제어할 수 있다.
  • 기수 방향은 Yaw 스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로이터 모드에서도 기체를 시동을 걸 수 있지만, GPS가 3D로 고정되고, HDOP가 2.0 이하로 떨어질 때만 가능하다.  LED 패턴을 확인하라.

튜닝(Tuning)

로이터 모드는 고도유지(AltHold) 모드에 들어 있는 고도 제어기를 포함하고 있다. AltHold 모드 튜닝은 여기에 자세한 내용이 있다.


WPNAV_LOIT_SPEED : (위 그림에서 제일 오른쪽 아래 Loiter Speed 항목) 최대 수평속도(cm/s) 즉 500이면 5m/s. 기본값은 최대 가속도가 로이터 속도의 1/2이다. (즉 최대가속도 2.5m/s/s)

WPNAV_LOIT_MAXA : 최대 가속도(cm/s/s). 값을 크게하면 콥터가 좀더 빨리 가속하고 정지한다.

WPNAV_LOIT_MINA : 최소 가속도(cm/s/s). 값을 크게하면 스틱을 놓았을 때 콥터가 좀더 빨리 정지하지만, 콥터가 정지할 때 덜컹거림이 커진다.

WPNAV_LOIT_JERK: 최대 가속도 변화(cm/s/s/s). 높은 값을 주면 기체의 반응성이 높아지고, 낮은 값을 주면 비행이 부드러워진다.

POS_XY_P : (위의 그림에서 우 상단 Loiter PID P로 표시) 수평위치 오차(즉, 원하는 위치와 실제 위치와의 차이)를 목표 위치로 향하는 원하는 속도로 변환한다. 대부분 이를 수정할 필요는 없다.

VEL_XY_P : (위 그림에서 "Rate Loiter P, I and D") 목표로 향하는 원하는 속도를 원하는 가속도로 변환한다. 결과 원하는 가속도는 기체 기울기 각도가 되어, 안정화(Stabilize) 모드에서 사용되는 각도 제어기로 전달된다. 대부분 이를 수정할 필요는 없다.

일반적인 문제

  1. 조종사가 스틱을 놓은 후, 기체가 아주 천천히 정지함.('화물차 정지(freight train stop)'라고 함) 이는 WPNAV_LOIT_MAXA 값 (500 정도??) , WPNAV_LOIT_MINA 값 (100정도로), WPNAV_LOIT_JERK 값 (4000 정도로) 을 올리면 해결된다.
  2. 기체가 회전함("변기물빠짐(toiletbowls)" 라고 함) 일반적으로 전자나침판 문제로 인해 발생하며, 비행콘트롤러 밑에 전원 선으로부터 자기간섭 문제이다. Compassmot 를 수행하거나, GPS+전자나침반 모듈을 구입하면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라이브 캘리브레이션중 전자나침반 오프셋이 잘못 설정되었거나, 전자나침반 방향을 잘못 설치했을 가능성도 있다.
  3. 로이터 모드로 들어가자마자 기체가 잘못된 방향으로 이륙한다. 전자나침반 오류가 90도 이상이라는 것 외에는 원인이 #2와 동일하다. #2와 동일한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4. 기체가 정상적으로 잘 로이터링하다가 갑자기 다른 방향으로 이륙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GPS Glitch(GPS가 갑자기 신호를 잃고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튀는 현상. 멀티패쓰로 발생할 수 있지만, 아주 가끔은 장애물이 전혀 없는 곳에서도 발생함)로 인해 발생한다. 이를 100% 신뢰성 있게 방지할 방법은 없다. 따라서 조종사는 수동 제어로 넘겨받을 수 있도록 항상 준비하고 있어야 한다. 이륙전 GPS HDOP를 잘 확보하는 것이 좋으며, GPSGLITCH_RADIUS 또는 GPSGLITCH_ACCEL 파라미터를 줄이면 도움이 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GPS Glitch 페이지를 참고할 것)

미션플래너에서 HDOP 표시

미션플래너 Quick 스크린 화면을 더블클릭 한후, "gpshdop"를 선택하면 HDOP 값을 확실하게 찾아볼 수 있다.

dataflash 로그를 사용하여 로이터 모드 성능 확인하기

로이터 모드의 수평 위치 성능은, dataflash 로그를 다운로드 받은 후, 미션플래너에서 NTUN 메시지 중 DesVelX 와 VelX, DesVelY 와 VelY 를 그래프로 그려보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성능이 좋은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이 콥터의 실제 속도가 원하는 속도를 뒤쫒아 간다. X= 위도(+는 북쪽, -는 남쪽), Y= 경도(+는 동쪽, -는 서쪽)

고도 유지 성능 확인 방법은 AltHold 모드와 동일하다.

OF_LOITER 모드 (사용되지 않음)

OF_LOITER는 더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Copter 예전버전(3.2.1 이전)에서 이 특별한 Loiter 모드는 Optical Flow 기기를 이용하여 위치를 유지하였다. 새로운 버전(3.3.3 이상)에서는 일반 Loiter 모드에서도 PX4Flow 센서를 사용한다.

====

원문 : http://ardupilot.org/copter/docs/loiter-mode.html

이전글 : 고도 유지(Alt Hold) 모드

다음글 : 위치고정(PosHold) 모드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6. 29. 22:19

고도유지 모드에서는 roll/pitch/yaw 입력은 평상시처럼 제어할 수 있되, 콥터가 고도를 일관성있게 유지한다.

개요

고도유지(AltHold) 모드가 선택되면, 현재의 높이를 유지하기 위해 쓰로틀이 자동 제어된다. Roll, Pitch, Yaw는 안정화(Stabilize)모드와 동일하게 작동된다. 즉, 조종사가 Roll/Pitch 방향의 기울기 각도 및 기수방향(heading)을 직접 제어한다.

자동 고도유지는 다른 많은 비행모드(로이터, 스포츠 등)의 기능이므로, 여기에 있는 정보는 이들 모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참고 : 비행콘트롤러는 고도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압계를 사용한다. 따라서 극단적인 날씨 등으로 인해 비행지역에서 기압이 변하면, 콥터는 실제 고도가 아닌 기압 변화를 따라가게 된다. (예외로 지상에서 6-7미터 이내에 있고 SONAR를 탑재하고 활성화 시켰을 경우는 이를 사용한다.) 26피트 (8미터) 이하에서는 SONAR(활성화되어 있을 경우)가 자동적으로 훨씬 정확한 고도를 제공한다.

제어(Controls)

조종사는 쓰로틀 스틱을 사용하여 기체의 상승/하강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 쓰로틀 스틱이 중앙 부근(40% ~ 60%)에 있다면 기체는 현재의 고도를 유지한다.
  • 쓰로틀 중앙 불감대역(deadband)을 벗어나면(즉 40% 이하거나, 60% 이상일 때) 기체는 스틱이 얼마나 기울어졌는지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쓰로틀 스틱을 완전히 내리면 콥터는 2.5m/sec 속도로 하강하며, 스틱을 완전히 올리면 2.5m/sec 으로 상승한다. 이 속도는 PILOT_VELZ_MAX 파라미터로 조정할 수 있다.
  • 불감대역의 범위는 THR_DZ 파라미터(AC3.2 이상)를 사용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 파라미터는 0과 400 사이여야 한다. 0은 불감대역이 없다는 뜻이며, 100은 쓰로틀 중앙점에서 10% 이상 및 이하 사이를 불감대역으로 만든다. (즉, 쓰로틀 스틱 40%-60% 범위가 불감대역이 된다.)

AC3.1 이후에서는 고도유지 모드에서도 시동/시동해제가 가능하다. 시동해제를 하면, 콥터를 착륙지점에서 몇 초정도 가만히 있도록 하여, "착륙 점검기(landing checker)"가 착륙했는지를 확인시켜야 한다. 이후에야 시동해제를 시킬 수 있다.

튜닝(Tuning)

AltHold P 는 높이오차(희망 높이와 실재 높이와의 차이)를 상승/하강 속도로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높은 값을 두면 좀더 공격적으로 고도를 유지하려고 시도하지만, 너무 높이면 쓰로틀 반응이 홱홱 날카로워진다.

Throttle Rate (대부분 튜닝이 필요없음) 희망 상승/하강 속도를 원하는 상하 가속도로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The Throttle Accel PID 이득값은 가속도 오차(즉 희망 가속도와 실재 가속도간의 차이)를 모터 출력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이 파라미터를 수정할 경우, P:I 의 비율은 1:2로 유지해야 한다. (즉, I 값을 P 값의 두배로) 이 값은 절대 증가시켜서는 안되지만, 매우 강력한 콥터의 경우, P와 I를 50% (즉, P 는 0.5, I 는 1.0) 내리면 더 반응이 좋아질 수 있다.

dataflash log를 사용하여 AltHold 성능 검증하는 방법

고도유지 모드의 성능은 해당 비행의 데이터플래시 로그를 다운로드 받은 후, 미션플래너에서 기압계 고도, 희망 고도, 관성항법 기반의 고도 추정값을 그래프로 표시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 데이터는 버전과 보드의 종류에 따라 약간 다른 행에 나타난다.

APM AC3.1의 경우

CTUN의 BarAlt (기압계 고도), WPAlt (원하는 고도)와 GPS 메시지에 있는 RelAlt(관성항법 고도추정)

APM AC3.2 이상 또는 Pixhawk 

CTUN의 BarAlt(기압계 고도), DAlt(원하는 고도), Alt (관성항법 고도 추정)

이 세가지항목은 아래와 같이 서로 잘 추적해야 한다.

일반적인 문제점

  1. 진동이 심하면 고도유지모드로 들어가자 마자 콥터가 빠르게 상승할 수 있다. 진동을 측정하고 줄이는 방법을 참고하라.
  2. 콥터가 천천히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조종사가 안정화모드(Stabilize)에서 제어를 되찾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현상은 쓰로틀 스틱이 중앙 위치가 아니기 때문에 발생한다. 가장 흔한 경우는 쓰로틀 중앙에서 호버링하지 않는 콥터를 조종사가 수동비행모드(Stabilize 등)에서 AltHold 로 바꿀 때 발생한다. 쓰로틀 중앙 위치 설정 페이지를 참고하라.
  3. AltHod 모드로 전환한 직후 잠시동안 모터가 정지한듯 하다가 금방 회복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빠르게 상승하는 동안 AltHold 모드로 바꿨을 때 발생한다. 목표 고도는 조종사가 Alt Hold 모드로 들어갔을 때의 순간에 설정되지만, 기체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기체가 목표지점 위에서 날고 있는 상태가 된다. 공격적인 고도유지 제어기는 일단 잠시 모터 속도를 최저수준으로 줄인뒤 목표 고도로 되돌아가기 시작한다. 안정된 고도에서 비행하는 중 AltHold 모드로 들어가면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4. 대기압 변화가 있으면 기체가 장시간에 걸쳐 몇 미터 정도 천천히 상승 또는 하강한다. 또는 지상국에 표시된 고도가 몇미터 정도 부정확할 때(경우에 따라서는 음수로 표시되기도 함)에도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
  5. 콥터가 고속으로 전진한 뒤 수평을 잡을 때 순간적으로 고도가 1m-2m 정도 떨어진다. 이는 공기역학적 효과 때문으로, 비행 콘트롤러가 설치된 콥터의 꼭대기에 순간적으로 저압 공기방울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제어기는 기체가 상승하고 있다고 믿어 하강 반응을 하는 것이다. 현재로서는 이런 행태에 대해 교정할 방법이 없다. 단 [INAV_TC_Z] 파라미터를 7로 (기본값은 5) 올리면 이 효과를 줄일 수 있지만, #1에서 언급한 상황이 더 크게 나타나게 된다.
  6. 지상에 가깝거나 착륙중에 고도 유지가 잘 안된다. 이는 prop-wash로 인해 발생하는 기압 변화에 의해 기압계가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발생한다. 해결책은 비행콘트롤러를 prop-wash가 없는 지역으로 이동시키거나, 적절하게 환기가 잘되는 울타리 안에 보호하는 것이다. ??  shield it within an appropriately ventilated enclosure.
  7. 기압계를 살짝 건드리면 고도가 갑자기 변한다. 2013년 중반 이후 판매된 APM2.x 는 케이스 내부에 검정 테이프로 처리하여 이를 방지하고 있다.

적절한 동력

기체에 충분한 동력이 있어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동력이 충분하지 못하면 AltHold 와 고도 제어기가 모터에서 사용가능한 것보다 더 많은 동력을 요구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일부 제어를 포기함으로써 고도나 자세를 잃어버리게 된다.

이상적으로 기체는 50% 쓰로틀 (스틱 중앙 위치)에서 호버링할 수 있어야 하며, 70% 이상이면 위험하다.

경고 : 송신기에 expo를 도입하면 Alt Hold 쓰로틀 불감대역의 크기가 커진다. ???? If you incorporate expo on your transmitter, that directly increases the size of the Alt Hold throttle dead band.

===

원문 : http://ardupilot.org/copter/docs/altholdmode.html

이전글 : 안정화(Stabilize) 모드

다음글 : 로이터(Loiter) 모드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6. 29. 22:19

Stabilize 모드는 기체를 수동으로 날릴 수 있지만, roll/pitch 축에 대한 수평은 유지된다.

참고 : 조종을 배우는 중이라면 AltHold 모드 혹은 Loiter 모드를 시도하라. 한번에 너무 많은 콘트롤할 필요가 없어서 충돌 위험이 낮아진다.

개요

  • 조종사의 roll/pitch 입력이 곱터의 기울기 각도를 제어한다. 조종사가 스틱을 놓으면 기체는 자동적으로 수평을 잡는다.
  • 기체가 한자리에 머물도록 하려면, 조종사는 자주 roll/pitch 명령을 입력해야 한다. 바람에 의해 밀리기 때문이다.
  • 조종사의 Yaw 입력은 기수방향의 변화율을 제어한다. 조종사가 yaw 스틱을 놓으면 기체는 현재의 기수방향을 유지한다.
  • 조종사의 Throttle 입력은 모터의 평균속도를 제어한다. 즉, 고도를 유지하려면 Throttle을 계속 조종해야 한다. 조종사가 Throttle을 완전히 아래로 내리면, 모터는 최저속도(MOT_SPIN_ARMED)로 내려오고, 이때 기체가 날고 있다면 고도제어를 잃고 추락하게 된다.
  • 모터에 보내진 Throttle은 기체의 기울어진(tilt) 각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즉, 기체가 기울어져 있을 수록 증가된다.) 기체의 자세변화에 따라 조종사가 해야할 보정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참고 : 조종사가 기체의 제어를 잃으면, Stabilize 모드와 같은 매뉴얼 모드로 전환하라. 콥터의 제어를 유지하는 것은 당신의 책임이 된다.

튜닝

AC3.1 이후 버전에는 최적의 Stabilize 와 Rate PID 값을 자동적으로 결정해 주는 AutoTune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수동으로 PID 값을 조정하는 것보다, AutoTune을 수행할 것을 강력하게 추천한다.

  • ANGLE_MAX는 최대 기울기 각으로 기본값은 4500(즉 45도)이다.
  • ANGLE_RATE_MAX는 roll과 pitch 축에서 최대 요청 회전률을 제어하며, 기본값은 18000(180도/초)이다.
  • ACRO_YAW_P는 조종사의 yaw 입력에 근거해 콥터를 얼마나 빨리 회전시킬 것인가를 제어한다. 기본값인 4.5는 yaw 스틱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완전히 밀었을 때 200도/초 로 회전하도록 한다. 높은 값을 줄 수록 빨리 회전한다.
  • Stabilize Roll/Pitch P 는 조종사의 입력에 대한 콥터의 roll/pitch의 반응성과, 원하는 roll/pitch 각과 실제 roll/pitch각의 오차를 제어한다. 기본값인 4.5는 각도에서 1도만큼 오차가 발생하면 4.5도/초 로 회전하라는 명령을 주게 된다. 높은 이득, 예를 들어 7 또는 8은 콥터의 반응성을 높이고, 돌풍에 더 빠르게 저항한다.
    • 낮은 statbilize P는 콥터를 매우 천천히 회전하게 하여, 콥터의 반응성을 떨어뜨리고, 바람이 교란할 경우 추락할 수 있다. 만약 부드럽게 비행하고 싶은 목적이라면, stabilize P 값 대신, RC_Feel 매개변수를 먼저 낮춰보라.
  • Rate Roll/Pitch P, I, D 항은 위에서 언급한 Stabilize(즉 각도 angluar) 제어기로부터 생성된 원하는 회전각에 근거하여,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항이다. 이들항은 일반적으로 콥터의 출력:무게비와 관계있다. 즉, 출력이 큰 콥터는 rate PID 값을 적게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추력이 큰 콥터는 Rate Roll/Pitch P 값이 0.08일 때, 추력이 작은 콥터는 0.18 또는 더 큰 값을 가지게 된다. 
    • Rate Roll/Pitch P 값은 콥터를 올바르게 튜닝할 때 가장 중요한 값이다.
    • P값이 높을수록 원하는 회전률을 획득하기 위한 모터의 반응이 빠르게 된다.
    • 표준적인 콥터의 P 기본값은 0.15 이다.
    • Rate Roll/Pitch I는 콥터를 오랜시간에 걸쳐 원하는 회전률을 유지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외부 힘을 보상하는데 사용된다. 
    • I 항이 높으면, 원하는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빠르게 증가하며, overshoot를 방지할 수 있도록빠르게 감소한다.
    • Rate Roll/Pitch D 는 원하는 설정점을 향한 콥터의 가속도 반응성을 약화시키는 데 사용된다. 
    • D 값이 높으면 아주 이상한 진동과, "memory" 효과가 발생하여, 제어가 아주 늦거나 반응성이 떨어지는 느낌이 든다. 적절하게 설치된 제어기는 Rate D 값을 0.011을 허용해야 한다.???
    • 기체에 따라 다르지만, 최저 0.001에서 최고 0.02까지의 값이 사용된다. 

dataflash logs에서 성능 검증하는 방법

dataflash 로그를 다운로드 받아, 미션플래너에서 열고, ATT 메시지의 DesRoll (조종사가 원하는 roll 각도)와 Roll(실제 roll), 그리고 DesPitch(원하는 pitch 각도)와 Pitch(실제 pitch)를 그려보면 stabilize 모드 성능을 잘 살펴볼 수 있다. 이 두가지는 아래에서 보는 것처럼 잘 추적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문제

  • 새로운 콥터가 이륙하자마자 뒤집어진다. 이는 일반적으로 모터 순서가 올바르지 않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프로펠러를 잘못 끼웠을 때 발생한다. 
  • 콥터가 roll/pitch축으로 뒤뚱거리듯 흔들린다. 이는 대부분 Rate P 값이 잘못되었을 때이다. 이에 기술한 튜닝 부분을 읽어보라.
  • 빠르게 하강할 때 콥터가 뒤뚱거리듯 흔들린다. 이는 콥터가 자신의 prop wash 속으로 낙하하기 때문으로, Rate Roll/Pitch P 값을 올리면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이를 제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 콥터가 이륙시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15도를 튼다. 일부 모터가 똑바르지 않거나, ESC가 교정이 안되어 있을 수 있다.
  • 콥터가 바람이 없는 환경에서도 한쪽 방향으로 가는 경향이 있다. SaveTrim 혹은 AutoTrim을 시행하라.
  • 콥터가 고도를 유지하지 않고, 공중에 완전히 조용하게 머무르지 않는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Stabilize 모드는 수동 비행모드이기 때문에, 고도와 위치를 유지하려면 스틱을 계속 조정해야 한다.
  • 가끔씩 roll/pitch 방향으로 움찔거른다. 일반적으로 수신기에 무언가의 간섭으로 발생한다. (예를 들어 FPV 장비를 수신기에 너무 가깝게 설치하였을 때) 또는 ESC 문제일 수도 있는데, 이는 ESC 교정으로 해결될 수 있다.
  • 비행중 갑자기 뒤집힌다. 이는 거의 항상 모터 또는 ESC의 기계적인 고장으로 발생한다.

===

원문 : http://ardupilot.org/copter/docs/stabilize-mode.html

이전 글 : 콥터 비행모드(Copter Flight Modes)

다음 글 : 고도 유지(Alt Hold) 모드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6. 29. 22:18

비행모드(Flight Modes)

이 글은 Copter에서 사용가능한 비행모드에 대한 개요와, RC 송신기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글이다.

개요

Copter에는 14개의 내장 비행모드가 있으며, 그중 10개는 자주 사용된다. 여러가지 비행 안정화(flight stabilization) 수준/종류를 지원하는 모드, 복잡한 자동항법, 나를따르라(follow-me) 시스템 등이 있다. 
비행모드는 무선(송신기 스위치를 통해)이나 미션 명령을 통해 제어하거나, 지상국(GCS : Ground control System) 이나 보조 컴퓨터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추천 비행모드

일반적으로 처음 콥터를 사용하기 시작할 때, 아래에 나열된 순서대로 비행모드를 진행시켜야 한다. 이때, 다음 모드로 진행하기 전에 이전 모드에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기타 비행모드는 다음과 같다.

  • Acro
  • AutoTune
  • Brake
  • Circle
  • Drift
  • Guided (and Guided_NoGPS)
  • Land
  • PosHold
  • Sport
  • Throw
  • Follow Me
  • Simple and Super Simple
  • Avoid_ADSB : ADS-B 기반 유인항공기 회피모드. 조종사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해서는 안된다.

대부분의 송신기는 비행모드 스위치로 3-위치 스위치를 사용하지만, 6-위치 비행모드 스위치로 설정하는 방법도 있다.

GPS 의존성

GPS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는 비행모드는 이륙전 GPS 가 고정되어야 한다. 사용하는 비행콘트롤러가 GPS 고정 했는지 알아보려면, 지상국과 연결하거나, 비행콘트롤러 하드웨어 개요에서 GPS가 고정되었을 때 LED 가 어떻게 표시되는지를 살펴보라. 아래는 콥터의 비행모드에 대한 GPS 의존 여부를 요약한 것이다.

이륙전 GPS 고정이 필요한 모드

GPS 고정이 필요하지 않은 모드

비행모드 전체 목록

===

원문 : http://ardupilot.org/copter/docs/flight-modes.html

다음글 : 안정화(Stabilize) 모드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6. 26. 15:03

6/19

대학생 스타트업 드론 충전, 데이터 전송가능한 스테이션 개발

EU, 2019년부터 모든 드론 전자등록 의무화

MMC의 전원공급형 Tethered 드론 시스템, 비상시 통신스테이션으로

ERAU, 국방부로부터 완전자율운항 드론 개발로 1백만달러 연구비

오퍼레이터 없이 지도제작하면서 미션플래닝. 

PhoneDrone Ethos, 스마트폰을 꽂아서 날리는 드론

Phonedrone Ethos

6/21

SureFly, 하이브리드 헬리콥터 슈퍼플라이. 옥타콥터. 연료/배터리, 가격 20만 달러 , CNet 화보

중국 징둥닷컴(JD.com) 드론으로 시골까지. 배송비 70% 절약예정

가트너의 드론 시장 분석 전망 물류신문

아마존, 카메라와 마이크를 사용하여 비행체 궤적 예측, 회피하는 드론  특허 신청

러시아 Kalashnikov 그룹, 정찰용 무소음 모드 드론 시판. 7.5kg, 60배 광학줌 카메라

오하이오 공항, 드론 연구 지원위해 레이더 장비 취득

미국 미사일방어위, 레이저로 미사일 격추시키는 고고도 드론 개발 요청

boeing MDA drone concept

6/23

아마존, 벌집형 '물류배송타워' 특허 출원

아마존의 드론을 활용한 '물류배송 타워'  width=

서울시, 드론으로 한강교량 취약지점 안전점검

고사위기에 몰린 韓 드론업계. 산업용 드론까지 접수하는 중국 - 소프트웨어와 기초부품에 투자 필요

고사 위기 몰린 韓 드론업계…산업용 드론까지 접수하는 中

한전, 자율비행 드론 설비진단 기술공개

Pegasus 1, 도버해협을 건넌 비행 자동차(자이로플레인?)등  파리 에어쇼에 등장

France Paris Air Show

NASA의 Safe2Ditch, 모터등 고장파악후 장애물 교통등 인지하여 비상착륙 기술

6/24

WiFi 신호를 사용하여 건물 내부를 매핑하는 드론

UC Santa Barbara Drones 3D imaging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1. 일반적인 정보

- STEPCRAFT HFS(High Frequency Spindle) 과 제어기 관련 정보

2. 디자인 및 기능

3. 시작

3.1 스핀들 클램핑

- 별도의 어댑터 없이 기계에 부착된 43mm Euro-tensioning 시스템에 고정됨
- shaft lock 버튼(4)를 앞쪽으로 고정해야 비트 고정이 쉬움
- 케이블과 호스를 걸리적 거리지 않게 설치할 것

3.2 환경 요구조건

- 공간확보, 먼지 없도록, 18도에서 25도 사이.
- 직사광선 및 열원 피할 것. 조명 공급. PC를 가까운 곳에 설치

3.3 제어기 전원 연결

- STEPCRAFT 3D 시스템을 15pin Sub-D 케이블로 연결

3.4 비상 정지

- 비상정지스위치를 누르면 기계 동작이 정지됨. 전원도 ㅊ단됨.
- 다른 회사 제품을 사용할 경우, 비상정지와 연동시키는 것은 본인의 책임

3.4 액세서리

COLLETS

- collet ER11은 별도로 구매해야 함. 

삽입 비트

- 큰 커터를 사용하면 과부하가 걸릴 수 있음. 진동도 발생할 수 있음. 

2-flute-fish downcut/ 2-flute-fish upcut

End Mill Diamond

End Mill Single-Flute

End mill spiral (downcut)

Radius Mill ECO

V bit

=====

4. 작동 제어/스핀들

4.1 작업자

- 부상위험. 사고방지 지침 따를 것

4.2 제어 유닛

- 제어유닛에 전원을 연결하면 스핀들 엔진에 연결됨. 성공적으로 연결되면 성공확인 소리
- (3)으로 속도를 설정한 뒤 (2)를 누르면 정해진 속도로 회전. 동작중에도 (3)으로 속도변경가능

- 소프트웨어적으로도 속도 변경가능

4.3 스핀들

- 비트바꾸기

4.4 Collets 교체

- 비스듬히 밀어넣다가 찰칵소리가 들리면서 고정됨. 이후에 비드를 끼울 수 있음

4.5 비상정지 스위치

- STEPCRAFT 3D 시스템 전면에 있음. 누르면 기계및 스핀들이 정지됨.
- 즉시 셧다운 되고 데이터 손실됨.

4.5.2 스핀들 ON/OFF 및 비상정지기능 테스트

매뉴얼 테스트

- CNC 라우터/STEPCRAPT 3D 시스템 제어 소프트웨어 시작
- 스핀들 설치
- HFS 제어기 전원 온. 확인음향
- 제어소프트웨어에서 시그날 테스트 I/O 를 선택함. 스핀들 시작됨
- 비상정지버튼 누름

자동 테스트

- 다음과 같은 파일 준비

- CNC 제어 소프트웨어 시작
- 기계에 스핀들 설치
- HFS 제어기 전원 온. 확인 음향
- CNC에서 homing sequence 시작
- 위 파일을 Load
- gantry를 (X,Y,Z) 중간으로 옮기고 zero point로 저장
- 프로그램시작. 40mmx40mm 사각형을 그린 후 정지할 것임.
- 다시시작하고 프로그램 중간에 비상정지 버튼을 누르고, 즉시 반응하는지 확인할 것

4.6 속도 및 Feed 설정

- 많은 분야, 액세서리의 경우 최대속도로도 좋은 성능을 발휘하지만, 특정 분야나 재료의 경우 속도를 낮춰야 할 수 있다. 그래서 가변속도 제어가 중요함
- 플라스틱, 귀중한 재료 등은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려야 함. 고속의 경우 저항으로 열이 발생하여 재료와 도구에 손상을 일으킴
- 딱딱한 나무와 금속은 빠른 속도가 요구됨
- 아래는 재료/액세서리별 회전/이동속도를 정리한 표임.
- 실재로는 이 표를 참조하되, 실제로 시험해 본 뒤 작업하는 게 좋음. 예를 들어 플라스틱의 경우 낮은 속도로 시작했다가 속도를 올리면서 플라스틱이 녹는 지 확인한 후 속도를 약간 내리면 가장 효율적인 속도가 됨.

회전/이동속도/깊이에 관한 대략적인 기준
    1. 플라스틱 등 낮은 온도에서 녹는 물질은 낮은 속도로 절단
     2. 나무는 높은 속도
    3. 하드우드, 탄소섬유, 알루미늄은 높은 회전속도. end mill 이 덜거덕 거리면 속도가 느리다는 뜻. 혹은 이동속도/깊이를 줄여야 함.
    4. 알루미늄, 구리, 청동은 절단종류에 따라 속도가 달라짐. 소재가 커터날에 달라붙지 않도록 end mill 에 적절한 오일을 사용해야 함.
    5. 소재 성분을 점검할 것. 소재마다 특성이 있으며, 일부는 절단이 힘듬. 예를 들어 커팅/밀링에 적합한 합금이 아니라면 알루미늄은 절단이 힘듦

삽입 비트가 생각대로 성능이 안나온다면 액세서리를 잘못했던가, 회전/이동속도/기계설정이 잘못되었을 가능성 높음. 

MID : 최대 infeed 깊이
RPM : HFS의 분당 회전속도 (1000x)
V : 수평이동속도(X/Y 방향)
V↓ : 수직이동속도(Z 방향)
Φ : end mill의 직경

참고 : 이 표는 참고용임. 기계크기, 스핀들 조건, 삽입비드, 소재의 품질 등에 좌우됨
참고 : Engraving cutter(V-bit)는 회전속도 최대, 이동속도는 위표의 2배로. 최대깊이는 0.3mm

5. 기술적 사양

6. 운송/보관

7. 유지관리 정보

8. 고장

9. 부록

원문 :  https://www.stepcraft-systems.com/images/Service/EN_Operating-Instructions-HF350-500-v6.1.pdf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Desktop CNC-/3D-System

1. 일반적인 사항

1.1 이 매뉴얼에 대한 정보 및 설명

- 이 매뉴얼은 CND/3D 시스템에 익숙하게 하기 위한 것. 안전하게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 크기에 관계없이 적용가능
- 시운전 하기 전에 이 매뉴얼을 확실히 읽을 것. 

1.2 추가 매뉴얼

- 조립 매뉴얼
First Step

1.3 기계에 대한 설명

- 데스크탑 CNC-/3D 시스템. 나무, 플라스틱, 비철금속 등 가공
- 특별하게 개발된 알루미늄 압출에 기반한 시스템임. 다양한 기능(가이드, 드라이브, 먼지로부터 보호) 있음. 안정적이며, 비틀림에 강함.
- 3개의 축있음. 각 축마다 스테퍼 모터, 레퍼런스 스위치. 레퍼런스 스위치의 도움을 받아, 축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음.
- 테이블은 8.0mm - HPL(High Pressure Laminate) 재료를 테이블위에 직접 고정가능. 
- STEPCRAFT 시스템은 여러가지 다른 central 부품으로 구성됨. 사용가능하려면 다음과 같은 부품들이 필요함
    - 콘트롤/메인 보드 (USB 또는 패러랠 모듈) : 통합됨. 기계 뒷부분의 연결 패널을 보라.
    - shank 직경 43.0mm / 1.69 인치인 System guided 도구. 밀링 스핀들, drag 나이프, 3D 프린트 헤드, 또는 43mm 보다 작은 도구(적당한 어댑터 필요. 예 : CNC Plotter Pen)
    - cycle direction output 신호를 보내주는 제어 소프트웨어. 예 : WinPC-NC 또는 UCCNC
    - 적당한 PC
    - 연결 케이블

- 5.6에 옵션 액세서리 정보가 있음.

1.4 용도

- 개인사용자(모델 메이커) 또는 산업용에서 소량생산용.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음
- 비틀림 저항 구조로, 플라스틱, 나무, 비철 재료를 가고할 수 있음. 다음과 같은 제조공법
    - 머쉬닝 : 밀링, 플로팅, 커팅, Engraving, 스크래칭
    - 3D 프린팅
    - 기타 정밀 3D 위치가 필요한 공정. 측정, dosing

2. 안전

2.1 일반적 사항

2.2 작업자의 책임 및 작업 안전

2.3 개인 보호 장구

- 안전 장갑 및 안전 안경 착용

2.4 환경 조건

2.5 시스템 제어 

2.6 작업자

2.7 비상정지 스위치

- 기기 정면에 위치함. 누르면 모든 게 정지됨.

2.8 기타 위험성

3. 구조 및 기능

3.1 부품의 목적 및 기능

1. 머신 테이블.  적당한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이 위에 재료를 고정
2. 머신 테이블을 위한 부착 브래킷
3. 적절한 판재 재료를 고정하기 위한 통합 클램핑 시스템
4. 43mm(1.69인치) 장착장치 - 밀링스핀들, hot cutter, engraving point 등 장착가능
5. X축 가이드 
6. Y축 가이드 (청소 및 관리를 위한 inspection flap 포함)
7. Z축 가이드
8. X축 스텝모터
9. Z축 스텝모터
10. 비상스위치
11. 케이블 콜렉터. X/Z 모터/한계 스위치 케이블을 덮기위함
12. 뒷면. 커넥터 있음

4. 시운전

4.1 기계 설치

- 평평한 곳 안전한 곳. 미끄러지지 않게
- 움직이는 부품은 충돌하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확보
- 시스템 도구(밀링스핀들 등)용 케이블은 끼지 않도록 설치
- 잘 운영해야 함. 
- 비상스위치를 항상 접근가능하도록. 충분한 조명. PC와 기계를 가까운 곳에 위치하도록

4.2 환경조건

- 밀폐된 방. 먼지 없도록. 습도는 일반적인 한계 이내. 기온은 18도에서 25도 가 좋음
- 직사광선 및 열원을 피할 것

4.3 전기 연결

- 스텝모터, 스위치, 비상정지 스위치등 매뉴얼에 따라 연결
- 저전압 플러그는 기계 후면에 있는 유닛 콘트롤 연결 단자에 연결해야 함.
- 컴퓨터는 USB또는 패러랠로 연결. 연결 단자는 후면에. 

4.4 옵션 액세서리

4.4.1 시스템 가이드 도구

- 기계에는 43mm 직경의 도구고정기 있음. 두께는 10-12mm.  시스템가이드의 전원선은 X/Z 축의 케이블 콜렉터에 고정되어 있으며, "flying" 가이드로.
- 전원선이 충분히 길고 끼지않도록 할 것.
- 현재 다음과 같은 original 시스템 가이드 도구가 존재함

- HF 스핀들 : 밀링 및 Engraving. 나무, 플라스틱. 비철 금속
- 3D 프린트 헤드 :
- Cutter Holder/Foil 칼. 포일이나 종이를 자르는 도구
- Hot Cutter : 스티로폼 절단. hot wire와 함께 사용됨
- CNC 펜 - 종이나 천에 그리기 위하여 볼펜을 위한 특별한 홀더
- Engraving point : 플라스틱, 청동, 구리, 알루미늄, 철, 고급 철에 긁어주는 도구?

4.4.2 추가 액세서리

- 다음과 같은 original 액세서리가 존재함

- Tool length sensor : 스핀들 엔드밀의 바닥면을 측정하는 센서
- Circular 테이블 및 tailstock : 4축 CNC 밀링. 
- Exhaust adapter :  먼지 및 조각 모음
- 히팅 베드 : 3D 프린팅용 히팅 테이블
- 진공 테이블 : foil, 플라스틱 시트등 얇은 재표를 고정
- Clamping 액세서리 : 어댑터, 바이스, 고무 홀더, 알루미늄 T슬롯 테이블 등

4.5 머신 테이블

- 8mm 두께의 HPL(High Pressure Laminate)로 이루어져 있음
- 쉽게 교체 가능. 부착 브래킷(Attachment bracket)에서 2개의 나사 제거하면 전면에서 뽑아낼 수 있음

5. 머신 동작

5.1 작업자

5.2 재료

- 클램핑 시스템으로 재료를 직접 고정할 수 있음. 바이스를 테이블에 고정하는 방법도 있음
- 관통 밀링(절단)의 경우, 6mm MDF를 재료 밑에 설치하는 것을 추천함.
- 미끄러지지 않도록 재료를 확실하게 고정해야 함.
- 손으로 잡고 작업해서는 안됨

5.3 시스템 가이드 도구

- 각각의 도구별 관련 작동 매뉴얼을 숙지할 것.

5.3.1 드릴링/밀링 스핀들

5.3.2 절단 칼(Cutting knife)

5.3.3 열절단기(Hot cutter)

5.3.4 Engraving Point/플로터 펜

5.3.4 3D 프린트 헤드

5.4 비상 정지 스위치

- 전면에 위치함. 비상상황에서만 누를 것
- 즉시 기계가 정지되고 step loss, data loss 발생함.
- controlled stop은 소프트웨어만 가능
- 스위치를 오른쪽으로 하면 비상상태 해제. 작업절차가 재시작됨

5.5 시스템 동작/ 동작 요소

- PC에 의해 동작됨. PC 의 최소 요구사항

- 1GHz 이상의 프로세서
- XP, Vista, 7/8/10 32비트 64비트
- USB 2.0 (USB 허브는 사용하지 말것. 케이블 5미터 이하)
- 모니터, 그래픽카드 등 일반적 구성
- 전원절약 옵션 끄기

6. 기술적 데이터

6.1 크기 및 무게

6.2 Drive of the Machine

6.3 기타 사양

6.4 예비 부품

모든 부품 및 제어장치는 개별적으로 구입 가능
10.3에 정리된 내용으로 직접 접촉

6.5 Pin Assignement Chart

7. 운반/저장

8. 유지관리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1. 일반적 사항

정보제공용. 크기에 관계없이 적용됨

2. Desktop 3D-System 의 준비

USB 인터페이스 기기 + WinPC-NC 소프트웨어 에만 적용됨.

2.1 소프트웨어 설치

- 반드시 먼저 소프트웨어(Win PC-NC Starter)를 설치한 후 기기를 컴퓨터에 연결할 것

- CD를 삽입하면 자동으로 시작

2.2 기기를 컴퓨터에 연결

- 파워연결 -> USB 연결 -> Win PC-NC Starter 실행

- 언어선택. 기계 선택

- Win PC-NC가 STEPCRAFT 머신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초기화됨.

2.3 작동 준비여부 확인

- USB 포트에 있는 LED로 확인가능

2.4 매뉴얼 테스트

- 정확하게 조립되고, 유지관리 지침에 따라 관리했고, Status 1이라면 수동으로 움직여 볼 수 있음

- Move -> Jog(F4)
- Go to Reference Point에서 "No"를 선택
- 화살표를 클릭하여 기계를 가운데쪽으로 가져올 것 (더블화살표는 속도가 빠름)

2.5 Linear 축 확인 ???

- 평평한 곳에 설치할 것
- (5.2-5.4의) X축 gantry 부품 나사를 풀고, Y축의 후면(6.5)과 전면(8.10) 나사를 푼다.
- Z축을 평균높이로 수작업으로 이동
- X축을 gantry의 각 끝으로 이동시키고, 각각의 gantry part의 나사를 조인다.
- Y축을 후면으로 옮기고 후면 패널 나사를 확실히 잠근다.
- 마지막으로 전면으로 이동시킨 후, 전면 패널 나사를 잠근다. 

이방법을 사용해도 축의 최종위치에 도달하지 못한다면, linear 축과 spindle이 부드럽게 동작하는지 체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WINPC-NC를 닫고, 전원을 뺀다. 이제 X,Z축을 손으로 축연결부(part 58) 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Y축의 이동을 위해서는 tooth belt cover(part 75)를 제거한다. tooth belt(part 73)을 제거해야 할 수도 있다. 

2.6 레퍼런싱

- Move -> Reference(F8)

- 이제 축이 구동된다. 레퍼런싱이 완료되면 기계는 정면에서 봤을때 좌측후방 맨위에 위치하게 된다.

- 이와 동시에 원점이 초기화된다. (원점은 좌측 전방 맨위가 원점이다.)

- 레퍼런싱은 주기적으로 시행시켜 줘야 한다.

2.7 파킹 위치

- 기계가 시작/끝나는 위치
- Move / Jog로 원하는 위치로 옮긴후 Save To로 저장
- Parameters -> Misc -> Start/End Position으로 환경설정.

3. First Component 준비 

다음과 같은 재료들이 필요함

- Proxxon IBS/E 과 같은 Spindle 클램핑 어댑터
- 나무작업을 위한 커터 (spiral cutter) 직경 1mm
- 밑판(?? Offer worktop), 예를 들어 MDF
- 3mm 두께의 합판 등의 소재

펜플로터로 시행해볼 수도 있음

3.1 소재를 클램프로 고정

-  먼저 테이블 위에 밑판을 깔고 소재를 올린다. STEPCRAFT에서 제공한 누름틀(retainer)을 사용하여 두개의 판을 테이블에 고정한다. 나사는 손으로만 조여야 한다.

3.2 패턴 그림 읽어들이기

- File -> Open. NC WinPC 디렉토리로 가서 Muster02.plt를 연다.
- 아래에서 빨간색은 engraved 패턴, 파란색은 절단선

3.3 파라미터 설정

- Parameters -> Misc 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

- engraving (tool 1 = 빨간선)은 깊이 1mm
- 이 예에서 소재의 두께는 약 3mm. 따라서 cut out은 3.5mm (tool 2 = 파란선)
- 이 예에서 패턴은 합판 또는 플라스틱. 따라서 in-feed 속도/plunge 속도는 2mm/sec. feed 속도는 5mm/sec
- 이 샘플파일의 축척은 0.2로. 따라서 크기가 20%로 줄어듬.
- Start-/End position은 Origin + Tooll lift 로 설정

3.4 소재의 원점 정의 (X,Y)

- 소재에 x로 표시. 전면과 측면에 충분한 공간이 주어지도록 (최소 50mm - 70mm)
- Move -> Jog(F5)를 이용해 표시된 지점으로 수동으로 이동. Z축을 최대높이의 중간으로

- Save to 를 사용해 "Zero Point X/Y/Z"로 저장

- 저장하면 기계가 Z축으로 10mm 높게 이동함. 따라서  Workpiece 좌표는 0,0, -10.000 이됨

3.5 Tool을 사용하지 않고 테스트

-  Move -> Start(F3). 지동으로 시작됨. 스핀들이 충돌없이 이동하는지 확인. 참고로 나중에 스핀들은 더 낮은 곳에서 시작 하므로, 누름틀(retainer) 또는 Y 레일과 충돌하지 않도록

3.6 밀링 스핀들 준비

- 밀링툴을 스핀들에 고정. 올마른 adapter sleeve를 선택해야 함. 
- 커터는 척에서 가능한 멀리 삽입해야 함.

- 밀링툴을 스핀들에 고정한 후, (필요시) 클램핑 어댑터를 STARCRAFT 의 43mm 스핀들 페이퍼에 설정. 그다음 밀링 스핀들을 어댑터에. 스핀들을 Allen key를 사용하여 고정

3.7 WorkPiece Zero Point(Z) 정의

- Move -> Jog. 서브아이템 Move To를 열고 Zero Point X/Y를 선택.
- 기계가 이전에 저장한 X/Y 위치로 자동 이동됨
- 종이를 올리고 천천히 수동으로 Z축을 아래로. 

- 종이를 앞뒤로 움직일 것. 커터가 종이에 닿으면 현재의 위치를 다시 workpiece  원점 X/Y/Z로 저장

3.8 샘플 부품의 준비

- workpiece plate가 잘 안착되었는지 점검
- 스핀들의 회전속도 15,000 RPM으로 설정되었는지 확인
- 스핀들 켜기
- Move -> Start
- 기계가 원점이동한 뒤, Z=1.0 만큼 내린 후 1단계(빨간선 engraving)를 시작함. 작업 진도는 %로 표시됨

- 작업이 완료된 후, 시스템이 자동으로  Workpiece 제로포인트로 이동함.
- 스핀들을 끄고 소재를 제거함.
- 축하!! 완료!!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6. 13. 16:34

"하늘을 나는 차" 개발현황 - 조선비즈

드론 택배 패키징 및 수신장치 - 아파트, 엘리베이터 내부보관함으로

MIT 공학자, 5일간 비행가능한 드론 개발  가솔린 엔진이라고

The Jungle Hawk Owl team

Drone Hero Europe, 탑10 후보 선정

네덜란드 드론을 사용하여 해상 풍력발전소 검사. 선박이 기지.

offshore wind

미해군, 보잉과 함께 심해 드론 개발

LIDAR for Drone 2017 컨퍼런스, 프랑스

전세계 농업용 드론 시장 분석 

인텔 인공지능 드론 SnotBot, 고래등 해양생물 보호 조사

6/15

width="590"

북한 드론 침입은 우리나라 드론 규제 때문이다.

라트비아의 Aerones Ltd, 소방드론 개발.

스웨덴, 심장 제세동기 운송 드론으로 인명구조 가능성 테스트 블로터 뉴스

A defibrillator-carrying drone could respond more quickly than traditional emergency response units.

캐나다 SkyX, 자동 충전스테이션 xStation 무제한 기동 가능

xstation drone charing skyone skyx6

Ubuntu 16.04위에서 드론 설치,설정 방법 Nginx

스위스 연방기술연구소(EPFL) 스마트 재킷을 사용한 드론 조종 기술 개발

DroeDeploy, 설계도와 드론지도를 중첩시켜 볼 수 있는 기능 제공

중국 사진사 Liu, 플래시 드론 시험

GE, 시설물 검사용  자동 드론 테스트중

삼성기어 VR 고글, 드론 제어기능 특허신청

Samsung gear VR

6/18

하와이, 드론을 활용하여 접근 불가능지에서 멸종위기 식물분포 확인

또다른 기사 보기

스탠포드 대학, 우주로봇기술을 드론/자율주행차 자동운항기술에 접목시도

프랑스 국영열차회사 SNFC, 무인 열차 도입계획. 2023년까지 도입예정

OSU, 드론으로 토네이도 연구

MIT, 바닷물을 사용하는 수중도론용 배터리 개발. 주행거리 10배

Open Water Power says its new battery can offer a tenfold increase in range over conventional ...

Krators, 유인 전투기를 보완하는 무인드론 2종 발표

유럽연합, 2019년까지 상업용 드론 운항 기준 마련키로.

러시아의 모스크바 항공연구소, 전자전 드론 개발

립스, 가시광선통신(VLC)기술을 활용한 Tic-Tac-Toe 드론 개발. 제스쳐로 조종 실내에서 자동운항 가능.

Tic-Tac-Drone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6. 12. 18:50

모터 추력테스터를 구매했습니다. 모델명은 Turnigy Thrust Stand 입니다. 말 그대로, 입력 전압/전류에 따라 모터/프롭 조합에 의한 추력(Thrust)가 얼마나 나오는지 측정하는 장비입니다. 

제가 산 녀석은 그다지 큰 건 아니고, 최대 추력 5kg 까지만 측정가능한 녀석입니다. (사실 더 큰 걸 찾아봐도 없어서)

아래가 추력테스터입니다. 왼쪽 윗부분에 모터/프롭을 설치하면 추력이 표시되는 아주 간단한 겁니다.

간단히 연결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모터/프롭 -> ESC -> 전력테스터 ->배터리 순으로 연결합니다. 그리고 ESC의 신호선에는 PWM 신호를 보내줄 수 있는 서보테스터를 연결하면 됩니다.

참고로  V2를 사용하면 전력 테스터가 포함되어 있어서 연결이 더 간단할 것 같네요. 살짝 후회되는 중.

===

제가 테스트한 모터/프롭/ESC는 DJI F450 ARF 키트에 포함된 녀석들입니다. 팬텀 기체에도 사용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DJI 사이트에 올려진 Spec은 다음과 같습니다. 3S 또는 4S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는데, 저는 4S 배터리로 테스트했습니다. 3S 배터리 기준으로 추천 하중은 300g. 최대추력은 600g 으로 나와 있습니다.

아래는 테스트하는 장면입니다. 이 화면에서는 PWM을 최대까지 올리지 않았지만, 끝까지 올리면 훨씬더 시끄럽습니다.

제 테스트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 환경에서는 프롭 회전수는 알수 없습니다. PWM 신호를 기준으로 했을 때, 50% 쓰로틀(PWM 1500)에서 대략 320 g 정도이고, 최대 쓰로틀(PWM 1900)에서 대략 820 g 정도가 나옵니다. 

아래는 제가 조립한 기체입니다. 이 기체의 무게는 대략 1750 그램으로, 모터 하나당 435g 정도가 걸리는 셈입니다. 그러므로, PWM 1560 정도라고 봤을 때, (1560-1100)/(1900-1100) = 57.5% 정도입니다. 사진촬영용으로는 그다지 나쁘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추력테스터를 사용하면 이처럼 자신의 기체에 적합한 프롭/모델 구성인지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사실 더 중요한 것은 모터/프롭의 구성을 바꾸면서 어떤 조합이 가장 효율적인지를 확인할 때 유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참고로 제가 구입한 모델의 매뉴얼입니다. (매뉴얼이라고 하기엔 너무 허덥합니다만. ㅠㅠ)


민, 푸른하늘

===

아웃러너 모터용 추력 측정기 (Full Metal Thrust Measuring Stand for out runner motor)

Model : LMTMS-OM-1A

사양 :

  • 테스트 범위 : 12mm - 56mm 아웃러너 모터
  • 최대 측정 추력 : 5kg
  • 측정단위 : 1 gram
  • 센서 전원 : 3V (1.5V 건전지 2개)
  • 크기/무게 : 생략

기능 :

  • 전 부분 알루미늄 제작
  • 12mm-56mm 아웃러너 모터 측정가능
  • 수평 테스트. 센서와 모터 축 일치. 정확한 측정가능
  • 고정밀 추력센서. 최대 5kg, 최소 1g
  • 대형 LCD 스크린
  • 고정밀 튜브베어일 스라이딩 플랫폼.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6. 11. 16:35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6. 3. 19:00

드론에 관한 정보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드론이 세상을 바꿀 것은 확실합니다. 드론의 활용처가 계속 넓어지고 있고, 글로벌 기업들의 참여가 많아지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드론 산업은 일부 기업을 제외하면 중국에서 생산된 드론을 가져다가 조립하는 수준이 대부분입니다. 국산기술이라고 자랑하는 기업들중 대부분은 오픈소스 기술을 가져다가 껍데기만 갈아끼운 정도고요.

제가 4차산업혁명이라는 워딩 자체는 싫어하지만, 이래가지고야 드론이 4차산업혁명의 주역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5/30

KT-국토부, 드론교통 관리체계 개발

EAGLE EYE, 새로운 형태의 VTOL 드론

호버보드 드론. 포르투갈컵 축구대회에서 축구공 전달

수소엔진 드론 제작자 MMC, 지난 2년동안 500% 성장

NASA, 불시착시 최적착륙장소를 찾는 기술 개발중   로봇신문기사

배트맨 로고 3D 프린터 드론 프레임

러시아 은행, 드론으로 현금 수송 계획

5/31

월마트, 블록체인기반 드론배송. 우리나라도 블록체인을 물류에 적용하는 방안 모색중  Fortune 기사

아마존, 낙하산 배송 드론용 "package label" 특허     전자신문

중국, 우한 마라톤 대회에서 안티드론 총으로 드론 착륙시킴

드론이 트럭보다 온실가스 덜 배출

Drone vs. Truck emissions charts

니산 SUV X-Trail, 비밥 드론을 옵션으로. Follow me 기능으로 자동 촬영기능 제공

6/1

서울대/KAIST 연구진 휘는 연료전지 개발. 드론 1시간 비행가능...

서울대 강기석교수, 리튬공기전지 효율성 향상. 리튬이온전지보다 무게 1/10. 

Edgybees, 실제 드론을 이용한 AR 레이싱 게임 앱슨 스마트 안경 사용?

width=590

아틀란타 공항, 드론으로 활주로 관리

Jim Duguay and Katie Eleam pilot a drone over runway 27R at Hartsfield-Jackson Atlanta International Airport.

수면 부유드론 Splash 3, 킥스타터 모금시작   KickStarter Page 1300달러

Splash Drone 3 AUTO with 4K Camera Gimbal

일본 2020까지 드론배송, 2022까지 자율운행트럭 실시예정

6/3

DARPA, 수중드론 사용가능한 통신수단 제안 - AMEBA(A Mechanically Based Antenna)

변신가능 드론 - 토쿄대학교

호수에 착륙/태양전지 충전후 수직이륙. 장거리 비행가능 드론

잠자리 드론. 날개에 태양전지 부착해 동력공급

아마존, 머신러닝을 통해 드론 소음 예측하고 줄이는 기술 특허신청

영국의 4만불짜리 나노드론, 독일군 및 노르웨이군 사용

The FLIR PD-100 nano drone

러시아 드론 SKAT 640 4G Terra, 히말라야를 넘어 기네스 세계기록 달성

Russian drone soars over Everest in world record flight (PHOTOS)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5. 26. 00:02

드론에 관한 정보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드론이 세상을 바꿀 것은 확실합니다. 드론의 활용처가 계속 넓어지고 있고, 글로벌 기업들의 참여가 많아지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드론 산업은 일부 기업을 제외하면 중국에서 생산된 드론을 가져다가 조립하는 수준이 대부분입니다. 국산기술이라고 자랑하는 기업들중 대부분은 오픈소스 기술을 가져다가 껍데기만 갈아끼운 정도고요.

제가 4차산업혁명이라는 워딩 자체는 싫어하지만, 이래가지고야 드론이 4차산업혁명의 주역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5/21

미국 개인취미용 드론은 FAA에 등록할 필요 없음

미 공군 연구소, 저렴한 스텔스 드론 사진 공개

선박회사 Wilhelmsen Ships Service, 긴급용품, 부품, 약품등 수송위해 배송 드론 적용 예

wilh

5/23

중국 온라인2위업체 징둥닷컴, 1톤 배송할 수 있는 드론개발중. 300km범위까지.

북한의 공격용 드론

A drone is paraded in Pyongyang, North Korea. (Associated Press/File)

유럽우주국(ESA), "충돌 드론"을 사용해 동굴 탐사. 심우주 탐사 준비용

ESA preps for journeys into deep space with ‘colliding drone’ test run (VIDEO)

린드버그 재단, Neurala에서 개발한 AI 탑재한 드론으로 밀렵꾼 색출

5/25

드론 탑재한 귀여운 자율 경비 자동차

드론 비행장소 추천앱 - 제이씨현 드론플라이2.0

미국의 개인용 드론 시장 성장추세 (딜러들에게 공급된 드론)

COTD_5.23

FPV 오스트랠리아, Zephyr 드론시뮬레이터로 인증 연습 공인

Splash Drone 3, 수륙양용 드론

The Splash Drone 3 lifts off from a water landing

스타트렉  U.S.S. Enterprise NCC-1701-A  드론. 35달러

Air Hogs, Star Trek U.S.S Enterprise NCC-1701-A, Remote Control Drone with Lights and Sounds, 2.4 GHZ, 4 Channel

네덜란드 스타트업 Atmos, 새로운 매핑용 수직이착륙 드론 Marlyn

marlyn

5/28

DJI 셀피드론 Spark에 인텔의 비전 프로세싱유닛(VPU) Myriad 2 사용

SNAP, 드론 회사 Ctrl Me Robotics 인수

고프로(118g)보다 더 가벼운 고프로 드론(94.7g). 

로키드 마틴, 최초의 수중드론에서 드론 발사시험

lockheed water drone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5. 24. 09:58

On-Screen Display(OSD) 보드는 비행콘트롤러에서 나오는 텔레메트리 데이터를 FPV(First Person View) 용 모니터에 중첩시키는 보드이다. 이 페이지에는 여러 벤더의 OSD를 모두 나열하는 곳이다.

  • Minim OSD

===

원문 : http://ardupilot.org/copter/docs/common-osd-boards-on-screen-display.html

이전글 : First Person View(FPV)

다음글 : Minim OSD 간단 설치 안내서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5. 23. 17:53

Pixhawk를 기반으로 드론을 조립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어떤 분야에 응용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주변기기를 픽스호크와 연결하고, 이것을 조종기로 수동제어, 혹은 미션을 통해 자동제어할 수 있어야 합니다.

픽스호크에는 출력채널이 총 14개가 있습니다. 이중 1-8은 MAIN-OUT으로서 주로 모터를 연결하는 채널입니다. 9-14번까지 AUX 채널이 주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채널로, 이중 4개는 서보, 2개는 릴레이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물론 변경가능합니다.

가장 손쉽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보조기능 스위치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예전에는 채널 7/8에 대해서는 보조기능을 지원했지만, 이제는 출력채널은 어디든지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보조기능 스위치는 미션플래너의 Config/Tuning -> Extended Tuning 화면에서 설정하거나, [CH7_OPT] [CH8_OPT] 등의 파라미터를 직접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이들 보조기능 스위치는 기본적인 설정값이 정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채널을 랜딩기어로 지정해두고 해당 장비를 적절하게 연결해 두면 수동제어든 자동제어든 어렵지 않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런 보조기능 스위치로 해결이 안된다면, 직접 Servo나 Relay로 설정하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어렵지는 않지만, 귀찮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무리가 없다면 비슷한 걸 가져다 쓰는 방법도 있습니다. 

아래는 이러한 서보/릴레이 제어 관련 정보를 모아둔 것입니다.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5. 22. 14:57

콥터, Plane, 로버는 3축 짐벌까지 지원한다. 아울러 관심지점(ROI: Region of Interest)에 대한 자동 카메라 추적, 카메라 셔터 자동 동작 등이 고급기능도 지원한다. 아래의 링크를 따라가보면 짐벌과 셔터 동작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짐벌(Gimbal)과 짐벌 제어기

ArduPilot는 자체적으로 평형 제어기가 있는 브러시리스 direct drive 짐벌(Tarot, SimpleBGC, SToRM32)과 AuduPilot에서 평형을 잡아주는 간단한 서보 짐벌을 지원한다.

  • Tarot 짐벌 - PWM 신호로 제어되는 저렴한 2축 브러시리스 짐벌
  • SimpleBGC (일명 AlexMos) 짐벌 - 인기있는 2축/3축 브러시리스 짐벌 콘트롤러. 맞춤식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 SToRM32 짐벌 제어기 — 저렴한 2축 또는 3축 브러시리스 짐벌 제어기. 시리얼 인터페이스상에서 MAVLink 명령에 반응함(PWM에 비해 훨씬 다양한 포맷)
  • Servo 짐벌 - 구식 서보기반의 짐벌. ArduPilot에서 평형을 잡아준다.

카메라 셔터 제어

ArduPilot을 사용하면 카메라 셔터 출력 포트(서보, 릴레이)를 설정할 수 있다. 카메라 미션 플래닝에서 카메라를 언제 터뜨려야 할 지 지정하거나, 카메라 동작 거리를 지정할 수 있다.


카메라 제작사는 고유한 카메라 리모콘 제어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다. 아래는 카메라 셔터를 설정하는 방법, 출력신호를 카메라에 맞는 형태로 변환하는 방법 등을 나열한 것이다.


자세한 사항

====

원문 : http://ardupilot.org/copter/docs/common-cameras-and-gimbals.html

다음글 : 타롯 짐벌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5. 20. 23:19

드론에 관한 정보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드론이 세상을 바꿀 것은 확실합니다. 드론의 활용처가 계속 넓어지고 있고, 글로벌 기업들의 참여가 많아지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드론 산업은 일부 기업을 제외하면 중국에서 생산된 드론을 가져다가 조립하는 수준이 대부분입니다. 국산기술이라고 자랑하는 기업들중 대부분은 오픈소스 기술을 가져다가 껍데기만 갈아끼운 정도고요.

제가 4차산업혁명이라는 워딩 자체는 싫어하지만, 이래가지고야 드론이 4차산업혁명의 주역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5/14

선박 선체 청소용 수중드론 Indiegogo 자금 모금중

Keelcrab

드론으로 범죄현장 3D 지도 제작 훈련중

로키드마틴 드론 소프트웨어 Hydra Fusion Tools,  실시간 3D 지형지도 제작 

오클라호마에서 드론으로 기압, 기온등 날씨 예측 시험중  사진 여기

Epic Research Project

5/17

중국 드론시장 및 산업 가파른 성장세 산업일보 무역협회 북경지부

중국 민간용 드론시장 성장추이

중국의 민간용 드론시장 성장 추이

예산농업기술센터 - 벼직파 재배 시연회

연, 드론을 이용한 고공 풍력발전 등장

DJI, 팬텀 드론 영상을 스마트TV에서 감상 삼성 스마트TV, 애플 TV

그랜드캐년에서 레인저 화재감시용 드론 사용예정

스위스 Flyability, 접근곤란지역 조사 드론에 무선신호 제공해주는 모듈 추가

flyability-drone Flyability Extends Range of Collision-Tolerant Drone

조지아 공대, 나노드론+풍선 = 초소형 비행선,  사람 회피기능 구현

토요타, 드론택시에 43만5천달러 투자

ROVA 셀카 드론

Rova Drone

조지아 공대, 서로 회피하는 드론 개발.  논문

까마귀 닮은 로봇과 드론으로 까마귀와 의사소통 시도

Naoki Tsukahara, left, and Ko Sueda are working on a project to facilitate communication with crows through the use of a crow-like robot and drone. Photo: The Yomiuri Shimbun. / The Yomiuri Shimbun

뉴욕 박물관, 드론 전시관 마련

5/18

중국 250g 이상의 드론 드론 실명제 도입

안티 드론 담장. 600미터 높이. 드론이 격추되지는 않음.

시애틀 Droneseed, 임업 방제용 군중드론 FAA로부터 승인 획득 precision forest

드론 Tether-kit. 무제한 비행가능 

DR1,  마이크로드론 레이싱

5/20

지느러미로 헤엄치는 로봇 물고기, BIKI

미국 연방상고심에서, 취미용 드론을 등록해야 할 필요 없다고 판결

미군 특수부대 IS 격퇴위해 350대의 자살 드론 지급. 소형 미사일

MIT, 카메라 촬영조건만 입력하면 알아서 촬영해주는 드론 기술개발.

스위스 ETH Zurich, 공을 정확하게 받아내는 드론 - AI 기술로 학습. 외부카메라로 위치 측정

야간 바이크 촬영을 위한 800W LED 조명 드론

소형드론용 낙하산 80유로 KickStarter 10미터에서도 작동

미국 버지니아주 드론 개발 연구용 드론 전용 활주로 오픈

아마존 배송드론, 새떼들과의 전쟁중

Parrot, 건설/농업 관련 부서 신설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5. 18. 15:05

한글 매뉴얼 : 14SG취급설명서_제이즈하비.pdf

영문 매뉴얼 : http://manuals.hobbico.com/fut/14sg-manual.pdf

바인딩(Binding)

  • 먼저 송신기와 수신기를 binding 해야함. Binding이란 송신기(조종기)와 수신기를 연결하는 것. 즉, 송신기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기가 받도록 인식하는 것
    • 구매를 했을 때에는 바인딩이 되어 있음. 새로운 Model을 생성시 새로 바인딩 필요
      • 수신기가 50cm 이내에 있는 상태에서 송신기 전원을 넣는다.
      • LNK를 두번 클릭하여 Linkage 메뉴로 들어감. System을 선택하고 RTN을 클릭함
      • LINK로 옮겨간후 RTN을 클릭함. LINK 모드로 들어가면서 삐리릭 소리가 들림.
      • 즉시 수신기의 전원을 넣음.
      • 잠시 기다리면 수신기 LED가 빨간색 깜빡임 상태에서 녹색으로 전환됨. 바인딩이 완료된 것임. 다시 System에 들어가보면 아래와 같이 id 가 표시됨.

  • CH Mode를 필요에 따라 지정. 나는 모드 B로 사용중. 
    • 한글 매뉴얼 27쪽 참조. 


채널 설정

  • Futaba 14 SG는 최대 14개의 채널이 할당 가능
    • 12개는 리니어, 2개(DG1/DG2)는 On/Off 스위치임. 
  • LNK -> FUNCTION 에서 설정
    • SE-SF-SA-SB-LD-RD-SC-SD-SG-SH  순으로 5-14번 채널 할당 (외우기 쉽도록) 
      • SE와 SF의 경우, 5번 채널이 비행모드가 되어야 해서 바꿈
    • 9-12 채널이 동시에 움직이는 것은 제목이 AUX1으로 동일하기 때문임. 이름 먼저 바꾸면 됨

비행모드 6개 설정

  • 6개 모드 사용시에는 PWM 값이 1165, 1295, 1425, 1555, 1685, 1815 가 나오도록 함
    • 2 position + 3 position 스위치 두개를 결합하여 설정해야 함. 
  • 6 모드 설정 방법 : (SE 스위치와 SF 스위치를 사용)
  • 메인채널의 PWM 출력 최대/최소값 조정 
      • LNK -> END POINT -> 채널 5 로 이동후 아래처럼 세팅
    • SF(5, MODE) 채널을 SE(6, TILT) 채널와 연동시켜야 함
      • MDL -> PROG. MIX -> 1로 들어감
      • x와 y 를 각각 +25로 올려줌
      • 다음 페이지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
        • SF 는 직접나오지 않고 H/W 를 선택한 후 SF를 선택해야 함
        • ACT 옆의 ON-OFF를 바꾸려면 그 오른쪽 SF를 누르고, ON/OFF에서 선택
  • 각 모드별로 비행모드를 설정하는 것은 아래 그림에서 드롭다운으로 선택만 해주면 됨. 
    • 반드시 하나는 Stabilize로 설정할 것.
    • Simple Mode(Course Lock)와 Super Simple Mode(Home Lock)를 사용하면 조종하기 편함

        • 채널을 아래와 같이 설정
          • 1 : Stabilize, 2: Loiter(SIMPLE), 3: ALT_Hold, 4: AUTO, 5: PosHold, 6: RTL
          • 두 스위치를 모두 DN으로 두고 시작해야 함
            • DN일 경우 - Stabilize -> Alt Hold -> Pos Hold
            • UP일 경우 - Loiter(Simple) -> Auto -> RTL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5. 13. 23:48

    드론에 관한 정보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드론이 세상을 바꿀 것은 확실합니다. 드론의 활용처가 계속 넗어지고 있고,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드론 산업은 일부 기업을 제외하면 중국에서 생산된 드론을 가져다가 조립하는 수준이 대부분입니다. 국산기술이라고 자랑하는 기업들중 대부분은 오픈소스 기술을 가져다가 껍데기만 갈아끼운 정도고요.

    제가 4차산업혁명이라는 워딩 자체는 싫어하지만, 이래가지고야 드론이 4차산업혁명의 주역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5/7

    미국  스타트업 Spacial 헬륨 기구형 드론 Halo 개발

    The Spacial "Halo" floats in New Jersey's Liberty Science Center during the New York City Drone Film Festival Day of Drones.

    The Small Mars System, 화성 항공사진촬영용 드론 타당성연구중

    Atla Devices, 장기체류 가능한 태양전지 드론 개발, Dallas에서 전시예정

    HAZON Solutions, 드론 관리 소프트웨어 

    드론을 이용한 모기 방역

    5/9

    Parrot, 상업용 드론 시장으로 전환

    스페인 스타트업 Drone Hopper의 소방용 드론. (엔진형) 지름 160cm, 300리터 탑재

    풍력발전 드론 twingtec drone 풍력발전용 드론. 바람이 불면 300미터까지 상승하여 발전하고, 바람이 없으면 자동 착륙. 300kW까지 생산가능.

    골판지 1회용 드론


    5/13

    국내 벤처기업 드론식별모듈, 국제표준으로 채택. 어디까지 사실일까?

    미 드론 제조사, 군용 휴대형 드론 속도 32km/h, 거리 1km, 150그램

    라트비아 daredevil 팀, 세계 최초의 드론 스카이 다이빙. 28개의 프롭, 100kg Lift

    텍사스에서 고정익으로 156 km 물품 운송 성공 세계 기록

    Sentera, 정밀 농업용 NDVI+NDRE 센서 개발. 

    새를 쫒는 드론. 


    드론에 관한 10가지 비밀 3. 마를린 몬로가 16살 때 드론을 만들었다. 

    AI 드론, 11,500번 충돌시켜 자동 장애물회피  학습. 사진 좌우비교하는 방법

    Airbus, 드론 서비스 스타트업 회사 설립, Aribus Aerial

    ICAO, 세계 드론 관리 프레임워크 개발 계획

    NDIVIA, 딥러닝 기반의 자동운항 드론 개발 가능 언급

    드론 격추용 레이저 탱크 - 현장 시험.

    PrecisionHawk의 드론 매핑 소프트웨어 무료 공개

    precisionmapper

    아마존, 영국 캠브릿지에  드론 연구센터 설립 

    인텔, 자동 구조물 검사 드론 

    The Falcon 8+ can tote a camera in back in addition to its on board camera ...

    DroneDeploy, 건설용 드론 매핑솔루션 제공

    인텔 드론 불빛 쇼... 어떤 기술?

    로키드마틴, 첩보, 정찰용 Indago 쿼드콥터 

    Drone Aviation, WATT300 밧줄식 대용량 드론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5. 10. 18:33

    Ardupilot은 기본 PID 설정으로도 대부분의 RC 기체를 박스에서 꺼내자마자 안전하게 날릴 수 있다. 바람속에서도 Tight한 항법과 안정적인 성능이 발휘되는 등, 멀티콥터를 잘 날리려면 비행콘트롤러 파라미터를 튜닝할 필요가 있다. 아래의 항목을 참고하라.

    ===

    원문 : http://ardupilot.org/copter/docs/common-tuning.html

    다음글 : 자동튜닝(AutoTune)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5. 6. 11:41

    5/1

    DJI's no-fly zones in Syria

    Super Heavy-Lift Drone MFR to Open Florida Plant

    drone swarm dogfight gt

    5/2

    DronePrix, DJI 드론용 증강현실 게임 by Edgybees.

    드론으로 토네이도 생성 예측 연구

    storm drone

    드론소프트웨어 개발회사, 건설관련 전문, RAAS(Robotics-as-a-Service)

    드론용 하이퍼스펙트럴 스캐너. 개발예정

    5/4

    퀄컴. LTE 드론 테스트 결과 발표 여기도

    아마존 프라임, 어린이 드론 설계 대회

    드론 환경보존 연구사례 - 지구온난화, 빙하후퇴, 섬지역 보존 등

    부동산 산업에 드론 응용

    Millstone home.jpg

    드론 트래킹 기술 비교 ADS-B, LTE, V2V, RID

    drone tracking

    드론 그래피티. 그림그리는 드론

    응급의약품 배송용 수직이착륙기 디자인.

    a_180_drone3

    드론을 활용한 빙하연구

    5/6

    AER 고프로를 던져라. 셀피드론은 필요 없다.

    GKN Aerospace 드론 공중급유기 제작중

    토성의 타이탄 위성 조사용 드론

    Titan ripe for drone invasion

    농업용 드론시장 2024년까지 폭발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측

    Global Agriculture drone Market 2014-2024(USD)

    Global Agriculture drone Market, 2014 - 2024 (USD Million)

    아마존, 영국에 드론/AI 연구소 설립예정

    중국, 대함용 수면 skimming 드론 개발중

    봉화군 어린이날 행사중 사탕 드론 추락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론/쿼드콥터2017. 4. 16. 15:55

    4/16

    미 해병대, 긴급 보급용 1회용 드론    로봇신문

    download

    PowerRay 낚시용 수중 드론 샌프란시스코 수족관에서 시판 기념 파티

    게임 디자이너에 의한 컨셉 드론 디자인

    4/18

    정선 119 드론 구조팀, 열화상카메라 활용

    패럿,  AR Drone 2.0 리뷰

    미군, 레이저건 장착한 Stryker 보병수송 장갑차로 수십대의 드론 격추 성공

    중국 MMC, 수소엔진 HyDrone 1550으로 3500 미터 급 산악지형에서 테스트 성공

    미국 덴버, CyPhy 전기연결식 고정식 드론으로 넓은 지역 감시

    CyPhy Works provides long distance view

    독일 슈트트가르트 대학 드론과 로봇으로 탄소섬유 정자 건설  여기도 읽어볼 것

    stuttgart-research-pavilion-robot-drone-moths

    4/19

    DroneDeploy, 실시간 매핑 소프트웨어 FieldScanner iPhone/iPAD용, 오프라인 가능 

    20170418 dronedeploy fieldscanner

    MagicLab, 초소형드론 8대 마술쇼.

    CJ 대한통운 국제물류산업전 로봇/드론 배송

    국토부, 제2회 하천측량.하상변동조사 드론 경진대회

    드론 식별등록 시장 2016년 8억달러 에서 2022년 159억달러로 매년 64%씩 성장 예상

    4/20

    페이스북, 재해 재난용 헬기 타입 드론 개발   자세한 내용. 전선고정식?

    장갑으로 조종되는 자작 터빈드론

    스위스 Flyabilty의 그물망 드론

    flyability-caged-drone.png (558×383)

    포드의 컨셉 드론 모음

    An umbrella drone? Might wind up splashing fellow pedestrians, we suspect

    4/21

    Hanger 360, DJI 드론용 360 파노라마 촬영/스티칭 프로그램

    드론 데이터 레이싱 대회 - 가능한 한 빨리 촬영하고 데이터를 처리

    LIDAR 드론 마케팅 보고서

    화산분출 광경 촬영, 연구 조사용

    미 해군 연구소 32g 짜리 1회용 드론 글라이더. 32대까지 집단 임무수행 가능

    2016년 드론 판매 116% 성장

    4/22

    SwellPro, 수중촬영가능한 방수드론

    4/23

    농업용 드론 어디까지 왔나?

    드론으로 그랜드캐년 실종자 수색

    In these undated photos from 2016, a Grand Canyon National Park employee operates a drone at the park. The Grand Canyon is the only national park with its own fleet of unmanned aircraft for reaching people who have gotten lost, stranded, injured or killed. Under a program that began last fall, it has five drones and four certified operators. (Brandon Torres/Grand Canyon National Park via AP Photo)

    4/25

    어군탐지용 수중 드론, 파워레이

    일본, 자율자동차와 연결, 장기간 순찰 비행 가능한 드론 개발

    일본 NTT Docomo, 세계최초 구형 드론 디스플레이

    NTT DOCOMO

    미국 DARPA, Swam Challenge. 드론 스웜 공격/방어대회

    버지니아 공대, 송전선 비시계비행 완료.

    인디아나 드론 : 고고학 응용

    남아프리카공화국 HEAVIC, AgriAnalyis 실시간 정밀농업용 드론 플랫폼. 

    AgriAnalys

    영국군, 드론으로 최전선 보급

    MoD looking at delivery drones to resupply front-line troops

    Lilium, 세계 최초의 5인승 VTOL 제트기 




    Posted by 푸른하늘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